기능점수를 산출하다 보면, 대부분의 경우는 그 기능명에 의하여 기능유형이 결정되지만 가끔 기능으로 도출은 하였으나, 유형을 결정하기가 애매한 경우가 있다. 아래는 대표적인 기능유형과 자주 만날 수 있는 상황들에 대한 산출 예이다.
?
- 사용자 정보 관리
-?????? 검색과 CRUD 모두를 포함하는 기능
-?????? 검색 기능은 단순조회이므로 “EQ”에 1을 추가
-?????? 관리를 위한 상세정보 조회는 단순조회이므로 “EQ”에 1을 추가
-?????? 관리화면은 입력, 수정, 삭제를 포함하므로 각각 1을 추가
-?????? 사용자정보는 “사용자”데이터를 사용하므로 ILF에 “사용자”추가
?
EI |
EO |
EQ |
ILF |
EIF | ||
입력 |
수정 |
삭제 | ||||
1 |
1 |
1 |
2 |
사용자 |
?
- 사용자 정보 조회
-?????? 사용자의 정보의 검색과 상세조회 화면이 있는 기능
-?????? 검색 기능은 단순조회이므로 “EQ”에 1을 추가
-?????? 상세정보 조회는 단순조회이므로 “EQ”에 1을 추가
-?????? 사용자정보는 “사용자”데이터를 사용하므로 ILF에 “사용자”추가
?
EI |
EO |
EQ |
ILF |
EIF | ||
입력 |
수정 |
삭제 | ||||
2 |
사용자 |
?
- 일일 착신통계
-?????? 일별 착신현황의 통계를 조회하고, 인쇄하는 기능
-?????? 통계조회는 수학적 계산을 요하는 조회이므로 “EO”에 1을 추가
-?????? 인쇄는 단순조회이므로 “EQ”에 1을 추가
-?????? 착신정보 테이블을 사용하므로 ILF에 “착신정보”추가
?
EI |
EO |
EQ |
ILF |
EIF | ||
입력 |
수정 |
삭제 | ||||
1 |
1 |
착신정보 |
- 신고전화 대이관
-?????? 수보대에 연결된 전화를 다른 수보대로 연결
-?????? 신고전화를 이관하기 위해서는 이관할 대상 수보대를 조회하여야 한다. 따라서 EQ에 1을 추가한다. 또한 ILF에 “수보대정보”를 추가한다. (이러한 정보가 테이블로 만들어질지에 대하여 고민할 필요는 없다. 정보가 사용되면 일단 논리파일에 적는다. 내부논리파일은 꼭 테이블인 것은 아니다)
-?????? 신고전화를 대이관 하기 위해서는 CTI서버에 이관명령을 전송하여야 한다. 즉, 사용자는 “전화의이관요청”을 시스템외부로 출력하게 되므로 “EQ”에 1을 추가한다.
?
EI |
EO |
EQ |
ILF |
EIF | ||
입력 |
수정 |
삭제 | ||||
|
2 |
수보대정보 |
?
- 기상정보연계
-?????? 기상청 연계를 통하여 수신된 기상정보를 사용자에게 보여주는 기능
-?????? 기상정보를 기상청(외부)으로부터 수신(입력)받으므로 EI에 1을 추가하고 EIF에 “기상정보” 추가
-?????? 기상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므로 EQ에 1추가
?
EI |
EO |
EQ |
ILF |
EIF | ||
입력 |
수정 |
삭제 | ||||
1 |
|
1 |
기상정보 |
- 시스템 간의 데이터 송수신
-?????? 3. 기능점수 측정방법에서 기능점수는 시스템의 외부와 데이터를 트랜잭션하는 경우에만 측정된다고 하였다.
-?????? 즉, 시스템의 내부에서의 송수신은 기능점수로 측정되지 않는다.
-?????? 예를 들어, 관제시스템과 관제시스템이 I/F 하는 장치제어서버가 모두 동일 프로젝트에서 개발된다면, 관제 시스템과 각 서버간의 통신 기능은 기능점수로 도출할 수 없다. 각 프로그램이 모두 동일 시스템 경계 내부에 있으므로 모든 기능유형에 해당되지 않는다.
-?????? 동일한 예로 C/S 구성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간의 통신(SQL)은 기능유형에 해당하지 않는다.
-?????? 기능으로 측정되기 위해서는 시스템의 경계 외부에 있는 시스템과 데이터를 송수신하여야 한다.
-?????? 즉, 위 예에서 장치제어 서버가 이미 구축되어 있거나 외부 시스템에 있다면, 시스템의 경계외부에 있으므로 송수신기능을 외부입력이나 외부조회로 산출될 수 있다.
-?????? 즉, 내부 시스템간의 데이터 송수신 기능은 기능으로 도출하지 않는다. 부득이 도출하고자 한다면 기능이름을 송수신 계열로 명명하지 않고 다른 이름을 사용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