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ERP의 이해와 활용
1. MIS, BPR, SIS, ERP?
기업을 경영함에 있어서 정보시스템이 차지하는 비중은 날로 증대되고 있는 것이 사실인데, 이런 가운데 새롭게 등장하는 이론과 기술, 기법들에 민감해 하고 마치 새롭게 떠오르는 이러한 신조어들에 대해 사내에 적용하지 않으면 왠지 뒤떨어지는 것과 같은 심정인 독자가 있다면 '조삼모사'라는 숙어를 되뇌어 보길 권장하고 싶다. 즉, 경영정보시스템(MIS)이나 BPR, 전략정보시스템(SIS), 전사적 자원관리(ERP) 등은 모두 궁극적으로 경영의 효율을 극대화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면 모두 같은 말이요, 정보시스템을 어떤 방식으로 적절히 이용하여 경영에 도움을 줄 것인가라는 면에서는 서로 공통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단지 이들의 장단점이 있을 뿐이며 이들이 중요시하는 관점이 어디에 있는가에 따라 또, 탄생된 기기에 따라 이름이 달리 불리우게 된 것 뿐이다.
이를 Business Process 측면과 Information Technology 측면에서 굳이 구별을 하자면 (그림1)과 같이 구분할 수 있겠다. 이들 중 비교적 먼저 경영에 적용되기 시작했던 MIS는 기존의 Process를 최대한 준수하면서 정보기술 특히, HOST중심의 단위 업무만을 처리했던 관점이었다면, BPR은 Process 중심으로 경영혁신을 도모하면서도 정보시스템의 이용이 부차적인 관점에서 정립한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며, 이후 각광을 받았던 SIS는 다양한 정보기술의 이용을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이익 극대화를 추구하였기 때문에 Ⅲ의 위치에 있으면서도 일정 부분은 Process를 혁신하기도 하였으므로 Ⅳ의 위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렇게 발전해온 기술과 기법이 혼재 되면서 구축된 정보시스템을 뒷받침하던 Process의 공통적 부분이 표준화되고 이것이 Package형태를 띠면서 ERP라는 새로운 영역의 Software가 등장하게 된 것이다.
2. 사례는 많은데 왜 모범 사례는 적은가?
이러한 ERP는 많은 장점을 갖고 있으면서도 기존의 MIS나 BPR, SIS의 많은 단점을 보강해주는 강력한 위력을 갖고 있는데 그렇다면 이를 통해 성공한 기업이 과연 우리 주변을 둘러 보았을 때 얼마나 되는가 보면 대체로 '사례는 많은데 성공 사례는 많지 않다'고 하는 것이 잠정적 결론인 것 같다.
그러나 이렇게 단정적으로 결론을 짓고 아예 ERP Package를 처음부터 고려치 않거나 도입에 너무 신중을 기하는 것도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마치 유행인 것처럼 Test 차원에서 일부 업무(모듈)에 한하여 ERP Package를 도입한 후 결과를 평가하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이와 같은 결론에 대한 근거가 없는 것도 아니라고 판단된다.
즉, 대부분의 ERP는 외국 Package를 한글화하여 도입한 것이기 때문에 이를 적용함에 있어 국내 사용자의 업무적 관행이 빨리 바뀌지 않아 사용자로부터의 불만이 표출되어서 이기도 하고, ERP란 말 그대로 전사의 자원을 통괄적으로 관리하는 System을 말하고 있기 때문에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Systemic하게 설계된 기능들이 쉽게 변하지 않는 사용자의 업무적.관행에 맞추기 위해 무리하게 Customize한 결과로 ERP에 대한 다소의 부정적 견해를 낳게 했다고 볼 수 있다.
3. 성공적 ERP 도입을 위한 조건
①도입에는 최고 경영자의 의지, 추진에는 프로젝트 리더의 지혜
② 통합의 관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회계 시스템, 영업 관리 시스템, 재고관리 시스템 등 data통합이 되지 않아서 발생하는 제반 비효율적 문제는 대부분 ERP를 도입하는 기업의 공통적 문제이다. 특히 IMF시대에 접어든 환경을 극복하기 위해 필연적으로 개선하여야 할 문제는 바로 통합적 시스템에 의한 비능률적 요소를 제거하는 것이다.
③ 정보시스템인 만큼 사용자의 편의성과 효과적 운영을 고려해야 한다
사용자가 자신이 사용할 시스템에 만족하지 않을 경우 시스템의 성공에는 매우 불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특히 국내 사용자는 서식에 민감하여 결재 처리 등 업무적 관행을 중요시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있는 만큼 이를 최대한 반영한 Package를 선택하고 Customize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ERP 성공에 중요한 고려 요소인 것이다.
④ 목적을 명확히 할 것
도입 기간이 중요한가? 아니면 BPR의 효과가 중요한가? 경영자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시스템이 중요한가? 단기적으로, 중장기적으로 취해야 할 목표는 어디에 둘 것인가? 또한 좀 더 세분화한 목적으로는 BPR에 목적을 둘 경우 경쟁력 강화 위한 내부 업무 프로세스의 개선이나 비용절감 등이 세분화 된 목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⑤ 화이트 칼라가 대상이다
화이트 칼라가 하는 일 중 약 20%의 일은 중요한 일의 보조적 일인데 이 업무를 위해 업무 시간의 80%를 소모하고 있는 것이 우리 기업의 현실이다. 그러므로 영업이나 생산 현장의 업무를 Target으로 하는 MIS, BPR, SIS와는 다르게 원장형 Data 공유를 통한 불필요 업무를 없애고 중복적 업무를 일원화, 사전적 문제 해결 등을 해나가는 사무 생산성 개선의 실질적 대안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를 확대하면 IMF시대를 이겨나가는 궁극적 대책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전사적 자원관리 SYSTEM (Enterprise Resource Planning)1. 선진 프로세스로서 기 검증되어있는 시스템이다.2. 표준화, 단순화, 통합화를 통한 시너지 효과 증대.3. 기업자원의 효율적 관리를 지원하며, 전 부문의 경영자원을 하나의 통합적 체계의 시스템으로 구축하고 생산성 극대화 및 COST 최저화 실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