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설명한 기능점수는 다양한 분야에 사용될 수 있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개발비의 산출이다. 기능점수로부터 개발비를 산정하는 방법은 매우 쉽다. 왜냐하면, 국내에서 표준으로 기능점수당 단가가 책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는 지식경제부에서 고시한다.
?
개발비는 “보정전 개발원가”와 “보정후 개발원가”에 의하여 책정되는데, 보정전 개발원가는 기능점수당단가를 단순히 기능점수에 곱한 값이며, 보정후 개발원가는 프로젝트의 품질적, 언어적 특징을 고려한 보정계수를 곱한 값이다.
?
보정전 개발원가
?
보정전 개발원가는 단순히 최종 기능점수에 기능점수당 단가를 곱하여 구한다.
?
보정전 개발원가 = 기능점수 * 기능점수당단가 기능점수당 단가 = 497,427 원 |
?
즉, 앞장의 예에서 기능점수는 총 62.4점이었다. 이 경우 보정전 개발원가는,
보정전 개발원가 = 62.4 * 497,427원 = 31,039,445원 |
이 된다.
?
위 기능점수당 단가는 분석,설계,구현,시험의 4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금액이다. 때에 따라서는 개발의 전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일부만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를 위하여 각 개발단계별로 기능점수 당 단가를 가중치에 따라 별도로 책정하고 있다.
단계 |
분석 |
설계 |
구현 |
시험 |
합계 |
가중치 |
0.19 |
0.24 |
0.32 |
0.25 |
1.00 |
단가 |
94,511원 |
119,382원 |
159,177원 |
124,357원 |
497,427원 |
?
?
보정후 개발원가
?
실제 개발비 산정에는 보정전 개발원가는 사용되지 않고, 보정후 개발원가를 사용한다. 보정후 개발원가는 보정전개발원가에 4가지 보정계수를 곱하여 구하게 되는데, 이는 소프트웨어의 개발난이도, 규모, 품질 등에 따라 개발에 드는 노력이 달라지게 되므로 이를 개발비에 반영하는 것이다.
보정계수는 아래의 유형이 존재한다.
?
- 규모보정
-?????? 일반적으로 소프트웨어 개발의 규모가 커지면 커뮤니케이션 등의 복잡도의 증가 등으로 개발에 필요한 비용이 증가한다.
-?????? 이를 위하여 개발규모에 대한 개발비를 보정하며, 공식은 아래와 같다.
- 어플리케이션 유형보정
-?????? 개발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개발비를 다르게 책정한다.
-?????? 일반적으로 단순 정보처리용보다 통신제어용, 과학기술용, 지휘통제용 등의 어플리케이션은 그 복잡도로 인하여 개발에 드는 노력이 증가한다.
-?????? 이를 위하여 어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따라 보정을 하게 되며, 그 값은 아래와 같다.
-??????? 위의 표의 값에 따라 보정계수를 곱하게 되며, 실제 산출은 전체 어플리케이션에서 각 유형의 비율을 계산하여 산출하게 된다.
-??????? 실제 계산 양식은 아래와 같으며, 최종보정계수값은 유형별보정계수를 비중과 곱하여 합산하면 된다.
?
?
- 언어 보정계수
-?????? 개발에 사용될 개발언어에 따라 개발의 생산성에 영향을 주게 되므로, 개발언어에 따른 보정계수를 적용한다.
-?????? 언어유형은 총 5가지로 구분되며 각각의 유형과 보정계수는 아래와 같다.
?
-?????? 언어 보정계수는 구현에 해당하므로 후에 보정후 개발비 산정시 분석/설계의 단가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 실제 계산 양식은 아래와 같으며, 최종보정계수값은 유형별보정계수를 비중과 곱하여 합산하면 된다.
?
- 품질 및 특성 보정계수
-?????? 사용자가 시스템에 요구하는 특정한 품질 및 특성 또한 개발의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 이를 위하여 사용자 요구 품질/특성에 따른 보정을 적용한다.
-?????? 이 보정계수는 반드시 사용자의 요구가 있는 경우에만 적용되어야 한다.
-?????? 그 유형은 아래의 4가지 유형이 있으며, 각각의 기준에 따라 영향도가 평가된다.
-??????? 위의 표에 따라 영향도를 평가 하고 각 요소별 영향도를 모두 합하여 총영향도를 계산한다.
총영향도 = 각 보정요소별 영향도 값의 합산 |
?
-??????? 총영향도가 산정되면 실제 품질 및 특성 보정계수는 아래와 같이 계산된다.
품질및특성 보정계수 = 0.025 * 총영향도 + 1 |
?
-??????? 다른 보정계수와 마찬가지로, 아래의 표를 이용하여 품질 및 특성 보정계수를 계산한다.
?
- 보정후 개발원가 산출
-?????? 보정후 개발원가는 위에서 설명한 보정계수를 개발의 각 단계별 단가에 곱하여 산출한다.
-?????? 이때,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언어보정계수는 분석,설계에는 적용하지 않으며, 구현,시험에만 적용하여 계산한다.
-?????? 실제 계산은 아래와 같은 표를 이용하여 산출하면 편리하게 할 수 있다.
-?????? 실제 작업에서는 거의 대부분 엑셀로 양식을 만들어 자동으로 계산한다.
?
- 직접경비 및 이윤 계산
-?????? 실제 개발비 산정에서는 개발이윤과 직접경비를 적용한다.
-?????? 이윤은 소프트웨어사업의 대가기준에 따라 개발비의 25% 이내에서 책정할 수 있다.
-?????? 즉, 25% 이내에서 상황에 따라 적정한 값을 적용하면 된다.
-?????? 직접경비는 대부분 SI 사업에서는 사업자가 부담하므로, 대부분 산정에서 제외되지만, 계약상 직접경비를 개발비에 포함하는 경우, 각 경비항목과 산출내역 금액을 작성하여 개발비에 합산한다.
?
- 최종 소프트웨어 개발비 산정
-?????? 지금까지의 계산한 값을 모두 더하여 최종 개발비를 산정한다.
-?????? 즉, 보정후 개발원가, 이윤, 직접경비를 더하고, 필요시 부가가치세를 더하여 최종 금액을 산출한다.
-?????? 최종 개발비는 아래와 같은 표로 표현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