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회사나 단체기관에서 모든 문서는 보호되어 사용되는데요. 문서에 대한 저작권과 외부로의 유출이 우려되기 때문입니다.이런 보호 기능중에 하나가 엑셀에서의 시트보호 기능인데요. 이 엑셀 시트보호 해제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이런 보호기능의 해제 방법은 특정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할 수 있으나 제가 알려드리는 기능은 압축해제 프로그램 하나만 있으면 시트보호를 해제할 수가 있습니다.
파일 준비
일단 보호가 걸려있는 엑셀 파일 하나를 준비해 주시기 바랍니다.
여기 엑셀 파일 하나가 있습니다.
이 파일은 시트보호 기능이 걸려있어서 파일의 수정을 할수가 없는 상태인데요.
이렇게 될 경우 파일의 수정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난감할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을 해제하려면 처음에 보호 기능을 걸때의 패스워드를 알아야 하는데요.
하지만 이 패스워드 없이 이 시트보호 기능을 해제해 보겠습니다.
엑셀 시트보호 해제
일단 저장된 엑셀파일의 확장자를 zip파일로 변환해 주시기 바랍니다.
(확장자가 안보이시는 분은 이전 포스팅인 윈도우7 확장자 보기를 참조해 주시기 바랍니다.)
zip 파일로 변경을 하신 뒤에 해당 파일을 더블클릭하면 위와 같이 압축해제 창이 열리게 됩니다.
(제가 쓰는 압축해제 프로그램을 알집이라서 알집 기준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해당 파일의 구조를 보시면 xl -> worksheets -> 보호가 걸려있는 파일의 xml을 선택합니다.
그리고 이파일을 메모장이나 편집이 가능한 텍스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열어주도록 합니다.
그럼 위와 같이 해당 워크시트에 대한 코드가 나타나게 됩니다.
패스워드 초기화
이곳의 sheet Protection password 항목을 찾아주도록 합니다.
여기에 16진수로 처럼 보이는 숫자가 적혀 있는데요.
이 숫자를 지운 다음에 해당 파일을 다시 저장해 주시면 됩니다. 바로 이 작업이 시트보호 비밀번호를 초기화 시켜주는 작업입니다.
저장을 마치시면 수정된 xml과 함께 해당 파일을 다시 압축해 줘야 하는데요.
알집에서 하게 될 경우 이렇게 자동적으로 압축기능이 제공되었습니다.
그리고 해당 파일을 다시 xlsx로 변경해 주신 뒤에 문서를 실행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해당 시트를 시트보호 해제 기능을 이용해서 해제하게 되면 비밀번호가 초기화 되었기 때문에 아무런 질의 없이 보호가 해제됩니다.
이런 방법을 쓰시면 전용 프로그램 없이 엑셀 시트보호 해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니 보호가 걸려있는 엑셀 파일을 가지고 계신분들은 유용하게 사용해 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