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선 2.5SQ[7C]mm제곱[녹]
전선 1.5SQ[7C]mm제곱[황]
10색연선 30C/0.18mm제곱
이런 선들을 챙겨야 하는데...
저기 저렇게 어지럽게 있는 알파벳들.. 무슨 단위 맞죠? 어떻게 읽고 해석해야 하나요??
그리고 10색연선 챙길려고 봤더니... 전부 쓰던거라 따로 적혀있는건 없었구요
직접 그 선들에 써있는걸 보니까 [㉿ KSC 3340 VFF 0.75mm제곱 Sang Jin 2002] 이런거 말곤 없던데...
저위에 써있는 10색연선 챙기려면 이렇게 써있으면 좀 곤란하지 않나요? 어쩌죠 ㅜㅜ
------------------------------------------------------------------------------------------------------------------------------------------------
SQ는 square 의 약자로 '평방제곱'을 의미합니다. 즉, SQ 단위는 도체의 단면적을 Square mm로 나타내는 도체 SIZE의 표시이다.
즉 소선구성이 20/0.18의 도체일 경우 지름이 0.18mm의 소선이 20가닥 꼬여 있는 상태이므로
소선 하나의 단면적은 (0.18/2)2× π가 되고 연선 된 도체의 단면적은 (0.18/2)2× π× 20)이 된다
이 값을 계산하면 약 0.5㎟,즉 0.5mm 이며 통상적으로 0.5SQ로 표시됩니다.
그리고 2C, 3C 하는것은 전선의 가닥 수를 말하는겁니다.
2core, 3core 로 2코어, 3코어 등으로 전선의 가닥수를 이야기 합니다.
아래자료는 참고자료이니 살펴 보시기 바랍니다.
<참고> 전선관련용어
감 쇄 량 |
송전단에서 인가된 전력이 수신단에 달할때까지 회로 저항에 의해 약해지며 이때의 손실을 감쇄량이라하고 송전단에 주어진 전력과 수신단에 이를 전력과의 비율을 상용대수의 10배로 나타낸것을 데시벨(dB)이라하고 통화손실의 단위로 이용한다. |
공칭단면적 |
도체의 굵기를 표시하는 것으로 도체의 계산 단면적을 절상 또는 절하하여 부른다. |
공 칭 전 압 |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이른다. |
단 선 |
도체가 한 가닥의 소선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말한다. |
대 연 |
절연된 선심 2가닥을 꼬아 주는 것 |
도 전 율 |
금속의 전기를 통해줄 수 있는 정도를 말하며 금속의 도전도를 고유저항의 역수로 나타낸 것이며 바꿔 말하면 표준 연동성의 전기저항을 20℃, 단면적 1㎟, 길이 1m에 대하여 0.017241Ω으로 이와 동일조건에 있어서의 전기저항의 비를 백분율로 나타낸 것. |
도 체 |
전선에 전류를 흘리기 위한 금속부분을 말한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재질은 구리이고, 다음으로 알루미늄이 많이 사용된다. |
복 합 연 선 |
일정규모 이상의 도체를 구성하기 위해 1차로 동심연선 또는 집합 연선된 선을 2가닥 이상을 다시 연선한 것이다. |
선 심 |
도체에 절연물을 피복한 것을 이르며 단심은 1개의 선심으로 구성된 전선이고, 다심은 2개 이상의 선심으로 구성된 전선을 말한다. |
소 선 |
도체를 형성하는 한 가닥의 선을 말한다. |
쉬 스, 자 켓 |
케이블을 기계적으로 보강하여 절연체 손상이 가지 않도록 한 최외층 피복체를 말한다 |
연 선 |
소선을 2가닥 이상으로 꼬아서 형성된 도체를 말하며, 동심원상의 구조를 동심연선, 여러 가닥의 가는 선을 일괄하여 동일방향으로 꼰 것을 집합 연선이라 한다. |
연 방 향 |
꼬임의 방향을 말하며, 아래 그림과 같이 우연(S연)과 좌(Z연)이 있다. |
|
|
유 전 손 |
유전체 손실이라고도 하며, 일반적으로 유전물이 극히 작으며 전기가 잘 통하지 않는 물질을 유전체라 한다. 이 유전체에 교류전압이 가해질 때 유전체의 내부에서 소비되는 전력을 유전체손이라 한다. 고주파 또는 고전압용 전선의 절연재료는 유전손이 적은 것을 써야 한다. |
전 선 |
전선이란 전기를 전달하기 위한 선으로 나선, 절연전선, 전력케이블, 통신케이블 등의 총칭이다. |
전 압 |
두 지점사이의 전위차를 나타내며, 폐회로를 구성시 전기가 흐르게 되는 원인이 된다. 국내에서 사용되는 주요전압은 100V, 200V, 3300V, 6600V, 33KV, 66KV, 154KV, 345KV 등이며, AC 600V이하를 저압, AC 7000V이하를 고압, AC 7000V 이상을 특별고압이라고 한고, 154KV 이상을 초고압이라 한다. |
전 송 특 성 |
전류 또는 전파를 이용하여 신호를 보낼 경우 혼선되어 들리거나(누화), 손실이 많거나(감쇄) 하는것을 적게 하여 가장 유효하게 보내도록 그 회로나 장치를 갖추지 않으면 안되는 성질의 것을 말한다 |
전 파 속 도 |
펄스신호의 전송속도를 말하며 절연체의 종류에 따라 다르다. 절연체의 유전율이 낮을수록 전파속도는 빠르며 빛의 속도 대비 백분율로 표시한다. |
절 연 체 |
도체를 피복하는 물질로 사용 전압 및 도체에서 발생되는 열에 견뎌내고, 각 도체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
내 력 |
절연체가 어느 정도의 전압에 견디는가를 이른다. 전압을 상승시키면서 파괴시의 전압을 확인하는 절연파괴와 일정 전압을 규정된 시간동안 인가하여 이상유무를 확인하는 내전압 시험이 있다. |
절 연 저 항 |
도체에 흐르는 전류의 약간량은 절연체 내부 및 표면에 전달되어 흐른다. 흐르는 량을 저항으로 나타낸 것이 절연저항으로 선로가 길면 흐르는 전류가 증가하여 절연저항이 적어진다. 단위는 ㏁-km로 표시한다. |
절 연 전 선 |
절연전선이란 동, 알루미늄 또는 각각의 합금의 단선 또는 연선한 위에 적당한 절연물로 완전히 피복 절연된 것을 말한다. |
정 전 용 량 |
절연된 도체에 축전될 수 있는량을 말하며. 신호케이블의 경우 정전용량이 크면 감쇄가 커져 신호 전송의 에러를 유발한다. 이 때문에 케이블의 종류에 따라 정전용량의 최대값이 규제되어 있다. |
지 연 시 간 |
전기신호가 회로 또는 케이블에 입력되어 출력단자에 이를 때까지 요구되는 시간이다. |
차 폐 |
외부의 전계 또는 자계에 의한 노이즈를 차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도전성 재료나 자성 재료로 절연선심 또는 선심 연합 위에 구성된 층을 말하며 방법에 따라 편조차폐, 횡권차폐, 테이프차폐 등이 있다. |
케 이 블 |
Wire의 상위 개념으로 단심 이상의 구조 및 기능을 가진다. |
코 드 |
전선중에 일반적으로 유연성을 갖고 주로 옥내에 쓰이는 것을 말하며, 도체경이 가늘게 구성되고 600V 이하에 주로 사용되어 진다. |
특성임피던스 |
전송로의 기본특성으로 저항에 상당한다. 기기에 접속 또는 전선간 접속에는 특성 임피던스가 동일한 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전송특성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생긴다. |
피 치 |
선심을 연합할 때나 도체를 연선할 때 꼬임 길이를 말하며, 일반적으로 층심연경 또는 외경의 배수로 규제된다. |
허 용 전 류 |
전선에 흐를수 있는 최대의 전류량을 말하며 도체저항과 절연체의 연속사용 최고온도 및 주위 온도를 기준으로 하여 산출된다. |
▶전력 케이블 | |||
전력 케이블은 그 사용 전압과 사용 장소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다음과 같다. | |||
약 칭 |
명칭 |
주요용도 |
비고 |
EV |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 시스 케이블 |
전기 특성이 우수 |
600V, 3.3KV, 6.6KV, |
VV |
비닐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600V 이하인 저압 |
600V 이하 |
BN |
부틸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
내열성이 우수 |
600V, 3.3KV, 6.6KV, |
RN |
고무절연 클로로프렌 시스 케이블 |
내후성 및 기계적 특성이 우수 |
600V 이하 |
CV |
가교 폴리에틸렌 케이블 |
전력 케이블의 대표격 |
600V, 3.3KV, 6.6KV, |
600V CV, 600V EV |
폴리에틸렌 절연비닐 시스케이블 |
600V이하의 일상업용 또는 주거용으로사용되는 |
KSC3611 |
3300V CV |
가교 폴리 에틸렌 전선 |
3300V 이하의 상업용 또는 산업용배전회로용 전선으로 사용되며 관로 또는 직매등을 포설 |
KSC3131 |
6600V CV |
가교 폴리 에틸렌 전선 |
6,600V 이하의 상업용 또는 산업용 배전회로용 전선으로 사용되며 관로 또는 직매등으로 포설 |
KSC3131 |
[비고]1. 국산 전선 또는 케이블에 대해서 배선 설계상의 data는 LG전선이나 대한 전선등의 것을 참조 할 것. |
▶제어 케이블 |
제어 케이블은 일반 빌딩. 공장, 발수변전소, 기타 600V 이하인 제어회로에 사용되는 케이블이다. 사용조건에 따라 절연 방법 및 외장 재료 등의 조합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다. |
(1) 일반용 제어 케이블 |
(2) 특수 용도에 쓰이는 제어 케이블 |
(3) 제어용 케이블의 종류 및 용도 | ||
약 칭 |
명칭 |
주요용도 |
CVS |
제어신호용 비닐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충실형, 600V 이하의 제어용 회로에 사용되는 케이블로 PVC로 절연 및 시스를 하고 시스사이를 PVC로 메움 |
CVV |
제어용 비닐 절연 시스 케이블 |
일반용, 600V 이하의 제어용 회로에 사용되는 케이블로 관로 또는 기중 포설되며 최대 도체사용온도는 60℃ |
CVV-S |
정전 차폐부 제어용 비닐시스 케이블 |
차폐용, 600V 이하의 정전차폐가 요구되는제어용 회로에 사용되는 케이블로 관로 또는 기중 포설되며 최대 도체사용온도는 60℃ |
CVV-SB |
편조형 제어용 비닐절연 비닐 시스케이블 | |
CEV |
제어용 폴리에틸렌 절연 비닐시스 케이블 |
일반용, 난연용 |
CCV |
제어용큐프렌절연비닐시스케이블 |
내구성,내열용 |
CRN |
제어용 고무절연플로로프린 시스 케이블 |
일반용, 가요성, 저온 특수성 |
CBN |
제어용 부틸고무 절연 클로로프린 시스 케이블 |
내구성, 내열성, 난연성 |
HCVV |
제어용 내열 PVC절연 내열비닐 시스케이블 |
내열성 가소제를 사용한 PVC로 절연 및 시스한 케이블 |
FR-CV |
제어용 내열 PVC절연 내열비닐 시스케이블 |
난연 PVC로 절연하고 난연성 PVC로 시스한 케이블 |
[비고] 일반용의 최고 허용온도는 60~80도 이고, 그이상의 경우에는 내열용 케이블을 사용한다. |
▶기타 |
전선 및 케이블 등의 종류에는 위에서 다룬 것 이외도 다음과 같은 것이 있다. |
절연전선
옥내용 절연전선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