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
일체형(공냉식,냉매방식) 항온항습기 |
타사제품 (수냉식(냉각수 방식) 항온항습기) |
용어
|
* 공랭식 (空冷式) * AIR-COOLED CONDENSING SYSTEM |
* 수냉식 (水冷式) * WATER OR GLYCOL DRY COOLER SYSTEM |
열매체와 열이동 경로
|
냉매 - 압축기 - 응축기 - 대기에 방출 |
* 냉매 - 압축기 - 응축기 - 냉각수 - 펌프 - * 냉각기(DRY COOLED) - 대기에 방출
|
UNIT 특성
|
실내기(송풍기,증발기,재열히터 가습기) + 실외기(압축기,응축기,송풍기,레시버탱크), 일체형 |
* 실내기(송풍기,증방기,재열히터,가습기, 수냉식 응축기) * 실외기(냉각수+펌프,냉각기(DRY COOLER) 외부별도설치 |
SYSTEM의 구성
|
실내기와 실외기 냉매배관으로 연결하여 냉매와 압축기의 열이동 단순구조 방식의 냉방 SYSTEM으로 구성 외부 별도 냉매가스 배관 없음 |
* 실내기와 실외기가 장거리(50-100m)에 설치된 장비에 물이나 부동액(GLYCOL) 사용하여 펌프로 냉각시키는 방식이어서 복잡 * 별도 냉각수 배관 필요 *부동액으로 인한 오염물질이 많다. |
각 SYSTEM 특성 |
공랭식ㆍ수냉식 장점만을 채택하였고, 소형용량의 실외기 설치가 어려운 항온항습실 사용함 |
공랭식일때 장거리 제한(능력저하)에 따른 수냉식 채택 소중형 용량의 100M이내의 냉각수 또는 GLYCOL 배관설비가 필요한 곳에 사용함. |
기능 및 특성 |
1) 1차 냉매 2) 2차 냉매 3) 냉관 재료 4) 실외기 설치 5) 이전설치 6) 설치공사 7) 외기냉방 |
1) 냉매(주입량 적게든다) 2) - 3) 냉매가 별도 배관 설비 없음 4) 실외기 별도 설치장소 없음 5) 별도 자재없이 이전설치 용이함 6) 설치가 간편함 7) 외기댐퍼 기능 채용하여 사계절 중 13℃이하일 때 자동으로 찬공기를 흡입하여 실내온도 외기냉방 (에너지 절감) 8) 외기냉방에 따른 냉동기 운전가동시간이 적어지므로 내구연한이 연장된다. |
1) 냉매(주입량 많이 든다) 2) 냉각수 GLYCOL 부동액 3) STEEL PIPE 별도 설비배관 (부식우려) 4) 실외기(DRY COOLER) 및 펌프 면적(장소) 별도장소 필요 5) 이전설치에 따른 배관 냉매, 전기공사 추가설치에 따른 설치비가 많이 든다. (자동제어가 별도 구성) 6) 냉각수 배관 공사가 길고 작업성이 불편하고 난이하다. 7) 외기절전 냉방 없음 8) 외기 냉방기능이 없으므로 년 중 가동되므로 내구년한이 짧다. |
냉방능력 및 효율성 |
실외기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외부연결 배관이 없어 냉방능력
|
효율증대 실외기 1차 냉매가 2차 냉각수(GLYCOL) 부동액 사용 하므로 냉방효율 15% 저하됨 |
경제성 1) 절전 2) 펌프동력 3) 투자비 회수기간 4) 투자비 |
1) 외기온도 13℃이하에서 외기냉방 절전 및 제습시 응축 (HOT GAS) 재열 이용 절전비 7.5RT/대 기준 년 약4,077,412절감 2) - 3) 7.5RT/대 2.5SUS (일반 공랭식 대비) 4) 투자비가 저렴하다. |
1) 외기냉방 절전기능이 없으므로 에너지 절전 불가능 2) 별도 냉각수 펌프 동력비 증대됨 3) 투자 회수기간 없음 4) 투자비가 많이 든다. |
관리성 1) 관리 2) 자동제어 설비 3) 부식 4) 누수 5) 환경규제 대상 6) 동파 7) 소음 8) 철거비 |
1) 일체형이므로 관리가 용이함 2) 외부 자동제어 설비 없음 3) 외부배관이 없으므로 부식우려 없음 4) 냉각수배관이 없으므로 전산실 누수 발생없음 5) ? 6) 동파 없음 7) 내부에 설치되므로 외부 소음 없음 8) 원상복귀에 따른 철거비가 들지 않는다. |
1) 실외기ㆍ펌프 배관이 외부에 별도설치되어 눈ㆍ비 별도관리 관리가 불편함 2) 자동제어의 설비가 복잡하고 운영관리가 불편하다. 3) STEEL 배관이므로 부식우려됨 4) 냉각배관이므로 누수에 따른 전산실 기능마비 우려됨 5) GLYCOL(부동액)폐기시 산업 폐기물 대상 6) 냉각 동파 우려됨 7) 실외기가 외부에 설치되므로 외부 FAN 소음이 크다. 8) 원상복귀에 따른 철거비가 많이 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