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10년 한 해가 힘차게 시작 되었습니다.
올해도 기업에서 인터넷전화를 도입하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러한 분들이 인터넷전화를 도입하면서 생각해야 할 사항들에 대해 10가지 정도로 추려 보았습니다.
1. 가장 먼저 서비스를 어떻게 제공받을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즉, 자체적으로 시스템을 구축하여서비스를 이용할지, 아니면, 사업자가 제공하는 기업형 서비스를
이용할지에 대해 결정해야 합니다.
인터넷전화를 도입하는 방법에는 크게는 2가지가 있으며, 규모 및 목적에 따라 방향을 결정해야 합니다.
첫째는 자체적으로 별도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입니다.
PSTN(기존 전화기)에서 기업 내선전화를 이용하기 위해서 키폰(규모가 작은 경우)이나
PBX와 같은 기업형 교환 시스템을 구축하여 내선통화를 무료로 이용하였습니다
이와 동일하게 IP-PBX 시스템도 규모에 따라 소형, 중형, 대형을 구분하여 구축합니다.
이때 시스템은 기업 자체 소유가 됩니다.
이때 시스템은 기업 자체 소유가 됩니다.
두 번째로 시스템을 자체적으로 구축하지 않고, 사업자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기업은 단말기만 구매하여 설치하고, 내선통화를 제공하는 기업용 교환기는 사업자가 구축하여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지요.
현재 KT, SKBB, LGD, 삼성네트웍스 등의 업체는 모두 이런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이런 서비스 형태를 IP-Centrex 서비스라고 부르고 있는데, PSTN에서도 Centrex라고
동일한 형태의 서비스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전화보다 활성화되지 않아 잘 알려지지는 않았습니다.
인터넷전화에서는 IP망을 이용하다 보니 이러한 원격 서비스 제공 개념이 휠씬 더 일반화되었지요.
최근에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활성화되는 점과도 유사하지요.
이런 서비스 형태를 IP-Centrex 서비스라고 부르고 있는데, PSTN에서도 Centrex라고
동일한 형태의 서비스가 있었습니다.
그러나, 인터넷전화보다 활성화되지 않아 잘 알려지지는 않았습니다.
인터넷전화에서는 IP망을 이용하다 보니 이러한 원격 서비스 제공 개념이 휠씬 더 일반화되었지요.
최근에 SaaS(Software as a Service), 클라우드 컴퓨팅 등이 활성화되는 점과도 유사하지요.
이러한 IP-Centrex 서비스의 장점은 시스템에 대한 투자비 및 운용비가 별도로 들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 대신 시스템 사용에 따른 회선당 기본료가 있으므로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지요.
즉, 투자비와 비용의 Trade Off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 현황을 살펴보면, 50인 이하 규모에서는 별도 장비를 구축하지 않고,
IP-Centrex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다소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그 이상인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IP-PBX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업에서 발생하는 통신비, 신규 시스템 구축 및 운용 비용,
사업자의 IP-Centrex 서비스 이용 비용 등을 상호간에 비교하여 결정해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2. 만약 1번에서 자체 구축을 할 경우 회사 내 경비로 할지, 통신사업자에게
투자를 받을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그 대신 시스템 사용에 따른 회선당 기본료가 있으므로 비용이 높아진다는 단점이 있지요.
즉, 투자비와 비용의 Trade Off 관계가 있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시장 현황을 살펴보면, 50인 이하 규모에서는 별도 장비를 구축하지 않고,
IP-Centrex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가 다소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그 이상인 경우에는
자체적으로 IP-PBX와 같은 시스템을 구축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보여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방향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현재 기업에서 발생하는 통신비, 신규 시스템 구축 및 운용 비용,
사업자의 IP-Centrex 서비스 이용 비용 등을 상호간에 비교하여 결정해야 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2. 만약 1번에서 자체 구축을 할 경우 회사 내 경비로 할지, 통신사업자에게
투자를 받을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물론 위의 결정은 기업이 마음대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은 아닙니다.
IP-PBX를 자체 구축하지 않고, 통신 사업자로부터 투자를 받기 위해서는 일정 규모의 통신비가 나와야 합니다.
즉, 통신 사업자는 통신비(음성 및 데이터를 포함)를 보고, IP-PBX 시스템과 회선 및 관련 장비를 투자할 경우 3년 약정으로 수익을 낼 수 있는지를 분석한 후에 투자 여부를 통신사업자가 결정합니다.
최근 소형 IP-PBX도 많이 라인업을 시키고 있으므로 기업 고객의 선택 폭은 넓어졌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직접 투자하지 않고, 통신 사업자의 제안서를 받아서 투자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한 검토사항이라 볼 수 있습니다.
여러 통신 사업자로부터 이번에 논의하는 10가지 검토사항을 참조하여 제안을 받고 가장 적합한 조건으로 제시한 업체를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법이라 볼 수 있습니다.
3. 단말기를 어떻게 할지에 대해 결정해야 하며, 기존 시스템은 어떻게 활용할지에 대해 결정해야 합니다.
인터넷전화는 기본적으로는 IP-Phone을 사용하나, 기존 아날로그 단말기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아날로그 GW를 구성해야 합니다.
즉, 단말 구성을 어떻게 할지를 결정해야 합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여 도입할 인터넷전화 단말기의 종류 및 수량을 결정해야 합니다.
- 기존 아날로그 단말기는 사용할 것인지? 사용하면 몇 대나 사용할 것인지?
- 신규 IP-Phone은 얼마나 사용할 것인지?신규 IP-Phone중에서 고급형(영상전화용 단말기) 전화기는 사용할 것인지?
- 사용하면 몇 대나 사용할 것인지?
- 특별한 기능의 단말기가 필요한지? 즉, 기존 사용자들 중에서 비서와 같이
특별한 목적으로 단말기를 사용하고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에 맞게 단말기를 확보해야 합니다.
이러한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여 도입할 인터넷전화 단말기의 종류 및 수량을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