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뉴스레터에서는 이동통신 표준화 동향 대신에 2013년에 새로운 이슈로 부각되고 있는 SDN(Software Defined Network) 기술 및 시장 동향에 대해서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스토리지 네트워크(SAN) 솔루션 분야 1위 업체인 브로케이드는 2013년 비즈니스 환경을 특징 지을 5대 키워드 중 하나로 “SDN(Software Defined Network)의 급성장”을 선정하였으며, 국내 정부도 SDN R&D 활성화에 적극적으로 활동하고 있다.
SDN의 정의
SDN이란 클라우드 서비스, 모바일 서비스, 스마트 TV, Big Data, 사물지능통신 등 상이한 특성을 가지는 다양한 인터넷 서비스가 증가함에 따라, 사람들은 인프라의 동작이 다양한 서비스와 환경에 따라 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유연한 구조(Flexible Architecture)를 충족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네트워크를 범용 Hardware와 Programmable Software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설정하고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개념이다. 다시 말해, 기존의 하드웨어 중심의 네트워크를 소프트웨어 기반으로 전환시키는 것이다.

표준화 동향
SDN 관련 표준화 작업은 ITU-T, IETF에서는 아직 초기 단계이며, SDN의 Control Layer와 Forwarding Layer간 표준통신 인터페이스 중 하나인 OpenFlow를 기반으로 SDN 표준화를 담당하는 산업체간의 컨소시엄인 ONF(Open Networking Foundation)이 가장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또한 작년 11월 독일에서 개최된 제1회 SDC World Congress에서 글로벌 이동통신사들이 기존의 이동통신망에 SDN 기술로 전환하기 위한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라는 단체 설립을 발표하였다.
ITU-T
TSAG(무선통신 표준 자문 기구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Advisory Group) 중 SG(Study Group) 13에서 SDN논의 계획
IETF
특정 기술 분야의 연구반인 WG(Working Group)이 구성되기 전 단계인 BoF(Birds of Feather)에서 SDN 관련 논의가 추진 중이며, 우선 SDN에 대한 정의와 범위를 논의하고, OpenFlow 중심의 ONF와의 연계성 등 표준화 범위에 대해 논의 중
ONF(Open Network Foundation)
ONF은 OpenFlow 기술 을 바탕으로 SDN의 표준호를 추진하기 위해 ‘11년 3월에 설립된 비영리 표준화 컨소시엄이다. 현재 ONF에는 네트워크 장비제조업체 뿐만 아니라 Google, Facebook, MS, Verizon 등 다양한 80 여 글로벌 ICT 업체들이 회원사로 참가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ETRI, SK텔레콤, KT, 삼성전자가 참여하고 있다.
NFV(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12년 11월 독일에서 열린 제1회 SDN World Congress에서 BT와 도이치텔레콤의 발표에서 폐쇄적인 기존의 네트워크 시장을 사용자중심의 표준시장으로 전환하기 위하여 Network Function Virtualization (NFV)라는 단체를 설립하기로 발표하였다.
NFV는 고용량/고집적 서버, 스토리지, 이더넷스위치 개발 장려를 목적으로 하며, 이 조직은 전세계 이동통신사에 초대장을 보내는 한편, 공동 PoC 등을 통해 Cost를 절감해 나가는 전략을 펼쳐나가겠다고 밝혔다. 현재 NFV에 참가하기로 한 이동통신사들은 다음과 같다.

시장 동향
SDN 관련 시장 동향
현재 전세계 ICT 시장의 화두 중 하나인 SDN 시장은 크게 OpenFlow 기술을 중심으로 한 ONF 진영, 네트워크 장비 시장을 주도하는 Cisco 진영과 네트워크 가상화 솔루션 선두업체인 VM웨어 3파전으로 요약될 수 있다.
주요 업체들의 동향은 다음과 같다.
Google
- ′12년 4월 2nd ONS(Open Networking Summit) 기조연설을 맡은 구글의 기술 인프라 부책임자 우르스 횔즐(Urs Holzle)은 자사의 글로벌 데이터센터들을 연결하고 운영되는 모든 내부 네트워크들을 위한 맞춤설계 하드웨어에 OpenFlow를 사용하고 있다고 언급
- ′09년 구글은 ONF의 표준화 움직임이 시작되기 전부터 OpenFlow 코드 테스트를 시작하였으며, ′10년 자신들의 글로벌 데이터센터들을 연결시켜 주는 이른바 ‘G-Scale 네트워크’라는 이름으로 OpenFlow 프로젝트 시작
- 구글은 인터넷 및 DC 연결을 위한 2 개의 백본이 있는데 대규모 백본 관리에 어려움이있었으며, 구글은 전송해야 할 데이터를 올바로 선별하고 보다 중요한 트래픽을 처리하기 위해 중앙 집중화된 네트워킹이 가능한 OpenFlow를 도입했다고 설명
Big Switch
- 스탠포드 대학에서 OpenFlow1.0을 개발한 팀들이 주축으로 ′10년도에 설립
- OpenFlow 기반 소프트웨어를 판매하는 회사로 NRE based SW Consulting과 Application SW 를 개발
- ′12.1월에는 Open Source OpenFlow Controller(Floodlight) 발표
- OpenFlow Application Controller, OpenFlow DPI, OpenFlow based MPLS-TE 등 제품을 보유 또는 개발 중이며, 현재 8개의 스위치 회사와 7개의 Application Controller 개발 협력 중 (국내 SKT, KT도 Big Switch사의 Controller 사용하여 TB 구축)
- ′12.6월에는 기존 Legacy Switch/Router 들과 연동성을 제공을 제공하는 OpenFlow 기반 Overlay SDN 기술을 발표
Cisco
- 네트워크 시장의 60%를 독점하고 있는 Cisco는 OpenFlow 및 SDN과 관련하여 경쟁사인 HP, IBM과 달리 초기에 소극적인 자세 유지
- OpenFlow 및 SDN의 관심도가 높아지자 ‘12년 4월 Cisco Partner Summit 2012에서 SDN 솔루션 개발벤처인 Insieme 인수 소식 발표. 이후에는 ‘12년 12월에 SDN 솔루션벤처인 Cloupia, Cariden도 인수
- OpenFlow 및 SDN 전략을 먼저 세운 HP, IBM에 대응하기 위해서 ‘12년 6월에 OpenFlow와 SDN을 포함한 Open Network Enviornemt(ONE) 전략 발표
- ONE 전략의 핵심은 Cisco의 네트워크 장비의 다양한 OS(IOS, IOS-XR, NX-OS 등)에 통합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onePK라는 API를 제공하여 개발자들이 Cisco 장비를 이용하여 Application을 개발할 수 있도록 하여 고객들을 Cisco 장비를 계속 이용하도록 유도
HP
- ONE 창단멤버로서 Cisco의 독점시장을 뚫기 위해서 OpenFlow 표준화 작업에 적극적으로 참여
- ‘12년 3월에 OpenFlow 1.0 지원 스위치 16종 포트폴리오 제공
- 현재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는 SDN, OpenFlow 테스트베드 스위치장비로 HP 장비가 대다수 사용 중
NEC
- ONE 창단멤버이며, Board Member로 NTT Communication을 고객으로 두고 OpenFlow 연구에 꾸준하고 지속적으로 개발 진행
- OpenFlow와 레거시 기능을 혼합한 하이브리드 솔루션 상품 출시
- OpenFlow 기반 스위치와 컨트롤러 장비 개발
NTT Communications
- 세계 최초로 오픈소스 기반 네트워크 가상화 기술을 적용한 멀티 가상 데이터센터 서비스 상용화
- OpenFlow 기술을 적용하여 분산된 네트워크 센터간 네트워크 연결시간을 크게 단축 (본사와 해외 데이터센터간 네트워크 연결 시간을 5일 가량에서 수 분 이내로 단축)
국내 시장 동향
대학과 연구소를 중심으로 소규모 개념 검증을 위한 Prototype 개발 정도가 추진 중이고, GIST(광주과학기술원), 충남대, KOREN, ETRI, KREONET 등에 OpenFlow H/W(HP Procurve), PC기반 OpenFlow 등을 설치하여 PoC 수준의 망 구성(OF@KOREA)
- ETRI는 고성능 멀티 코어 옥테온 NP 기반으로 OpenFlow1.0을 지원하는 SW 스위치 구현
- GIST, 연세대, 서울대에서 Open Networking Summit에서 시연
- SK텔레콤, KT, NHN 등 대기업에서도 SDN 테스트베드 구축 및 성능 시험 중
관련 자료
디지털데일리 2012.11.30 2013년, SDN 본격화, 클라우드 컴퓨팅 효과 검증 시기
전자뉴스 2012.07.19 정부 SDN R&D 팔 걷는다, 내년 ONS 유치도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