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조회 수 23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1. 형상관리에 대해

 

 오늘은 소프트웨어 개발에서 기본이 되는 형상관리에 대해서 알려 드리겠습니다. 형상관리(CM : configuration management)라고 들어보셨나요? 소프트웨어 공학을 배우신 분들에게는 익숙하겠지만, 그렇지 않으신 분들에게는 매우 생소한 단어라 생각 됩니다. 이미 배우신 분들은 형상관리가 범위도 다양하고 복잡하다는 걸 알고 있을 텐데, 오늘은 그 중에 개발자들에게 익숙한 소프트웨어 형상관리, 다른 말로 하면 소스 버전 관리에 대해 알아 보도록 하겠습니다.

 

 소프트웨어 형상관리는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줄여서 SCM라는 단어를 쓰기도 하는데, SW개발 및 유지보수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스코드, 문서, 인터페이스 등 각종 결과물에 대해 형상을 만들고, 이들 형상에 대한 변경을 체계적으로 관리, 제어하기 위한 활동입니다. 단순히 말하자면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생성하는 소스코드를 CVS나 SVN, 또는 GIT와 같은 버전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다수의 개발자가 프로젝트에서 동일한 기능을 동시에 개발한다고 할 때, 작성된 소스 코드와 변경사항을 확인하고, 수정하는 협업을 도와주는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공급망 관리를 지칭하는 Supply Chain Management(SCM)과 동일한 약어를 사용하니, 누가 SCM에 대해 물어본다면, 어떤 SCM을 말하는 것인지 확인을 하고 대답해 주세요. ^^

 

 그럼 오늘은 소프트웨어 형상관리에서 버전 관리 시스템을 왜 사용해야 하는지, 어떤 개념들이 있는지, 그리고 어떠한 시스템들이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 왜 버전 관리 시스템이 필요한가?

 

 프로그램을 만들다 보면, 잘못 만들어서 다시 소스코드를 이전 상태로 되돌릴 필요도 있고, 변경된 이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여러 명의 개발자들이 동시에 같은 소스코드를 개발하면서 발생하는 충돌에 대한 처리도 필요합니다. 이러한 것을 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할까요? 바로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과거와 달리 현재의 소프트웨어는 더 복잡해지고, 더 쉽게 변경됩니다. 만약 소프트웨어 버전관리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다른 개발자가 무엇을 했는지 알 길이 없으며, 실수를 쉽게 되돌릴 수도 없습니다.

 

 버전 관리 시스템이 없던 과거에는, 다음과 같이 누구 책임인지 싸우느라 시간을 허비 했을지도 모릅니다.

101813_1542_1.png

 

 버전 관리가 필요한 이유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개발 하는 동안 소스 코드의 변경 사항을 보존하기 위해
    • 버그 및 문제점이 발생했을 때 추적에 유용
    • 과거 특정 시점의 소스 파일 및 디렉토리의 내용을 손쉽게 확인 가능
    • 과거 특정 시점의 소스 파일로 손쉽게 되돌릴 수 있음

 

  • 협동 작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 대부분의 프로젝트는 팀 단위이기 때문에 전체 팀원이 하나의 소스를 가지고 효율적으로 작업할 수 있는 도구가 필요함
    • 인터넷을 이용한 전세계 개발자들이 협업을 하여 개발하는 오픈 소스 프로젝트에 필수

 

 

3. 버전 관리 시스템의 기본 개념

 

문제 #1: 협업하기

 두 명 이상의 사람들이 똑같은 소스코드를 같은 시간에 편집해야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대안 1

누가 수정을 할지 순서를 정한다.

한 번에 한 사람만 작업을 할 수 있다.

규칙을 어떻게 지킬 수 있도록 할 수 있을까?

대안 2

작업을 각자 한 후 차이점을 찾아 수정한다.

차이점을 찾고 수정하기 위해 수많은 재 작업이 필요하다.

재 작업 시 소스코드가 손실 될 수 있다.

 

해결책

 버전 관리 시스템은 개발자들이 동일한 소스 코드를 동시에 수정하거나 수정된 내용을 쉽게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 중앙 저장소(Repository)에 메인 소스 코드를 저장해 놓습니다.
  • 여러 명의 개발자들은 각자 로컬 PC에 중앙 저장소에 저장되어 있는 소스 코드를 작업 디렉토리(Working Copy)에 사본을 복사해 소스 코드를 수정합니다.
  • 개발자들이 소스 코드 수정을 끝낸 후, 소스 코드를 공유하기 위해서 중앙 저장소로 소스코드를 커밋(Commit) 합니다.
  • 다른 개발자는 변경된 내용을 확인 하기 위해서 중앙 저장소의 소스를 작업 디렉토리로 갱신(Update) 되도록 명령을 수행합니다.

 

101813_1542_2.png

 

 

 

문제 #2: 수정 사항 되돌리기

 간혹 수정하던 소스 코드를 다음과 같은 이유로 이전 상태로 돌아갈 필요가 생깁니다.

  • 개발을 시작한 후 시간이 지나, 잘못된 구현을 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을 때
  • 이전 상태로 되돌리면서 모든 파일에 대한 변경 이력(History)를 유지하고 싶을 때
  • 소스 코드가 언제, 무엇을, 그리고 누가 수정했는지 알고 싶을 때
    ->누군가 작성한 소스 코드를 이해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작성한 사람에게 물어보는 것입니다.

 

해결책

 버전 관리 시스템은 개발자들이 수정한 소스 코드에 대한 리비전(Revision)을 관리합니다. 리비전은 수정 시간, 수정한 사람, 수정한 내용들을 포함하고 있어, 개발자들에게 편리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또한 되돌리기(Roll back) 기능이 있어 특정 리비전 또는 특정 시간으로 소스코드를 되돌릴 수 있습니다.

101813_1542_3.png

 

 

위 두 가지 문제를 보면서 버전 관리 시스템의 기본적인 개념을 설명 드렸습니다. 그리고 위에서 나온 용어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용어

설명

중앙 저장소(Repository)

원본 소스를 저장하고 있는 저장소를 의미합니다.

작업 디렉토리(Working Copy)

원본 저장소로부터 체크아웃을 통해 내려 받은 내 로컬 PC에 있는 작업 사본 디렉토리를 의미합니다.

커밋(Commit)

작업 디렉토리에서 변경, 추가 및 삭제된 파일을 원본 저장소인 서버에 적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갱신(Update)

체크아웃을 받은 작업 디렉토리를 원본 저장소의 가장 최신 커밋된 버전까지 업데이트하는 명령어입니다.

리비전(Revision)

소스 파일을 수정하여 커밋하게 되면 일정한 규칙에 의해 숫자가 증가합니다. 저장소에 저장된 각각의 파일 버전이라 할 수 있습니다.

되돌리기(Roll Back)

작업 디렉토리에 저장되어 있는 사본을 특정 리비전 또는 특정 시간으로 복원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입니다.

 

 위 용어들은 다양한 버전 관리 시스템에서 다양한 용어로 대체되어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작업 디렉토리(working Copy)는 작업 공간(Workspace)라는 단어로, 커밋(Commit)은 체크인(Check-In)이라는 단어가 사용되기도 하니 버전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전에 어떤 단어가 위의 기능들과 매핑 되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4. 버전 관리 시스템의 종류

 

 버전 관리 시스템은 상용과 비상용(오픈소스)로 구분 할 수 있습니다.

  • 상용
    • IBM Rational ClearCase
    • Perforce
    • PTC Integrity
  • 비상용(오픈소스)
    • Subversion(SVN)
    • CVS
    • Git

 위에 나열한 시스템 외에도 수많은 버전 관리 시스템이 있습니다. 버전 관리라는 동일한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각각의 시스템들은 특색을 가지고 있어, 그 특색에 따라 툴을 사용하는 방법들이 상이합니다. 그리고 상용 프로그램들은 가격이 정말 비쌉니다. 프로그램 라이선스가 1년에 1명 사용하는데 수백만원을 넘기니 말이죠. 그리고 최근 오픈 소스 프로젝트의 대부분은 Gi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예전에는 SVN을 주로 사용했습니다. 여러분이 오픈 소스에 관심 있으시면 Git-Hub(http://git-hub.com/) 사이트를 둘러 보시면 도움이 될 것 입니다.

 

 

5. 글을 마치며

 

 버전 관리 시스템은 아마추어 개발자와 전문 개발자를 구분하는 것 중에 하나라고 합니다. 프로젝트를 혼자서 하는 경우도 있고, 몇 명이 나누어서 진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늘 일정에 쫓기다 보니 '바빠 죽겠는데 버전 관리까지 어떻게 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일주일 동안 온 힘을 다한 소스 코드를 실수로 날려 버린 경험을 가지신 분들은 버전 관리 및 소스 코드 백업의 필요성을 느끼실 것 입니다.

 

 소스 코드 버전 관리는 정말 유용합니다. 처음 익숙해 질 때 어려움은 있지만, 시간이 조금 더 지나면 버전 관리에 대한 보상을 금방 얻으실 수 있습니다. 요즘 사람들이 많이 쓰는 Git로 버전 관리를 시작해 보시겠어요?

 

출처 : http://bsnippet.tistory.com/57

?

List of Articles
번호 분류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ISP 프로세스 BRR, PI, BPM, PS 등 개념부터 명확히 JAESOO 2016.05.25 94
» 형상관리에 들어 보셨나요? JAESOO 2015.08.31 232
69 형상관리 표준 사례 JAESOO 2015.08.31 223
68 형상관리 정의, 도구의 필요성, 개념과 활용, 용어, 베이스라인 개념, 과정, 도입 고려사항, 도구 JAESOO 2015.08.31 818
67 형상관리란 무엇인가? 소프트웨어 형상관리(SCM)은 무엇인가? JAESOO 2015.08.31 195
66 ISP Prototypin, Pilot, PoC, BMT 의 차이점 JAESOO 2014.10.18 753
65 MIS 국내에서 보급된 ERP 솔루션사별 ERP종류 - 업데이트 되는 포스트 JAESOO 2014.09.16 2733
64 ISP 인건비, 제경비, 기술료 개념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의 기준,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JAESOO 2014.09.05 4384
63 ISP 관리인원(PM 등)은 직접인건비인가? 제경비인가? JAESOO 2014.09.05 703
62 ISP Reseller(리셀러), Distributor(디스트리뷰터), Vender(벤더), Dealer(딜러) 차이 JAESOO 2014.05.23 1358
61 ISP 프리랜서 단가 계산기 JAESOO 2014.05.14 960
60 ITSM의 허와 실? JaeSoo 2013.10.22 2373
59 ITSM이란 무엇일까? JaeSoo 2013.10.22 2674
58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이론과 실제 > 1부 아키텍처 개요 JaeSoo 2013.10.22 2132
57 아키텍트(Architect)의 종류와 역할 JaeSoo 2013.10.22 2304
56 입찰기초 공부하기 (입찰 안내서) - 입찰준비 과정, 참가등록 방법, 공동도급 관련 내용 등 JaeSoo 2014.04.14 894
55 ISP UML기반 개발강좌 3 - 기능점수견적 JaeSoo 2014.03.28 858
54 FP 견적방법 JaeSoo 2014.03.28 798
53 기능점수(FP,Function point) 관련 정의 및 비용산정 JaeSoo 2014.03.28 1997
52 기능점수 활용 프로젝트 추정과 계획 – 4.프로젝트 추정 및 진척관리 간이법 JaeSoo 2014.03.27 69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ageViews   Today : 247 Yesterday : 415 Total : 18661473  /  Counter Status   Today : 43 Yesterday : 69 Total : 1108222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