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번에 스위칭 패브릭 계산법에 대해 공부해 보았습니다.
이번에는 스위칭 패브릭과 항상 함께 얘기되는 Forwording Rate 계산법에 대해 공부해 보겠습니다.
                
스위치 성능(bps) :  스위칭 패브릭에 의한 최대 데이터 처리능력
                    단위 : bit


전송속도(pps) : 실질적인 데이터 처리능력(초당 몇 개의 패킷을 처리할 수있는가 ?)
                단위 : packet


우선 최대 포워딩 대역폭과 pps가 어떻게 산출되는지를 설명하기에 앞서 쉽게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4차선 도로에는 차량이 4차선 도로에 해당하는 만큼 다닐 수 있습니다.
그런데 4차선 도로에 교통 경찰이 간섭해 교통 순경 때문에 4차선 도로에서 낼 수 있는 속력을 내지 못합니다.
여기서 말하고자 하는 것은 최대 포워딩 대역폭은 4차선 도로 그 자체를 논할 때 거론되는 것이고,
교통순경이 개입된다고 할 때는 pps라는 단어를 써서 스위치 처리 능력이라고 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1개의 이더넷 포트가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이럴 경우 최대 포워딩 대역폭은 10Mbps가 나옵니다
(스위칭 패브릭은 이럴 경우 full이 된다고 가정하면 20Mbps가 됩니다).
말 그대로 물리적인 도로의 최대 전송 속도를 물어보는 겁니다.
그런데 교통 경찰이 개입해도 물리적인 도로의 최대 속력이 나올 수 있을지 다시 한번 계산을 해야 합니다.
이럴 때 쓰는 개념이 pps입니다.


< pps의 산출 공식 >


PPS(packet per second) = 1초 당 (Frame Time + Preamble Time + IFG)시간
  - Frame Time - 64바이트 프레임(프레임의 최소 단위)을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 preamble Time - 프레임 앞에 들어가는 헤더와 같은 것을 처리하는 시간
  - IFG(InterFrameGap) - 프레임 사이의 간격
 
  - packet - OSI 7계층중 3계층인 Network Layer에서 취급하는 데이터단위
             데이터(전송할데이터+포트넘버)와 IP주소가 포함된 데이터 단위
  - Frame - OSI 7계층중 2계층인 Data Link Layer에서 취급하는 데이터 단위
             패킷이 포함하고있는 데이터에 MAC주소가 포함된 데이터 단위


이더넷 패킷 최소 길이
1 Packet = 84 byte(= 64 byte + 8 byte 프레임블 + 12 byte 프레임 간격)
         = 672 bits(=64byte*8 + 8byte*8 + 12byte*8)


이더넷에서 1비트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0.1㎳
  0.1ms = 1 bit
  1ms = 10 bits(=1.25 byte)
  1sec = 10000 bits(=1250 byte)


1 Packet 처리하는데 걸리는 시간(= Frame Time + Preamble Time + IFG)
  = 67.2ms(= 64byte*8*0.1ms + 8byte*8*0.1ms + 12byte*8*0.1ms)
  = 67.2ms(= 512bits*0.1ms + 64bits*0.1ms + 96bits*0.1ms)
  = 67.2ms(= 51.2ms + 6.4ms + 9.6ms)


672 bits/sec(=bps) = 1 packet/sec(=pps)
672 bps = 1 pps
1 bps = 1/672 pps = 0.001488 pps
1 Kbps = 1.488 pps
1 Mbps = 1488 pps = 1.48 Kpps
10 Mbps = 14880 pps = 14.8 Kpps
100 Mbps = 148800 pps = 148.8 Kpps = 0.1488 Mpps
1000 Mbps = 1488000 pps = 1.488 Mpps


다음은 시스코 스위치의 사양입니다.
Cisco Catalyst 3560-24TS: 24 Ethernet 10/100 ports and 2 SFP-based Gigabit Ethernet ports
Cisco Catalyst 3560-48TS: 48 Ethernet 10/100 ports and 4 SFP-based Gigabit Ethernet ports
Cisco Catalyst 3560G-24TS: 24 Ethernet 10/100/1000 ports and 4 SFP-based Gigabit Ethernet ports
Cisco Catalyst 3560G-48TS: 48 Ethernet 10/100/1000 ports and 4 SFP-based Gigabit Ethernet ports


38.7 Mpps (Cisco Catalyst 3560G-48TS, Catalyst 3560G-48PS, Catalyst 3560G-24TS, and Catalyst 3560G-24PS);
13.1 Mpps (Cisco Catalyst 3560-48TS and Catalyst 3560-48PS);
6.5 Mpps (Cisco Catalyst 3560-24TS and Catalyst 3560-24PS);


제조사에서 제시한 Forwading Rate이 이론과 맞는지 확인해 볼까요?
Forwarding Rate(포워딩 레이트)
C3560-24TS Forwarding Rate
 = 24 port * 0.1488Mpps + 2 port * 1.488Mpps = 3.571Mpps + 2.976Mpps = 6.547Mpps
C3560-48TS Forwarding Rate
 = 48 port * 0.1488Mpps + 2 port * 1.488Mpps = 7.142Mpps + 2.976Mpps = 10.118Mpps


C3560G-24TS Forwarding Rate
 = 24 port * 1.488Mpps + 4 port * 1.488Mpps = 35.712Mpps + 5.952Mpps = 41.664Mpps


 C3560G-48TS Forwarding Rate
 = 48 port * 1.488Mpps + 4 port * 1.488Mpps = 71.424Mpps + 5.952Mpps = 77.376Mpps


그러므로 Cisco 스위치에서는
10/100Mbps 스위치는 제시된 Forwading Rate과 이론적 Forwading Rate이 거의 일치하지만
10/100/1000Mbps 스위치에서는 제시된 Forwading Rate이 이론적 Forwading Rate에 훨씬 못 미치네요

스위치 장비의 스펙을 이해하시는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합니다.


출처 : https://www.netbuysell.co.kr/global_asp/board/board_view.asp?K_no=365&page=1&Hit_Plus=85&Codeno=2&Pgtype=A&Html_change=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20 H514G 모뎀 대신 사용가능한 허브 iptime H5005-IGMP JAESOO 2015.08.28 944
19 케이블 교체 공사없이 제공되는 기가급 (300~500Mbps) 인터넷 서비스란? JAESOO 2015.08.28 527
18 [네트워크 트러블 슈팅 ④] 네트워크 장비별 트러블 슈팅 JAESOO 2015.06.16 523
17 백본스위치(backbone switch)란? JAESOO 2015.06.16 1946
16 Cisco L3 이중화 - 2. 장애 시나리오 및 테스트 JAESOO 2015.06.16 604
15 [White Paper] 업무연속성과 해재복구 계획 수립 JAESOO 2015.06.16 113
14 Switch , VLAN , VTP JAESOO 2015.06.16 236
13 Switch의 Loop방지기술 - STP JAESOO 2015.06.16 195
12 Router 와 L3 Switch의 차이 JAESOO 2015.04.16 530
» 스위치 성능인 PPS(Packet per Sec, 초당 처리 가능한 최대 패킷 수) 계산법 JAESOO 2014.11.27 399
10 PPS(Packet per Sec, 초당 처리 가능한 최대 패킷 수) 계산법 JAESOO 2014.11.27 1318
9 [Switch 기능] STP, RSTP, MSTP에 관해서… JAESOO 2014.10.21 984
8 네트워크 장비 L2 · L3 · L4 · L7 JAESOO 2014.10.21 950
7 STP보호기술 2 - BPDU Filtering 와 Loop Guard JaeSoo 2014.03.25 823
6 STP보호기술 1 - BPDU Guard 와 Root Guard JaeSoo 2014.03.25 751
5 loop방지 및 STP 보호기술 (Spanning tree) JaeSoo 2014.03.25 789
4 CISCO 2960G 에 port mirroring 설정하기 JaeSoo 2014.03.22 2794
3 인티게이트(IntiGate) QoS 스위치 제품 소개 JaeSoo 2014.03.20 1161
2 L4 ~ L7 스위치의 차이점 JaeSoo 2012.08.11 2235
1 시스코 장비 : Switch의 종류 JaeSoo 2012.08.11 1618
Board Pagination Prev 1 Next
/ 1

PageViews   Today : 74 Yesterday : 14037 Total : 18734522  /  Counter Status   Today : 23 Yesterday : 99 Total : 1119216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