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기본적으로 망과 망을 연동해 놓은 망의 집합을 의미하는 인터넷은 국제 컴퓨터 통신망의 한 가지로 서로 다른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 사용자들과 연결해 여러가지 서비스를 제공받으며 통신할 수 있는 세계 최대의 컴퓨터 통신망이다. 인터넷은 크고 작은 수많은 망들이 상호접속(interconnection) 돼 있어 이용자에게는 전체가 하나의(seamless) 네트워크인 것으로 인식된다. 그러나 수없이 많은 망과 망으로 구성돼 마치 복잡하게 얽힌 거대한 실타래처럼 보이는 인터넷도 나름대로 계층구조를 형성하고 있다. 이용자가 인터넷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ISP(Internet Service Provider)에 접속해야하며, ISP는 이용자가 인터넷에 있는 모든 콘텐츠 또는 다른 이용자와 통신이 가능하도록 타 ISP와 직접 접속하거나 연동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트래픽 소통 경로를 확보해야 한다. |
![]() |
IX(Internet eXchange)는 이러한 인터넷 트래픽을 상호 교환시켜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인터넷 계층구조의 최상부 네트워크, 즉 독자적인 인터넷망 혹은 다른 사업자 인터넷망간 현지 상호접속이 용이하도록 트래픽 교환을 제공하는 것으로 국내 인터넷 트래픽이 해외를 거치지 않고 원활하게 상호 교환되도록 하기 위한 인터넷 연동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물론 ISP의 수가 적다면 모든 ISP 간에 직접적인 상호접속이 가장 효율적인 방안이 될 것이다. 하지만 ISP의 수가 많은 경우에 이 같은 직접적 상호접속은 과다한 회선비용 지출과 접속회선 수 증가로 인한 라우터 장비의 포트 투자비 증가가 불가피하게 된다. 또한 인터넷 환경에서는 트래픽 변화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는 점도 문제다. 따라서 인터넷 트래픽이 언제든지 급격히 증가할 수도 있는 상황에서 각 ISP가 직접 연결로 상호 간의 트래픽을 유연하게 관리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고 보면 된다. 예를 들어, 한 ISP가 인터넷 서비스를 하기 위해서는 국내 약 80여개 ISP 업체에 직접 회선을 연결해야 하며, 미국 유럽 등의 ISP와도 직접 연결해야 한다. 막대한 비용을 투자해 직접 회선을 구축했다 하더라도 인터넷 환경이 변해 트래픽이 급증하면, 다시 모든 회선과 장비를 증설해야 한다. 인터넷 환경 변화에 따른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등장한 것이 바로 IX인 것이다. |
![]() |
ISP 연동비용 절감 ISP가 사업상 무언가 결정하고 선택을 할 때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이 통신비용이다. 인터넷 이용자가 지불하는 서비스 이용요금은 한정적이지만, 이용자가 이용하는통신량과 통신 속도는 해마다 증가해 이용자의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회선 증설은 필수다. ISP 간의 연동은 중계연동(Transit)과 상호연동(Peering)으로 나눠진다. 중계연동과 상호연동에 대한 정의도 국제적으로나 국내적으로 명확한 정의가 없지만, 일반적으로 중계연동은 대형 트래픽을 차지하고 있는 ISP 또는 NSP가 타 ISP에게 트래픽을 전송해주는 것, 상호 연동은 ISP와 ISP간 각자의 인터넷 트래픽을 교환하는 것으로 이해되고 있다. 이 중계연동과 상호연동 비용 가운데 높은 항목이 중계연동서비스 비용이다. ISP는 IX를 통한 상호연동으로 타 업체에게서 일괄적으로 제공받는 중계연동회선 방향의 트래픽을 최소화함으로써 그 비용을 감소시키고 효율적인 인터넷 정책을 시행할 수 있다. 즉 IX를 통해 ISP간 상호연동이 많으면 많을수록 중계연동을 통한 서비스 비용이 최소화되는 것이다. |
![]() |
낮은 대기시간 ISP 간 상호연동을 통한 직접연결의 또 다른 이면은 해당 ISP의 인터넷 고객이 낮은 대기시간으로 인한 속도 향상을 경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 위주의 ISP와 콘텐츠 위주의 ISP가 IX를 통해 직접적 트래픽을 교환할 경우, 사실상 중계연동으로 인한 홉(Hop)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소한의 홉 수는 인터넷 사용자가 콘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때 발생하는 대기시간 (Latency time)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다. |
![]() |
불필요한 국내자본 해외유출 방지 IX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서로 다른 ISP 간의 인터넷 트래픽을 최단거리로 상호 교환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 국가의 기준에서 볼 때, 자국 내의 IX는 국내 ISP간의 인터넷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소통시켜 줌으로써 자국 내 트래픽의 불필요한 해외 경유 접속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다. 즉, 국내 인터넷 사용자간 트래픽 혹은 국내 콘텐츠 이용 트래픽을 자국 내 IX를 통해 소통함으로써 자국 내 ISP가 국제회선 업체에게 지불하는 해외 인터넷 접속용 중계연동(Transit)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