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조회 수 2572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많은 분들이 원하시는 기능이 집이나 사무실 바깥에서 집이나 사무실 내부에 있는 컴퓨터를 ON 시키고 싶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 인터넷을 검색해보시면 어떻게 하면 되더라 또는 되었다 안되었다 하더라라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우선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될 수도 있고 안될 수도 있으며, 언제나 될 수 있는 일반적인 기술은 현존 네트워킹 환경에서는 없다!"

입니다. 그리고 되려면 반드시 공유기가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있습니다. (역으로 공유기가 있다고 다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제 이에 대한 진실을 알려드리겠습니다.

먼저 이 부분에 대한 내용은 공유기에 대해 약간의 지식이 필요합니다. 

잘 모르겠으니 알아 듣게 이야기 해달라고 말씀 해주신다면 정말 죄송하지만 이게 노력해서 알아 듣기 쉽게 정리한 내용입니다.

더 이상 정리는 어려우며, 먼저 공유기에 대한 이해를 가지시고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필요한 사전 지식:

공유기에 대한 간단하려다 길어진 설명입니다.

RemoteX 와 유무선 공유기 연관 도표

공유기 관련 질문/답변들


오해가 많은 또 다른 부분:

공유기와 WOL은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WOL이란 공유기와 관련 없는 하드웨어 표준입니다.

WOL을 지원하는 공유기란 공유기 관리 페이지에서 사용자가 미리 등록해 놓은 PC로 WOL 신호 보내기 버튼을 제공하는 것 뿐입니다.

RemoteX의 경우 WOL 신호를 직접 보내기 때문에 공유기의 WOL지원 여부와는 전혀 관계가 없습니다.



그럼 들어갑니다~ 


네트워크를 하기 위해  PC는 라우터라는 네트워크 장비를 통해 연결이 되어 있습니다. 우리가 흔히 이야기하는 동일한 네트워크 망이란 동일한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라우터는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PC들에게 IP를 할당해주는 역할을 하며, 같은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으면 192.168.1.2, 192.168.1.3과 같은 식으로 서로 비슷한 IP를 가지게 됩니다.


라우터란? 네이버 백과 사전 참조 - 라우터 [router]

우리가 많이들 사용하는 공유기는 일종의 라우터 입니다. 라우터 기반에 인터넷 공유라는 기능이 추가되어 있는 형태입니다.

공유기 = 라우터 이렇게 생각하시면 되며, PC에게 사용할 수 있는 IP를 허가해주고 IP와 IP를 사용하는 PC 정보들을 기억하고 있으면서 IP로 온 신호를 해당 PC로 전달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꺼져 있는 PC는 자신에게 할당된 IP를 라우터에게 반납합니다. 그러므로 꺼져 있는 PC는 IP가 없습니다. 그런데 현존의 네트워킹 기술은 IP를 대상으로 신호를 보내기 때문에 IP가 없는 PC로는 네트워크 신호를 보낼 수 없습니다. 그런데도 불구하고 WOL이란 기능을 통해 꺼져 있는 PC를 ON시킬수 있는 이유는 이렇습니다. 

  • 모든 라우터는 브로드캐스팅이란 표준 기술을 지원하며, 브로드캐스팅은 IP와 상관없이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PC (정확히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랜선으로)에게 네트워크 신호를 보내는 방법입니다.
  •  꺼져 있는 PC의 특정 정보 (랜카드에 있는 고유 식별 값인 MAC)를 담고 있는 특정 유형의 신호(이는 매직 패킷이라 칭합니다.)를 브로드캐스팅 합니다.
  • WOL 설정을 하면 해당 PC의 랜카드는 반쯤은 깨어 있는 상태에서 지나다니는 네트워크 신호를 바라보게 되며 자신의 랜카드 정보를 담은 매직 패킷이 보이는 순간 메인보드로 신호를 보내고, 메인보다는 PC를 ON 시킵니다.

이 과정에서 WOL을 위해 라우터의 브로드캐스팅이란 기술이 매우 중요합니다. 하지만 브로드캐스팅에서는 제약이 있습니다.

  • 라우터를 통해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발생 시키거나 브로드캐스팅 신호를 받기 위해서, 
  • 발생시키는 PC나 받는 PC가 모두 동일한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어야 할 것.
  • 브로드캐스팅이란 자기가 연결된 라우터에만 발생시킬 수 있고, 자기가 연결된 라우터내에서 발생된 것만 들을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제약은 라우터마다 다른 것이 아니라 모든 라우터가 공통적으로 지키고 있는 표준적인 규약입니다.
이를 통해 발생되는 결과는 이렇습니다.
  • 다른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는 PC간에서는 서로 알아 들을 수 있는 브로드캐스팅을 발생 시킬수 없다.
  • 브로드캐스팅을 제외하면 모든 네트워킹은 대상 PC의 IP를 반드시 알아야 한다.
  • 다른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으면서 꺼져 있는 PC는 IP가 없으므로 다른 라우터에 연결되어 있는 PC는 스티브 잡스라도 네트워크를 통해 신호를 보낼 방법이 없다.
  • 그러므로 서로 다른 라우터에 연결된 PC들은 상대방이 꺼져 있을 때 WOL을 통해 ON 시킬 수 없다.

그런데도 라우터 외부에서 라우터 내부의 PC를 원격으로 ON 시키는 것이 된다는 분들이 계십니다. 

  • 라우터는 PC가 꺼져도 일정 시간 (이건 라우터마다 다르며, 길어야 몇 분 정도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동안은 해당 IP가 유효하다고 생각합니다.
  • 이렇게 라우터가 해당 PC 정보를 기억하고 있는 동안은 라우터 외부에서 해당 PC의 IP로 신호가 오면 그 PC로 신호를 전해주려고 하고 이 과정에서 해당 PC를 ON 시킬수 있습니다.
  • 그러나 잠시후 라우터는 그 IP를 잊어 버립니다. (라우터는 붕어같아요.) 그리고 해당 PC가 켜지기 전까지는 그 IP는 사용안 하는 것으로 판단하여 이후에는 그 IP로 신호가 와도 라우터가 전혀 전할 생각 하지 않고 신호를 폐기합니다.

PC가 꺼지자마자 공유기 외부에서 해당 PC의 매직패킷을 보내면 백발 백중 켜집니다. 그래서 기쁨에 바로 인터넷에 된다고 글을 적으신 경우가 많습니다. 아쉽게도 잠시후에는 안된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아니 아까는 되었는데 왜 안되는거지 하면서 밤을 새시는 분들이 허다하십니다.


하지만 우리에게 마지막 희망이 아직 있습니다. 그건 공유기(또는 라우터)에서 제공하는 포트포워딩 기능입니다. 이 마지막 희망은 반드시 자신만의 공유기가 있어야 합니다. 라우터의 경우는 대부분 초고속인터넷 제공 회사의 장비이기 때문에 개인이 설정 할 수 없습니다.


공유기 포트포워딩이란? 유선공유기의 포트포워딩 설정에 대한 이해.

  • 공유기는 늘 켜져 있고 인터넷 IP를 할당 받는 장비이므로 인터넷 상에서 늘 접근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공유기는 포트포워딩 설정이 가능합니다. 자신에게 온 신호를 자신에게 연결되어 있는 특정 PC로 전달해주는 기능입니다.
  • RemoteX 는  WOL 신호를 UDP 9번 포트를 통해 전송하며, User defined 서버라는 항목을 통해 사용자가 입력한 주소로 구성된 서버를 만들 수 있습니다.
  • 사용자는 자신의 공유기 포트포워딩 설정에서 공유기 외부에서 UDP 9번 포트로 온 신호를 공유기 내부의 특정 IP로 전달 시키는 설정을 할 수 있습니다. 이때 공유기 내부의 특정 IP를 PC의 아이피가 아닌 브로드캐스팅 포트 (공유기 내부 IP가 192.168.0.1 일때 192.168.0.255 와 같은 식으로 설정. 공유기 설정에 따라 약간 씩 다를 수 있음.)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 이런 설정이 가능한 공유기라면 RemoteX가 공유기 외부에서 보낸 WOL신호를 자신에게 연결된 모든 PC에게 브로드캐스팅합니다. 
  • 이제 공유기 외부에서 공유기 내부의 PC를 ON 시킬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포트포워딩을 통한 브로드캐스팅은 전혀 표준적인 기술이 아닙니다. 이건 공유기 제조사 마음대로 해당 기능을 넣을 수도 있고 안 넣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되는 공유기가 있고 안되는 공유기가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많이 사용하는 IPTIME의 경우 제가 테스트해 본 3종류의 공유기들은 모두 포트포워딩을 통한 브로드캐스팅이 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인터넷을 찾아보면 분명 IPTIME것 중에 되는 것도 있는 것으로 판단되고 있습니다. 

제가 직접 IPTIME에 문의해보니 상담원의 답변은 포트포워딩을 통한 브로드캐스팅은 지원하지 않는다 였습니다. 하지만 IPTIME의 다른 게시글에는 된다고 답변한 상담원도 있었습니다. 저는 전화로 상담했고, 제가 상담했던 상담원은 안된다고 하더군요.

구글링을 해본 결과 외국에서는 이렇게 패킷포워딩을 통한 브로드캐스팅을 지원하는 공유기들이 꽤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

공유기 외부에서 공유기 내부의 PC ON이 가능한 공유기 정보들은 저희도 계속 정보를 수집하고 있는 중이며 어느 정도 정리가 되면 게시하도록 하겠습니다. 저희가 모든 공유기를 사서 테스트해볼 수는 없으므로 주로 검색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있지만, 혹시 가지고 계신 공유기가 포트포워딩을 통한 브로드캐스팅을 지원한다면 저희에게도 제보를 부탁 드립니다.

 

출처 : http://peepleware.com/xe/?mid=faqk&page=1&document_srl=4882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 공유기 외부에서 WOL 기능을 통해 PC ON 시키기 JaeSoo 2013.01.11 2572
92 터치로 컴퓨터 켜기 JaeSoo 2013.01.04 3118
91 PC의 WOL 기능 설정하기 JaeSoo 2012.12.26 3007
90 Asrock P55 Pro 바이오스 설정 설명 JaeSoo 2012.12.25 10474
89 Vmware Bios Upgrade (No-Execute Memory Protection) JaeSoo 2012.12.25 3547
88 CPU TDP(열 설계 전력, Thermal Design Power) 보기 JaeSoo 2012.11.16 2120
87 CPU의 제원표 알아보기 JaeSoo 2012.11.16 1611
86 BIOS 용어 정리 JaeSoo 2012.11.11 1830
85 컴퓨터 장치관리자의 알 수 없는 장치 알아 내기 JaeSoo 2012.11.08 2825
84 High Definition Audio 버스의 오디오 장치 문제 발생시 해결 방법 JaeSoo 2012.11.08 3040
83 ATI 그래픽 카드 때문에 생긴 'High Definition Audio 버스의 오디오 장치' 오류 해결방법 JaeSoo 2012.11.07 3213
82 시스템 버스 PCI-E 3.0 기술과 발전 JaeSoo 2012.11.06 2072
81 입문자를 위한 인텔(Intel) CPU 브랜드 설명 JaeSoo 2012.10.31 1722
80 인텔(Intel) CPU 종류 JaeSoo 2012.10.31 2566
79 하드디스크도 합체한다 - 레이드(RAID) 디스크 구성의 이해 JaeSoo 2012.09.25 6236
78 인텔 E3200 울프데일 듀얼코어 CPU를 싱글코어로 설정하여 전력소모 줄이기 JaeSoo 2012.09.11 2522
77 LG 3D TV로 지상파 3D 방송을 시청하고 싶어요. JaeSoo 2012.07.22 1222
76 클러스터 크기 조정으로 HDD 속도 향상 JaeSoo 2012.07.04 2379
75 인텔 내장그래픽에서 1680*1050, 1440*900 해상도를 지원 안할경우 해결법 JaeSoo 2012.05.28 2531
74 안드로이드 원격제어 [모비즌] 사용후기 JaeSoo 2012.05.24 2144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PageViews   Today : 945 Yesterday : 1026 Total : 21710852  /  Counter Status   Today : 671 Yesterday : 813 Total : 1140567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