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s를 이용한 여러가지 파일리스팅 기법들을 알아본다.
◎ 자주 사용하는 ls 명령어
# ls -la // 목록을 자세히 그리고 숨김파일을 포함하여 나열함
# ls -lahS // 목록을 자세히 그리고 숨김파일을 포함하여 파일사이즈순으로 용량을 알아보기 쉽게 나열
# ls -lSR // 목록을 자세히 그리고 파일사이즈 순으로 하위디렉토리까지 나열함
◎ 사용형식 : ls [옵션] [디렉토리] [파일]
[옵션]
-R : 지정한 디렉토리이하에 있는 하부디렉토리와 파일들을 모두 포함한다.(Recursive)
-r : 출력결과를 정열할 때에서 내림차순으로 정렬한다.(Descending)
-S : 파일사이즈가 가장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다.
-l : 파일들을 나열할때 자세히 출력한다.
-a : 경로안의 모든 파일을 나열한다.(숨김파일도 포함)
-h : 파일사이즈를 용량단위(Mb,Gb)를 붙여서 출력해 준다.
-n : 파일의 소유자와 소유그룹을 표기할때 숫자로 UID, GID를 출력한다.
-U : 디스크의 저장순서대로 파일을 나열한다.
-i : 각 파일들의 색인번호(inode)를 각 행의 맨 앞에 출력한다.
-1(숫자1) : 한 줄에 한 파일씩만 나열한다.
-X : 확장자별로 정열하여 나열한다.
-F : 파일의 종류별로 파일의 끝에 특수문자를 표시한다(일반파일: 아무표시없음, 실행파일: *,디렉토리: /,심볼릭링크: @,FIFO파일: |,소켓파일: =)
◎ 리눅스에서의 시간개념 3가지
시간개념 | 의미 |
---|---|
atime | - access time을 의미함 - 디렉토리라면 cd로 접근하여 ls로 디렉토리의 내용을 확인해본 시간 |
mtime | - modification time을 의미함 |
ctime | - creation time |
◎ 파일의 변경 시간을 기준으로 나열
# ls -l // 파일의 생성시간
# ls -ult // 파일의 사용시간, 파일의 access time
# ls -clt // 파일의 최근 변경시간, 파일의 cti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