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SU는 Channel Service Unit의 약자로 T1 또는 E1 트렁크를 수용할 수 있는 장비로서 각각의 트렁크를 받아서 속도에 맞게 나누어 분할하여 쓸 수 있는 장비이다. Channel Service에서 Channel이란 한 개의 채널에 64kbps 또는 56kbps의 전송속도를 갖는 것을 말한다. 보통 64kbps를 1채널로 본다. 그래서 128K는 64kbps 두개의 채널을 사용해 128Kbps 속도를 낸다. 256K 나 512K도 마찬가지로 전송로에 할당된 채널 여러개를 사용해서 전송속도를 낸다. 그리고 실제 전송할때 각의 채널이 따로따로 전송되는 것은 아니라 Mux라는 집중 장비가 여러개의 채널들을 모아서 하나의 대용량 전송로를 통하여 한꺼번 에 전송되는 트렁크 방식으로 전송이 된다. 그러므로 CSU는 바로 이러한 트렁 크라인(T1이나 E1)을 그대로 수용할 수 있는 장비이다.
전송방식의 차이로 T1은 24channel이 가능하고 E1은 30channel을 수용할 수 있다. 연결된 T1 이나 E1        전송로는 CSU의 옵션에 따라서 채널수가 지정되고 정해진 채널수에 따라서 그에 따르는 전송로의 전송속도가 결정된다. 그러나 한쪽에서        T1-MUX에서 분기되고 다른쪽에 E1-MUX에서 분기가 된다면 사용 할 수 없다. 이것은 CSU가 T1과 E1 채널이 서도 다르기       때문이다. 
▶CSU는 T1,E1을 접속하여 내부에서 채널옵션에 따라 512K등 고속전송을 한다. 그리고 여러       개의 고속채널들은 Mux 집중화 장치로 연결되면서 하나의 트렁크라인으로 모여서 전송되는데 이것을 트렁크       전송이라한다             
  | 
개요  |   CSU DS2000D는  T1/E1 서비스에 접속 가능한               단일 PORT의 Fractional T1/E1 겸용 장비로  | 
규격  |   º   Fractional              T1/E1  인터페이스  | 
구분  | T1 CSU규격  | E1 CSU 규격  | 
  | 
전송방식  | 4선식 전이중방식  | 4선식 전이중방식  | 
  | 
FRAME  | ITU-T G.704(D4,ESF)  | ITU-T G.704(CRC-4,FRAME가능)  | 
  | 
LINE CODE  | ITU-T G.703(AMI,B8ZS)  | ITU-T G.703(AMI,HDB3)  | 
  | 
선로 속도  | 1.544Mbps + 32ppm  | 2.048Mbps + 32ppm  | 
  | 
선로 임피던스  | 100Ω ± 10%  | 120Ω ± 10%  | 
  | 
DTE Rate  | 56 X N, 64 X N (N=1~24)  |  CAS : 56 X                          N, 64 X                          N(N=1~30)  | 
  | 
전송속도  | 56Kbps ~ 1,536KBPS  |  CAS : 56Kbps ~                         1,920KBPS  | 
  | 
LBO  | O, -7.5, -15, -22.5dB  | NO  | 
  | 
선로 구동거리  | 1.2Km(24AWG)  | 0.8km(24AWC)  | 
  | 
LINE Interface  | RJ-48  | 
SYSTEM CLOCK  | 자체, 수신 ,외부  | 
DTE Interface  | ITU- TV. 35  | 
소비전력  | 110V/220V/60Hz(13.9W)  | 
크기  | 205mm(D)x 300mm(W)x 47mm(H)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