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조회 수 162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httpd.conf

apache컴파일하기 전에
# vi 아파치경로/server/mpm/prefork/prefork.c
[EDITOR]#define DEFAULT_SERVER_LIMIT 256 을
[EDITOR]#define DEFAULT_SERVER_LIMIT 1280 으로 수정
저장하고 아웃
# vi 아파치 경로/server/mpm/worker/worker.c
[EDITOR]#define DEFAULT_SERVER_LIMIT 16 을
[EDITOR]#define DEFAULT_SERVER_LIMIT 20 으로 수정
저장하고 아웃 하셔야 합니다.

설정 개념

먼저, KeepAlive On 으로 세팅합니다. KeepAlive 는 접속 유지 개념으로, 만약 접속중에 다른 이미지를 호출하면 새로운 연결을 만들지 않고 (새로운 쓰레드나 프로세스를 띄우지 않고) 그냥 있는 연결로 이미지를 보여주겠다는 개념인데요
이게 중요한 이유가, <img src=xxx> 인 경우 그때마다 연결을 새로 만들거든요.. KeepAlive Off 인경우 말입니다.
그런데..KeepAlive 는 양날의 검인것이, KeepAliveTimeout 에 적혀 있는 시간이 지날때까지
접속이 안끊깁니다. 즉, 계속 연결이 살아 있으니, 동시접속 한계에 부딪치게 되죠.
따라서

KeepAlive On
KeepAliveTimeout 2
(2초간 접속을 끊지 않고 기다린다..)
이렇게 설정하는것이 최상입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KeepAliveTimeout 1 이렇게 1초만 설정하기도 하죠.
1초~2초 사이를 줍니다.

1초, 2초의 기준은 사이트를 직접 운영하면서, 스코아 보드를 보면서 셋팅해야 되요. 이정도가 적당하겠구나.. 하구요

그다음 중요한 설정이
Timeout 30
이부분입니다. 아파치 디펄트는 Timeout 300 으로 되어 있는데요
"아무 신호가 들어오지 않더라도 접속을 유지시켜 주는 시간" 을 말합니다.
대형사이트의 경우 Timeout 10 이런식으로 아주 작게 잡습니다.
dos 공격을 방지하기 위해서죠.

그다음.. 설정이, prefork 이냐 worker 이냐에 따라 다른데요
(이건 컴파일때 설정..)
참고로 fork 란, 아파치 버젼 1.3 대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실행중인 프로세스를 똑같이 복사해 냅니다. 이때 메모리까지 똑같이 복사하기 때문에, 프로세스가 소비하는 메모리를 그대로 소비합니다.
(메모리를 많이 먹죠)

worker 는 2.0 대에 나온 개념으로 모든걸 쓰레드로 처리하면, 굉장히 불안해 집니다.
단 하나의 쓰레드에 문제가 생기면, 해당 쓰레드가 물려있는 모든 프레세스들이 다 문제가 생깁니다.
아파치가 궁리끝에 내어놓은 대안은 "하나의 프로세스가 만들어내는 최대 쓰레드 갯수는 64개로 제한한다" 입니다.
즉, 쓰레드 하나가 문제 생겨도 해당 64 개 만 문제가 생기지 나머지는 괜찮은 겁니다.
ServerLimit 20 --> 서버 갯수를 설정합니다.
StartServers 20 --> 아파치를 처음 시작할때 생성하는 서버 갯수입니다.
MaxClients 500 --> ThreadsPerChild * StartServers 값입니다.
ThreadsPerChild 25 --> 서버 하나가 만들어 낼수 있는 쓰레드 갯수입니다. 최대 64개 입니다.
MinSpareThreads --> 서버 하나가 만들어 낼수 있는 쓰레드의 최소 갯수입니다. 보통은 ThreadsPerChild 와 맞추어 줍니다.
MaxSpareThreads --> 시스템 전체에서 만들어 낼수 있는 쓰레드 갯수의 최대치 입니다.
ThreadsPerChild * StartServers 값이며, 보통 MaxClients 와 맞추어 줍니다.
MaxRequestsPerChild --> 서버 하나가 만들어 내는 접속의 최대치 입니다. 0 일경우 무한대 이며, 숫자를 적으면 그 숫자만큼 접속되고 나면 서버를 죽였다 살립니다.

MaxRequestsPerChild란?
웹서버란게 100% 완벽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그경우, 메모리 누수.. 등 메모리 에러가 날수 있는데요
그런경우 MaxRequestsPerChild 에 값을 적어 놓으면 MaxRequestsPerChild 1000 이렇게 설정하면 클라이언트 접속을 1000 번만 처리하고 죽어 버립니다.
물론 죽고난 다음 다시 살아나죠..
그렇게 하면, 에러를 최소화 할수 있는데요
보통은 0 으로 해 놓고 무제한 처리하게 합니다. 자꾸 죽었다 살아나면, 그것도 시스템 부하니까요.

결국 ServerLimit 와 ThreadsPerChild 이 두개 값으로 아파치 동시 접속자수를 결정 짓습니다.
나머지는 곱하기 해서 구하죠...
그리고 곱하기 한 값을, 다른데 적어 두고.. 비슷한 내용은 똑같이 맞춰 버리고 이렇게 하면 셋팅 완료..

ExtendedStatus On

SetHandler server-status
Order deny,allow
# Deny from all
# Allow from .example.com


이부분을 찾아서, 모든 사용자에게 server-status 를 허용한다고 셋팅한 다음에

http://도메인/server-status

이렇게 하면 아파치 상태를 직방으로 볼수 있습니다.

W_________K_K__________K_.......................................
______K_K_C_____KK__C____.......................................
_WKK___K_________________.......................................
C__KK__________K_________.......................................
K_____K__W________W______.......................................
_K_______K_________K____W.......................................
______KW_________CK__K___.......................................
__K_CWKK_________________.......................................
_________W_______K___K__K.......................................
____________W_K____K__K__.......................................
_____C__CW__WK__________W.......................................
______K__K__CC_____C_____.......................................
___CW___________K_K___K_C.......................................
__K__K______________C__W_.......................................
KW_K___________K_W___K_K_.......................................
________K__K_________K___.......................................
_W__C___________K________.......................................
________CK___K______K____.......................................
_C____W_CK_____KK______K_.......................................
__KK___K______K____C_____.......................................

Scoreboard Key:
"_" Waiting for Connection, "S" Starting up, "R" Reading Request,
"W" Sending Reply, "K" Keepalive (read), "D" DNS Lookup,
"C" Closing connection, "L" Logging, "G" Gracefully finishing,
"I" Idle cleanup of worker, "." Open slot with no current process

한줄에 서버 1개 입니다..

도움이 될지 모르겠네요..

미천한 설정법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 http://www.phpschool.com/link/tipntech/588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1 아파치 httpd.conf 재시작 없이 설정 적용하기 JAESOO 2016.05.02 270
70 톰캣 8 소개 JAESOO 2016.01.01 338
69 리눅스 아파치 로그 뷰어 webalizer, utf-8로 변환하기 JAESOO 2014.12.22 544
68 Webalizer Configuration – Configure Webalizer for SEO JAESOO 2014.12.22 803
67 Webalizer, AWStats에서 국가 정보 확인하기 JAESOO 2014.12.22 440
66 Webalizer에서 국가별 로그 출력하기 JAESOO 2014.12.22 777
65 Apache: A good Webalizer.conf for the Webalizer Apache Log Analyzer utility JAESOO 2014.12.22 1236
64 아파치 로그분석 webalizer 설치 JAESOO 2014.12.21 481
63 Permission denied: .htaccess pcfg_openfile: unable to check htaccess file, ensure it is readable JAESOO 2014.12.19 743
62 Permission denied: /home/.htaccess pcfg_openfile: unable to check htaccess file JAESOO 2014.12.19 507
61 pcfg_openfile: unable to check htaccess file, ensure it is readable JAESOO 2014.12.19 521
60 Tomcat 버전별 설명 JAESOO 2014.06.04 2272
59 Apache 실행환경을 nobody 사용자로 변경 JAESOO 2014.05.28 1508
58 리눅스 사용자 계정별 웹서버 운영하기 JAESOO 2014.05.27 1872
57 Apache 서버에서 확장자 .htm 파일 내의 php 코드가 실행되지 않는 문제 해결 방법 JAESOO 2014.05.26 1692
56 php 웹사이트에서 파일을 업로드 하는중 100%에서 멈춰버리는 현상 해결 JAESOO 2014.05.16 1826
55 Apache Struts 버전 확인 방법 JAESOO 2014.05.09 2166
54 robots.txt를 현명하게 사용하는 방법 JaeSoo 2014.04.11 1752
53 robots.txt 파일(로봇배제 표준) JaeSoo 2014.04.11 1759
52 Windows / apache_2.4.3 + php_5.4.10 + mod_fcgid_2.3.7 JaeSoo 2013.04.18 4211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ageViews   Today : 4677 Yesterday : 5037 Total : 21960729  /  Counter Status   Today : 4538 Yesterday : 4602 Total : 1187261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