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조회 수 1112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이번에 삼성으로 부터 UN46C6500VF 시리즈를 구입하였다.

가장 큰 장점인 DLNA를 지원한다는 점이다. (사실 6000시리즈도 펌웨어 수정만 조금 하면 된다는 사실을 듣고 억장이 -_-.... 거의 50만원 차이 나는데.....이 방법은 다음에 공유하도록 하겠다.

여튼 DLNA를 사용하기 위해서 여러가지 프로그램을 사용해보았다.

시작하기에 앞서 DLNA가 무엇이냐 부터 간단히 알아보자.


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DLNA)의 약자로서 홈네트워킹 및 근거리 공유 및 통신에 대한 규약이다. 흔히 이전에 Bluetooth 로 장치간의 연결을 하던 개념으로 보면된다. 실제로 Bluetooth는 OSI 7 layer 중에서 하위 단에 대한 규약이지만, DLNA는 하위단은 무엇이든 상관없이 동작시킬 수 있는 상위 단에 대한 규약으로 차이점이 있다. (http://www.dlna.org/)

결국 흔히 사용하는 Ethernet or Wifi 를 통해서 장치간의 연결면 되어 있다면, DLNA를 통해서 파일 전송, 공유, 스트리밍 등이 가능하다.

자주 사용하는 예제는 그림과 같다. 네트워크 장치가 달린 모든 기기가 서로의 독립적인 기능을 가지고 연동하며 사용할 수 있다. 흔히 카메라의 사진을 TV로 감상 또는 프린터로 출력을 한다던가, PC, 스마트폰, NAS 서버에 있는 영상을 TV로 시청 할 수 있다.

요즘 대부분의 가전 제품이 이와 같이  DLNA기능을 제공한다. DLNA에는 여러가지 클래스가 있다.

Home Network Devices로는 Digital Media Server (DMS), Digital Media Player (DMP), Digital Media Renderer (DMR), Digital Media Controller (DMC), Digital Media Printer (DMPr)이 있고, Mobile Handheld Devices로는 Mobile Digital Media Server (M-DMS), Mobile Digital Media Player (M-DMP), Mobile Digital Media Uploader (M-DMU), Mobile Digital Media Downloader (M-DMD), Mobile Digital Media Controller (M-DMC) 등이 있다. DLNA인증제품으로는 TV, PC, 휴대폰, 블루레이 플레이어, 스피커, 오디오, 노트 북, PDA, MP3 플레이어, 프린터, 게임콘솔, 셋톱박스, 카메라 등 다양하게 있다. (출처: http://en.wikipedia.org/wiki/Digital_Living_Network_Alliance)

오늘 살펴 볼 것은 가장 많이 사용하는 DMS이다. 흔히 PC나 NAS에 장착되어 있으며 네트워크에 있는 DMP나 DMR장치들에게 전송할 contents등을 저장 및 전송 하여준다.

이때 PC를 DMS로 만들기 위해서는 Server 프로그램이 필요한데, 본문에서는 이 프로그램들을 비교 분석할 것이다.

1. Window Media Player (WMP)

Window 7 에서는 Window media player 를 통해서 DMS를 제공한다.


WMP에서 간단히 홈 그룹을 사용한 미디어 스트리밍 켜기를 통해서 DMS서버를 활성화 시킬수 있고, 공유하고 싶은 contents의 파일이나 폴더를 우클릭하여, 라이브러리에 추가 시켜주기만 하면 간단히 DLNA 공유를 할 수 있다. 또한 파일 정렬방법을 사용자가 쉽게 서버 세팅을 통해서 나타낼 수 있다.

문제점은 자막 지원이 안된다는 것이다. 일단 자막 지원이 안되는 것은 한국 사람으로서는 사용하기에 문제점이 많다.

요약: 무료, 간편, 자막안됨


2. Samsung PC share manager (다운로드)

이번에 소개드릴 프로그램은 삼성에서 무료로 제공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인터페이스는 아래와 같이 매우 직관적이다. 흔히 사용하는 웹하드 프로그램과 비슷하다.



사용법은 찬은 DLNA 디바이스를 허용해주고, 원하는 폴더를 오른쪽에 공유시킨후 서버를 실행하면된다.

그리고 사용법도 간단하고 SMI SRT등 모든 자막 및 다양한 비디오 형식을 모두 제공한다.

문제는 파일이 추가될때마다 자동으로 파일 index스가 수정안되고 항상 full search를 해줘야한다.

그러므로 새로 다운로드 받은 것을 보기위해서는 항상 PC상태 반영이라는 버튼을 눌러 indexing을 새로 해줘야하며, 이과정이 i5 코어 기준으로 3-5분정도는 최소한 걸린다.

사실 이런 서버프로그램으로서는 치명적인 단점이므로 사용하기 매우 불편하고 꺼려진다.

요약: 무료, 간편, 완벽 자막 지원, 수동 indexing

3. Nero media home 4

Nero는 흔히 Burning Rom으로 많이 알려져있다. 하지만 이 회사는 생각외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판매한다. 그중 하나가 DLNA Media Server이다.



현재 알려진 프로그램중 가장 완성도가 높다고 평가되지만 유료이다. 

LG와는 계약을 했는지 DLNA TV구매시 무료로 제공된다고 알고 있다.

대표적인 기능으로는 Transcoding이 있는데, 만약 접속하는 device가 contents의 codec을 인식하지 못한다면, 자동으로 재인코딩해서 송출하는 기능이다. 마치 iPhone의 Airvideo server와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문제는 Samsung TV와는 호환이 안된다. 이유는 정확히 모르겠으니 Googling을 통해서 나 혼자만의 문제가 아님을 알게 되었다. 아직 해결방법을 찾지 못하고 있으나 Transcoding까지 제공하는 서버임에도 정상적으로 나오지 않는 것을 보면 문제가 있다.

요약: 유료(LG TV 무료), 강력한 재인코딩, 삼성TV와 호환안됨

4. TVmobili

아주 가볍고 강력한 DLNA 서버이며 현재는 beta단계이다.



웹기반으로 설정이 되고, 인터페이스 또한 매우 간단하다. 그리고 community 기능이 있어서 외부 친구들과 서버를 공유할 수도 있다. 내용인즉 외부 네트워크에서도 접속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아직 한글 지원이 제대로 안되어서, DLNA Player측에서 contents 이름이 한글이면 깨져서 나온다. 자막 또한 SRT만 지원하며, 한국에서는 SMI를 주로 사용하는데, 변환을 수동으로 해줘야한다.

하지만 추후 SMI패치도 계획에 있고 한글까지만 지원이 된다면, 매우 보편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요약: 무료, 베타, 가벼움, 커뮤니티 기능, SRT만 가능, 한글 미지원

5. Mezzmo

유료로 제공되는 툴로서 꽤 강력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일단, Transcoding 및 iTunes 연동을 포함한 Nero media home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제공한다.



하지만 TVmobili처럼 SMI는 지원하지 않는다.

삼성 TV와도 호환은 잘 된다.

요약: 유료, 강력한 기능, SRT만 가능



필자는 아직은 그냥 삼성에서 제공하는 무료 프로그램을 사용중이다. 매우 불편하지만..... 업데이트 되길 기대한다....;

 

출처 : http://nawhko.tistory.com/tag/nero%20media%20home%20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99 [윈도우] K, KN, N 버전 차이 JAESOO 2016.07.01 938
198 윈도우10 제품키 변경 프로그램을 이용한 정품인증받기 JAESOO 2016.07.01 1067
197 [윈도우10] 제품키로 정품인증 받기 완결판 JAESOO 2016.07.01 1493
196 윈도우 업데이트 후 시스템 용량이 많이 줄었다면 Download 폴더를 지워보자 JAESOO 2016.05.17 933
195 윈도우7 한글입력이 안될때 ctfmon.exe JAESOO 2016.03.13 1144
194 Microsoft IME 입력기가 사라진 현상 JAESOO 2016.03.13 908
193 윈도우에서 특정 프로세스 강제 종료하는 방법 (taskkill) JAESOO 2016.02.19 1046
192 윈도우 8 웹 브라우저 사용흔적 (Windows 8 Web Browser Artifacts) JAESOO 2016.02.13 1007
191 '윈도우 7' 에서 폴더 여는 시간이 오래 걸린다면? JAESOO 2016.02.13 848
190 일부 업데이트가 설치되지 않았습니다 오류 해결 JAESOO 2016.01.23 942
189 윈도우(Windows) 8.1 최적화 Tip JAESOO 2015.03.19 1695
188 윈도우(Windows) 8.1의 종류 JAESOO 2015.03.19 1219
187 윈도우7의 숨겨진 강력한 제어판 - GodMode JAESOO 2015.03.04 1382
186 윈도우 작업 관리자 메모리 열의 의미 JAESOO 2015.02.11 1765
185 이 웹 사이트의 보안 인증서에 문제가 있습니다 [보안 인증서오류] JAESOO 2015.02.10 4148
184 AsusSetup 에러 AppData\Local\Temp iniis lost 에러 JAESOO 2015.01.26 1027
183 VLSC (Microsoft Volume License ServiceCenter) 등록하기 JAESOO 2014.11.25 1125
182 Windows에서 볼륨 정품 인증 오류 코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JAESOO 2014.11.17 5798
181 Windows 7에서 thumbs.db 파일이 생성되지 않도록 설정하기 JAESOO 2014.11.09 1668
180 Microsoft Windows 업데이트 항목 중 'KB2949927'파일 설치 후 발생하는 오류현상 해결 JAESOO 2014.10.24 259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 10

PageViews   Today : 11303 Yesterday : 5037 Total : 21967355  /  Counter Status   Today : 10937 Yesterday : 4602 Total : 1193660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