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조회 수 345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2007년도 광대역통합망(BcN) 구축 사업계획


1. BcN 신규서비스 개발 및 사업자망간 상호연동


□ 2단계 2차년도 BcN 시범사업 추진


o BcN 신규서비스 모델 발굴 및 기 개발 서비스에 대한 상용화 지원
- u-Home(가정) 분야 등을 대상으로 신규 서비스 모델 추가 발굴
- IPTV, 양방향DCATV(HD급) 등 기 개발 서비스의 고도화 및 상용화 지원


o 수도권 및 5대 광역시도의 시범가구를 대상으로 시범서비스 제공 및 이용행태 분석 실시


□ BcN 사업자망간 상호 연동 추진


o BcN 사업자망간 효율적 상호 연동 기술 연구
- 국내·외 사업자망간 트래픽 상호교환 기법 및 기술 연구
- 119 긴급데이터 등에 대한 장애 대응 및 품질보장 기법 연구


o BcN 서비스별 상호호환성 확보 추진
- 사업자간 상호호환성 확보를 위한 핵심 요구사항 도출 및 항목별 기술규격 마련


2. BcN 품질관리기반 구축


□ BcN 서비스(무선 등) 품질관리 기준 및 품질측정기법 마련


o 유선 음성서비스(고품질급 BcN전화) 품질관리 기준 마련


o 무선 서비스(Wibro) 품질관리 기준 설정 및 측정/평가기법 연구
- 국제 표준화(ITU-T, 3GPP 등) 연구를 통한 무선 서비스(Wibro) 품질관리 지표/기준 설정
- BcN 주요 단말기를 활용한 무선 환경 품질측정 시험을 통한 지표/기준 타당성 검증
- 무선 서비스(Wibro) 품질측정/평가 기법 및 기술개발(구조, 기술스펙 등) 방안 연구


□ BcN 서비스 품질측정⋅평가체계 공공망 선도적용 추진


o 전자정부통신망, 공공정보통신망(NIS) 등을 대상으로 품질관리 기능(Agent, Probe) 도입 추진
- 시범 적용 및 평가 결과 분석, 의무화 방안(이용약관 반영 등) 마련


o 상용망 품질관리 의무화를 위한 품질보증제도(SLA) 방안 마련 및 이용제도 개선 연구
- 서비스별 품질지표/개통지연/장애처리 등 항목별 품질기준 설정
- 관련 품질수준 측정 평가관리 및 보상체계 방안 마련 등


o BcN 서비스 품질관리시스템 및 기반시설 운영


□ BcN 서비스 품질측정시스템 고도화


o 이용자참여형 품질측정시스템 구축·운영 및 VoD, 영상전화 서비스 품질측정 기능 확대 적용


o VoIP 장비용(IP-PBX 등) 품질측정 S/W 기능(Agent) 확대 개발


□ 기타 품질관리기반 구축 여건 조성


o BcN 품질측정관리협의회 및 워크샵 개최 등 행사/홍보 활동 추진


o 품질지표/기준 등에 대한 국내외 표준화 지원(ITU-T, TTA) 등


3. BcN 개방형서비스 개발·시험환경 구축·운영


o 통신·방송 융합형 개방형서비스 개발 환경 구축 및 유무선 통합형 개방형서비스 사업화 모델 시범서비스 상용화 개발 지원
- IT 응용개발자, 3rd party 개발 촉진의 통신·방송 환경 구축·운영
- 온라인 개발환경 이용 및 지원 환경 구축 운영
- 총체적 u-인프라 산업간 융합형 개방형서비스 적용 방안 도출


o 개방형서비스센터 중심의 다양한 개방형서비스 모델 발굴·육성지원
- 온라인(지방 육성)/오프라인 교육 프로그램개발 및 양성
- 온라인 가상 실습·체험등 다양한 서비스 개발자 양성
- 개방형 서비스 사업화 커뮤니티 활성화/협회 운영


o 개방형서비스 발굴 경진대회 개최 및 홍보 시행
- 서비스 발굴을 촉진하는 경진대회용 이벤트 및 프로그램 개발
- 사업화에 필요한 기술적ㆍ제도적 지원체계 운영 및 서비스 사업화 검증 DB 체계 개발 및 운영
- 국내외 한국형 BcN/개방형서비스 보급 연동 전략 수립


o 개방형서비스 통신·방송 융합형 서비스 활성화 정책 도출
- 통신·방송 융합형 개방형서비스 신규 자원 표준인증 및 제도 연구
- 3rd Party 서비스 사업자의 보호법 및 법제도(안) 도출


4. BcN 표준모델 개발 및 보급


o BcN 표준모델 보완 개발
- 상용망 구축 방향 및 시범사업 결과, 기술개발 결과 등의 반영을 통한 단계별 망 구조 보완
- 표준모델협의회의 활발한 운영을 통해 상용망 구축의 참조모델로 활용 가능한 표준모델 개발


o BcN 표준모델 활용 추진
- 주요 기술 항목별 활용 체계 도출 및 적용 추진
- 표준화 추진대상 항목을 도출하고 표준모델 결과를 국내·외 표준화에 적극 반영 추진


5. BcN 구축 여건 조성


□ BcN 서비스 활성화를 위한 이용제도 연구


o BcN 서비스(BcN 음성/영상전화 등) 활성화를 위한 이용제도 연구
- 기존 서비스 이용제도 분석 및 신규 BcN서비스 이용환경 연구
- 이용제도, 번호체계, 상호접속, 규제 등을 포함한 제도적 방안 수립 및 관련 효과성 분석


o BcN 인프라, 단말, 서비스 등의 특성/규격 등에 대한 객관적인 정의 마련


□ BcN 기반 인프라 인증제도 운영 및 개선


o 초고속정보통신건물 인증제도 사무국 운영 및 제도 확산 연구
- 인증제도 사무국 운영(인증위원회, 워킹그룹, 홈페이지 등)


o FTTH 구축 관련 경제적⋅산업적 파급효과 분석 및 이용활성화 연구


o BcN 구내망 정보통신설비 관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 등 인력육성 방안 연구


□ BcN 시장 전망 및 산업 활성화 연구


o BcN 구축 촉진을 위한 핵심서비스별 국내외 시장 조사


o 기술발전 방향 및 산업계 요구에 기반한 단계별 요구사항 도출을 통한 산업 활성화 연구


o BcN 관련 행사 개최 지원, 홈페이지 개선 및 운영 지원(www.bcn.ne.kr)


□ u-Work 서비스 활성화 지원


o u-Work 응용서비스 발굴 및 u-Work 도입 가이드 개발
- u-Work 아이디어 공모전 개최 등을 통한 응용서비스 발굴
- 공공/민간등 기관특성별 u-Work 이용활성화를 위한 도입 가이드 개발


o 기타, u-Work 이용활성화를 위한 행사개최 및 홍보 등


□ BcN 구내망 정보통신설비 구축⋅관리 방안 마련


o 공동주택(APT단지중심) 정보통신설비 운영 및 유지보수 방안 연구
- 정보통신 서비스/장비/네트워크 구성 현황 조사 및 해외사례 연구
- 초고속인증제도, 주택법, 정보통신공사법 등 제도적 개선 방안 도출
- 공동주택 구내통신망 유지보수 사업자 육성 등 관련 산업 육성 방안 연구 등


o 공동주택(APT단지중심) 기반의 u-Zone/Community 서비스 발굴


o 홈네트워크 기기 동향 조사·분석 및 인증방안 연구, 행사 개최 지원 등


□ 기타 BcN 구축 지원


o BcN 구축관련 각종 협의회 개최 및 행사/홍보 추진
- BcN구축추진협의회, BcN시범사업추진협의회, BcN워크샵 등 개최
- u-인프라통합워크숍, IT인프라엑스포 등에의 행사 참여


o BcN 기반구축 사업관리, 정책 개발 지원 및 통계/지표 관리 등
- u-Work 기본계획 수립 지원, 가입자수 등의 각종 통계지표 관리
- BcN 관련 주요 활동 및 동향 파악을 위한 「BcN 동향 2007」 발간 등

출처 : http://www.ipc.go.kr/index.jsp

?

  1. 프로세스 BRR, PI, BPM, PS 등 개념부터 명확히

  2. No Image 31Aug
    by JAESOO
    2015/08/31 by JAESOO
    Views 466 

    형상관리에 들어 보셨나요?

  3. No Image 31Aug
    by JAESOO
    2015/08/31 by JAESOO
    Views 467 

    형상관리 표준 사례

  4. No Image 31Aug
    by JAESOO
    2015/08/31 by JAESOO
    Views 1084 

    형상관리 정의, 도구의 필요성, 개념과 활용, 용어, 베이스라인 개념, 과정, 도입 고려사항, 도구

  5. No Image 31Aug
    by JAESOO
    2015/08/31 by JAESOO
    Views 436 

    형상관리란 무엇인가? 소프트웨어 형상관리(SCM)은 무엇인가?

  6. Prototypin, Pilot, PoC, BMT 의 차이점

  7. 국내에서 보급된 ERP 솔루션사별 ERP종류 - 업데이트 되는 포스트

  8. 인건비, 제경비, 기술료 개념 (소프트웨어사업 대가의 기준, SW사업 대가산정 가이드)

  9. 관리인원(PM 등)은 직접인건비인가? 제경비인가?

  10. Reseller(리셀러), Distributor(디스트리뷰터), Vender(벤더), Dealer(딜러) 차이

  11. 프리랜서 단가 계산기

  12. No Image 22Oct
    by JaeSoo
    2013/10/22 by JaeSoo
    Views 2601 

    ITSM의 허와 실?

  13. No Image 22Oct
    by JaeSoo
    2013/10/22 by JaeSoo
    Views 2911 

    ITSM이란 무엇일까?

  14. No Image 22Oct
    by JaeSoo
    2013/10/22 by JaeSoo
    Views 2325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이론과 실제 > 1부 아키텍처 개요

  15. No Image 22Oct
    by JaeSoo
    2013/10/22 by JaeSoo
    Views 2538 

    아키텍트(Architect)의 종류와 역할

  16. No Image 14Apr
    by JaeSoo
    2014/04/14 by JaeSoo
    Views 1115 

    입찰기초 공부하기 (입찰 안내서) - 입찰준비 과정, 참가등록 방법, 공동도급 관련 내용 등

  17. UML기반 개발강좌 3 - 기능점수견적

  18. No Image 28Mar
    by JaeSoo
    2014/03/28 by JaeSoo
    Views 958 

    FP 견적방법

  19. No Image 28Mar
    by JaeSoo
    2014/03/28 by JaeSoo
    Views 2225 

    기능점수(FP,Function point) 관련 정의 및 비용산정

  20. No Image 27Mar
    by JaeSoo
    2014/03/27 by JaeSoo
    Views 886 

    기능점수 활용 프로젝트 추정과 계획 – 4.프로젝트 추정 및 진척관리 간이법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ageViews   Today : 7655 Yesterday : 5037 Total : 21963707  /  Counter Status   Today : 7378 Yesterday : 4602 Total : 1190101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