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us Disk Unlocker 기술을 한번이라도 들어 봤을 법 하다.
이 기술은 웨스턴 디지털(WD)에서 출시한 3TB 캐비어 그린 하드디스크를 바로 인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술로 현재
기가바이트, MSI, 인텔, 아수스 메인보드 업체 중에서 유일하게 메인보드 교체나 HBA 카드 장착없이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아수스만의 특허 기술이다.
아수스 메인보드는 인텔 CPU와 AMD CPU 지원 제품으로 크게 구별할 수 있다. 필자가 사용하는 보드는 인텔 i5 린필
드를 지원하는 인텔향 ASUS P7P55D-E 보드이다. 국내에서는 STCOM이 유통하고 있다.
이 보드에서 웨스턴 디지털(WD) 캐비어 그린 3TB 하드디스크를 Asus Disk Unlocker 기술을 이용하여 어떻게 사용
하는지 그 과정과 타사 하드디스크와 그 성능을 살펴보자. 참고로 Asus Disk Unlocker 기술은 ASUS 메인보드 사용
자가 아니라면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Asus Disk Unlocker 기술은 오직 아수스 메인보드에서만 지원하는 기능이기
때문이다.
WD 3TB Caviar Green WD30EZRS(이하 WD 3TB) 하드 드라이브의 포장 박스이다. 기존의 HDD와는 다른 포장 박
스로 HBA(Host Bus Adapter) 카드를 포함하고 있는 제품이다. 고용량, 고가의 제품답게 포장도 고급스럽게 했으며
충격 방지 완충제까지 넣어 HDD를 안전하게 포장한 모습이 인상적이다.
WD 3TB 하드 드라이브의 구성품이다. 정전기 방지 비닐에 포장되어 있는 WD 3TB 하드 드라이브 본체, HBA 카드
를 담고 있는 작은 포장 박스, 그리고 하드 드라이브 설치 및 셋팅 방법이 표기되어 있는 사용자 설명서를 포함하고
있다. 사진에 보이는 한장의 가이드는 HBA 카드의 PCI 가이드를 교체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Aus Disk Unlocker 기술이 없는 메인보드나 3TB의 대용량 하드 드라이브를 인식하지 못하는 운영체제를 운영중인
사용자를 위한 Host Bus Adapter이다. 이 어댑터는 일종의 레이드 카드와 비슷한 기능을 하는 카드로 2.2TB 이상
의 하드 드라이브 용량을 인식할 수 없는 메인보드나 운영체제에서 모든 용량을 사용할 수 있게 해준다.
HBA 카드 자체는 매우 작은 편으로 PCI-Express x1 슬롯에 장착할 수 있으며, LP 타입의 가이드를 제공하여 LP형
케이스에서도 장착이 가능하다. HBA 본체에는 SATA 포트 2개가 탑재되어 있다.
이 한장의 작은 설명서는 Host Bus Adapter의 LP 가이드와 일반 PCI 가이드를 교체하는 방법을 그림으로 쉽게 설명
하고 있다. WD 3TB 하드 드라이브 자체에 HBA 카드를 구입하면 PCI 가이드 2개를 제공하여 일반 미들타워 케이스와
LP형 케이스에 모두 장착할 수 있게 배려하였다.
WD 3TB 하드 드라이브는 웨스턴 디지털의 3가지 레벨 제품중 캐비어 그린에 속하는 제품으로 저전력, 저발열, 친환
경적인 제품이다. 캐비어 그린 제품은 일반적으로 RPM이 낮은 제품이 많다. WD 3TB 하드 드라이브 또한 마찬가지로
5400RPM를 지원한다.
기본적인 외형은 기존의 캐비어 블랙, 캐비어 블랙 하드 드라이브와 많이 다르지는 않다. 3.5(8.9cm)인치 규격의 크기
와 두께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단지 다른점은 스펙과 3TB의 용량이다.
더 자세하게 WD 3TB 하드 드라이브이 스펙을 살펴보자.
모델명은 WD30EZRS이며, 국내에 캐비어 그린 모델로 이미 출시되어 있다. 용량은 잘 알려진 대로 3TB이며, 플래터
는 750GB 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회전속도는 5400 RPM으로 인텔리 파워 기술을 장착하고 있어 사용 전력을 가변
적으로 줄일 수 있다. 부연설명하면 하드디스크의 전력 절감에 큰 영향을 주는 인텔리파워 기술은 플래터의 회전 속도
와 전송 속도 등의 조정으로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는 기술이다.
캐시 메모리 용량은 64MB, 소비전력은 읽기/쓰기시 6.25W이며 3.5인치 외장 하드 케이스에서 사용하면 +2W가 추가
된다. 보증기간은 무상 3년, 기존의 하드 드라이브와 동일한 AS 기간이 적용된다.
WD 3TB 하드 드라이브는100mm(W)x 147mm(H) x 26.1mm(D) 크기의 제품으로 두께가 26.1mm이다. 좌우측면에
는 PC 케이스의 하드 드라이브 장착 베이에 쉽게 장착할 수 있게끔 고정 홈이 3개씩 천공되어 있다. 기존 하드 드라
이브와 같은 장착 방식으로 장착이 가능하다.
인터페이스는 SATA II로 전원/데이터 커넥터가 마련되어 있다. 최대 전송 속도는 SATA II 인터페이스를 적용하여 3G
b/s이다. 가장 우측에 있는 점퍼는 E-IDE 방식의 하드 드라이브에서 많이 사용하는 점퍼로 SSC, PM2, OPT1 모드 점
퍼 셋팅은 WD 3TB 하드 드라이브를 데스크탑에서 사용한다면 굳이 할 필요가 없는 점퍼 셋팅이다. 그냥 넘어가도 된
다.
WD 3TB 하드 드라이브의 밑면의 모습이다. 3.5인치 외장 하드 케이스에 장착하는 경우에 아래에서 고정할 수 있게
좌우 2개씩의 홈이 천공되어 있다. 아래쪽에는 PCB 기판에 맏물려 있는 SATA II 인터페이스가 연결되어 전체적으로
깔끔한 모습이다. SATA 방식의 하드 드라이브의 전형적인 모습이다. 기존 하드 드라이브와 무엇이 다를까 집중해서
비교해 봤는데 크게 달라진 것은 없었다.
3TB와 같이 고용량의 하드 드라이브를 모든 메인보드와 운영체제에서 지원하는 것은 아니다. 그래서 출시되기 전부터
인식 문제에 대한 문제가 꾸준히 제기되었으며, 이에 대한 해결책도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다.
WD에서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HBA라는 카드를 제공하여 해결하고 있지만, 현 상태로써는 불편한게 사실이다.
위 표를 보면 각 운영체제별 비트 수에 따라 부트 드라이브(OS 설치용), 보조 드라이브(데이터 저장용)로 사용할 수 있
느지의 여부를 알려주고 있다.
3TB 대용량 하드 드라이브 인식 문제의 쟁점을 정리해 보면,
1.운영체제 종류와 비트수에 따라 부트 드라이브, 보조 드라이브 사용 여부가 결정된다.
2.윈도우 XP, 윈도우 비스타, 윈도우 7 32비트에서는 부트 드라이브로 사용할 수 없다.
3.윈도우 비스타, 7 64비트에서는 부트 드라이브로 파티셔닝이 가능하다.
4.부트 드라이브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메인보드가 UEFI 바이오스를 지원해야 한다.
5.UEFI 바이오스를 지원하지 않는 구형 메인보드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ACHI 호환 HBA 카드를 장착해야 한다.
6.용량 인식 문제는 결국 Host Bus Adapter(HBA)와 UEFI 그리고 GPT를 통해 해결 가능하다.
이런 복잡한 문제 때문에 Asus Disk Unlocker 기술이 더 주목을 받고 있다. 아수스 보드라면 대부분 채용되어 있는
Asus Disk Unlocker 기술을 이용하면 UEFI 바이오스나 HBA 카드를 장착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Asus Disk Unlocker 기술이 무엇인가? 하는 순수한 호기심을 가질 수 있다.
Asus Disk Unlocker 기술의 개념은 간단하게 현재 구형 메인보드에서는 2.19TB 용량 밖에 사용할 수 없는 제한점
을 없게 HBA 카드를 장착하지 않더라도 3TB 대용량 하드 드라이브를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유용한 기술로
정의할 수 있다.
그러면 어떻게 Asus Disk Unlocker 기술을 사용하여 3TB 용량을 인식시키는가가 궁금할 것이다.
그 방법은 간단하다. Asus Disk Unlocker 프로그램을 사용하거나 디스크 관리에서 파티현 형식을 MBR에서 GPT 방
식으로 바꿔 WD 3TB 하드 드라이브를 포맷해 주면 된다. 그럼 그 구체적인 방법을 살펴보자.
UEFI 바이오스를 지원하지 않는 구형 메인보드를 사용한다면 HBA 카드를 장착해야 한다. PCE-Express 슬롯에 장
착한 후에 SATA 포트에 WD 3TB 하드 드라이브와 연결시키면 기존의 SATA 포트에 연결한 것과 같이 사용할 수 있
게 된다.
하지만, ASUS 메인보드를 사용한다면 HBA 카드를 장착할 필요없이 바로 메인보드의 SATA 포트에 연결하면 된다.
그 이유는 필자가 사용하는 P7P55D-E 메인보드에서는 Asus Disk Unlocker 기술을 지원하기 때문에 HBA 카드 없
이 바로 3TB 용량을 인식할 수 있기 때문이다.
ASUS P7P55D-E 메인보드의 CMOS에서 WD 3TB 하드 드라이브를 인식한 모습이다. SATA 4번 포트에 연결되어 있
고, 크기는 3.0TB로 전체 용량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 전송 모드는 U-DMA 5이다. ASUS 메인보드가 아니더라도
CMOS에서 WD 3TB 하드 드라이브 용량은 모두 3TB로 인식한다. 중요한 것은 운영체제에서 3TB 전체 용량을 인식하
느냐 이다.
윈도우 7 울티메이트 32비트의 디스크 관리자에서 보면, WD 3TB 하드 드라이브는 2048GB와 746GB로 양분되어 있
다. 이것은 2.19TB의 용량만 인식할 수 있는 MBR 파티션 포맷이 적용되어 있기 때문이다. 3TB 용량을 모두 사용하려
면 GPT라는 새로운 파티션 포맷 방식으로 바꿔야 한다.
바꾸는 방법은 마우스 R 버튼을 눌러 GPT 디스크로 변환하면 된다. 이 방법이 가장 간단하고 쉬운 방법이다. 다른 방법
으로 Asus Disk Unlocker 라는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그래픽 화면으로 간단하게 변환할 수 있다.
WD 3TB 하드 드라이브를 인식시키기 위한 2번째 방법으로 Asus Disk Unlocker라는 프로그램을 자신이 사용하는
운영체제에 맞는 버전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한다. 설치가 완료되면 바탕화면에 Disk Unlocker 라는 프로그램 아이콘
이 생긴다. 그리고 장치관리자에 ASBus Device에 ASUS Disk Unlocker 이라는 장치가 등록된다.
디스크 관리자에서 GPT 파티션 포맷으로 바로 바꾸지 않고, Asus Disk Unlocker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바꾸는 방법
을 살펴보자.
Asus Disk Unlocker 프로그램을 실행시킨 다음에 Create 버튼을 클릭하면 Physical Drive와 Virtual Drive로 나뉘
어 3TB의 용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파티션 정보를 볼 수 있다. 여기서 끝난게 아니다. 아래에 있는 Partition 버튼
을 클릭하면 디스크 초기화 창이 뜨고, 여기서 MBR 파티션 포맷으로 설정되어 있는 드라이브를 GPT로 선택하여 포
맷해주면 3TB 공간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핵심은 MBR 파티션 형식을 GPT로 바꾸는 것이다.
위 2가지 방법으로 WD 3TB 하드 드라이브의 파티션을 MBR에서 GPT로 변환한 후에 전체 용량을 NTFS 파티션으로
포맷한 드라이브의 용랴은 2794.39GB이다. 보조 드라이브로 셋팅되었다.
그러면 Asus Disk Unlocker 기능이 없는 타사 메인보드에서는 Wd 3TB하드 드라이브를 어떻게 사용할까?
그것은 HBA 카드를 장착하여 하드 드라이브를 인식시키는 것이다. 위 사진이 그 모습으로 부팅하면 화면에 HighPoint
Rocket 620 레이드 카드에서 WD 3TB 하드 드라이브를 잡아주게된다. 3TB 용량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있다.
윈도우 XP 32비트 운영체제에서 HBA 카드 없이 3TB 하드 드라이브를 인식하는 모습은?
746GB 밖에 인식을 못하고 있다. 용량 인식 능력은 운영체제에 따라 달라지고, 최소한 윈도우 비스타와 윈도우 7 32
비트 운영체제를 사용해야 불편함 없이 사용할 듯 싶다.
웨스턴 디지털에서 출시하는 하드 드라이브는 캐비어 블랙(B), 캐비어 블루(B), 캐비어 그린(G) 3가지 모델이 있다.
캐비어 그린 모델은 그중에서도 성능이 가장 낮은 제품으로 저전력, 저발열, 친환경성을 강조한 제품으로 가성비가 비
교적 블루와 블랙 제품에 비해 뛰어나다. 이런 점을 미리 숙지하고, 테스트 결과를 받아드렸으면 한다.
벤치마크 하드 드라이브는 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과 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제품이다. 구체적인 스펙
에 따른 성능 차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 3개의 하드 드라이브의 상세한 스펙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성능 테스트를 하게 될 시스템의 사양을 살펴보면, 인텔 코어 i5 750 프로세서를 탑재하고, 기본 클럭에서 3.2
GHz로 오버클럭된 상태이다. 메인보드는 Asus Disk Unlocker 기술이 적용된 P7P55D-E 모델이다. 메모리는 듀얼
채널 구성으로 모두 8GB를 탑재하였다.
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 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 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의 상세한 스펙이
다. 하드 드라이브 성능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RPM, 버퍼 메모리 용량일 것이다.
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하드 드라이브는 1TB, SATA III, 7200RPM, 64MB의 스펙을 가지고 있는 제품이다.
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하드 드라이브는 3TB, SATA II, 5400RPM, 64MB, 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하드 드라이브는 2TB, SATA II, 5900RPM, 64MB 스펙으로 3개의 하드 드라이브의 공통점은 64MB의 버퍼 용량이
다. 다른 점은 RPM과 전체 용량이다. 실제 성능을 이제부터 살펴보자.
HD Tune Pro로 벤치마크한 결과를 보자.
평균 읽기 속도는 1.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2.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3.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
린 순이었으며, 엑세스 시간은 Acess Time은 1.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2.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3.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순이었다.
버스트 속도(Brust Rate)는 1.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2.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3.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순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분석해 보면 씨게이트 제품이 RPM이 느림에도 불구하고 평균 읽기 속도에서 웨스턴 디
지털 2개의 하드 드라이브를 앞서고 있다는 점이다. 하지만 액세스 시간은 웨스턴 디지털 하드 드라이브가 모두 앞서고
있다.
ATTO Dsik Benchmark로 테스트한 결과를 보면 RPM의 수치가 성능 그대로 반영되었다.
읽기 속도에서 1.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2.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3.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순으
로 빨랐고, 쓰기 속도에서도 읽기 속도 결과는 같은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64MB 캐시 메모리가 같다고 보면 속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단연 RPM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WD 3TB 하드 드라이브는 캐비어 그린 제품이라 기본적으
로 성능이 블랙과 블루에 비해 떨어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rystalDiskMark에서도 ATTO Dsik Benchmark과 같은 결과이다.
읽기 속도는 1.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2.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3.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순
이다. 측정 항목중 4K QD32에서 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하드 드라이브가 앞서기는 하지만 전체 성능은 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이 앞서고 있다. 쓰기 속도 또한 읽기 속도 결과가 같다. RPM 순서대로 하드 드라이브의 성능
이 그대로 나타났다.
하드 드라이브의 발열에 따른 온도를 측정해 봤다. 측정 툴은 CrystalDiskinfo로 30분간 데이터를 주고 받은 후의 온
도를 측정한 것을 보면, 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은 43도, 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은 36도, 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은 40도로 역시 하드 드라이브 RPM에 따라 온도가 결정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첫 부팅후 측정한
온도는 3개의 하드 드라이브 모두 동일하게 22도를 기록하였다. 많이 낮은 온도로 겨울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충분히
측정될 수 있는 온도이다. 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하드 드라이브가 성능은 두 하드 드라이브에 비해 낮지만
온도는 단연 낮다.
파일 전송 테스트를 한 결과를 보면, 쓰기 속도에서 1.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2.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3.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순으로 빠르게 데이터를 전송했으며, 읽기 속도에서는 1.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2.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3.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순으로 나타났다. 읽기 속도에서 씨게이트 2TB
하드 드라이브를 앞서는게 인상적이다.
알집으로 6.5GB의 파일을 압축 테스트 결과를 보자.
1.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2.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3.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순으로 RPM의
성능이 그대로 순위로 이어졌다. 파일 전송 테스트에서 읽기 속도 부분에서 역전 현상이 나타난 것과 비교해 보면 읽
기/쓰기를 동시에 하는 압축 테스트의 결과가 3개의 하드 드라이브의 전체 성능이라고 봐도 무방해 보인다.
Daum 팟인코더로 인코딩한 결과도 마찬가지다.
1.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2.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3.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린 순으로 하드 드
라이브간 시간 차이는 1초로 미비한 편이다. 인코딩 성능은 하드 드라이브도 큰 영향을 미치지만 CPU와 메모리가 더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하드 드라이브의 영향은 크지 않아 보인다.
PhotoShop CS5에서 각 하드 드라이브에 이미지 35장을 저장한 후에 바로 읽어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3종류의 하드
드라이브의 읽기 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보면, 1.웨스턴 디지털 1TB 캐비어 블랙 2.웨스턴 디지털 3TB 캐비어 그
린 3.씨게이트 2TB 바라쿠타 그린 순으로 빠른 로딩 속도를 보여주고 있다.
WD Caviar Green 3TB(WD30EZRS) 하드 드라이브의 인식 문제와 관련하여 Asus Disk Unlocker 기술은 UEFI 바이
오스나 HBA 카드를 필요치 않는 Asus만의 독자 기술로 필자가 직접 사용한 경험으로는 기존 하드 드라이브를 사용하
는 것과 같은 편리함을 가져다 주었다. 이해하기 쉽게 장단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 장점
-아수스 메인보드에서는 2.19TB 용량 인식 제한 문제 해결
-750GB 플래터 3장의 3TB 대용량 구현
-저전력, 저소음, 낮은 소비전력
-5400RPM으로 낮지만 읽기, 쓰기 성능이나 프로그램 실행 성능은 높은편.
-3년간의 보증 기간
※ 단점
-초기 제품으로 약간은 부담되는 가격
-UEFI 바이오스를 사용하지 않는 구형 메인보드에서의 인식 문제
-ACHI 호환이 안되는 문제
적어도 Asus P7P55D-E 메인보드를 시스템을 조립한 유저라면 WD 3TB 하드 드라이브 용량 인식 문제를 크게 걱정할
필요가 없어 보인다. WD Caviar Green 3TB(WD30EZRS) 하드 드라이브의 성능은 웨스턴 디지털 제품 라인업에서 하
위 레벨에 있는 제품으로 비교 테스트한 2 하드 드라이브보다 낮은 성능을 보여주고 있지만 전체적인 성능 차이는 그렇
게 크지 안다는 점에서 가성비에서는 단연 앞선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으로 읽기, 쓰기 개별 성능 측정에서는 WD Caviar Green 3TB(WD30EZRS) 하드 드라이브가 일부 앞서는 성능을
보여주는 것은 상당히 고무적이다. 발열이 적고, 소비전력이 낮으면서도 가격이 저렴한 것은 큰 메리트가 아닐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