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조회 수 6857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IX 계열에서 routing table 관리하는거보다, 윈도우즈는 딱히 입력해놓는 부분도 없고. route 라는 커맨드로 관리를 해야하는데, 윈도우즈에서 네트워크 카드 2장을 이용하여 원하는대로 라우팅을 탈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D:> type routing.bat
route print
route delete 0.0.0.0 10.101.153.40
route add 0.0.0.0 mask 255.255.255.0 192.168.10.1
route add 10.101.153.0 mask 255.255.255.0 10.101.153.121
route add 10.101.154.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add 10.101.152.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add 10.101.155.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add 10.101.148.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add 10.101.183.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print
pause
D:>

NIC1 (Wire)
IP 10.101.153.121
Subnet 255.255.255.0
G/W 10.101.153.40

NIC2 (Wireless)
IP DHCP (DHCP Server 192.168.10.1)
Subnet 255.255.255.0
G/W 192.168.10.1

간단하게 설명하면
Default Gateway 인 10.101.153.40 을 삭제하고. Default G/W 를 192.168.10.1 으로 입력.
10.101.153.0/24 의 G/W 는 10.101.153.121 로 입력 (NIC1)
10.101.154.0/24, 10.101.152.0/24, 10.101.155.0/24, 10.101.148.0/24, 10.101.183.0/24 의 G/W 는 10.101.153.40 으로 입력하면 10.101.0.0 대역을 접근할때는 10.101.153.0 네트워크를 타고, 그 외에는(인터넷) 192.168.10.1(10.101.160.141)의 네트워크를 이용하게 된다.

덧글 ---------

Commented by 서린 at 2007/11/21 17:36


...우연히 들렀습니다만...

저거 그대로 쓰시는 건 대단히 비합리적인데요.

1. 애초에 NIC1의 디폴트 게이트웨이는 비워주시는게 좋습니다. 2행 설정이 필요 없어집니다.

2. 3행의 기본 라우트는 NIC2설정을 통해서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3. 4행의 route add 10.101.153.0 mask 255.255.255.0 10.101.153.121 이건 처음부터 알고 있는 주소이기 때문에 딱히 추가하실 필요 없습니다.

기타

1. 저 설정으로 하나의 PC에서 복수개의 경로를 갖는 건 가능합니다만, 기술적 의미의 '라우팅'은 되지 않습니다.

그냥 한대로만 쓰시는 것이거나 '어차피' 10번대가 다 내부만 타는 경우라면 아래의 설정을 권장합니다.

1. NIC1 기본 게이트웨이는 빈 상태로 설정

2. cmd에서 route add -p 10.101.0.0 mask 255.255.0.0 10.101.153.40 (엔터)

한번만 실행해주면 고정으로 박힙니다.


출처 : http://kkanari.egloos.com/349548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56 http://cafe.naver.com/ArticleRead.nhn?clubid=10344409&articleid=79763&menuid=&boardtype=&page=0 JaeSoo 2010.01.22 6784
» 윈도우 라우팅 테이블 관리하기 JaeSoo 2010.01.25 6857
54 LACP(Link Aggregation Control Protocol) JaeSoo 2010.01.27 8691
53 윈도우에서 2개의 NIC에 서로 다른 route를 설정하는 방법 JaeSoo 2010.01.31 6407
52 윈도우에서 default gateway 값 변경 JaeSoo 2010.01.31 7583
51 윈도우는 티밍, 리눅스는 본딩, AIX에서는 이더채널 또는 채널링 JaeSoo 2010.02.05 8220
50 VoIP 와 Mobile VoIP JaeSoo 2010.03.23 5684
49 OpenVPN으로 제약없는 네트워크 사용을... JaeSoo 2010.11.16 5098
48 OpenVPN 설정 for Windows JaeSoo 2010.11.16 5593
47 VPN으로 집에 있는 PC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하기 JaeSoo 2010.11.16 8426
46 Serv-U Log 분석 JaeSoo 2010.12.30 5184
45 Serv-U Certified Add-Ons JaeSoo 2010.12.30 5296
44 인터넷 티밍(teaming) JaeSoo 2011.03.29 7977
43 Delay Variation과 Jitter의 차이 JaeSoo 2011.06.11 8529
42 조립 PC, 컴퓨터 공유 폴더 설정 방법 JaeSoo 2011.09.11 6999
41 국내 클라우드(Cloud) 서비스 3총사 비교 - N드라이브/유클라우드/다음클라우드 JaeSoo 2011.09.15 8048
40 원격 FTP 저장소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 연결하기 JaeSoo 2011.11.21 4409
39 외부에서 원격지 Samba 서버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하기 JaeSoo 2011.11.23 5961
38 윈도우 공유(cifs/smbfs/netbios) 사무실을 벗어나자 JaeSoo 2011.11.25 5340
37 OpenVPN 을 통한 VPN 구현 (클라이언트 접속시 암호 인증, 각 VPN클라이언트 끼리 통신) JaeSoo 2011.12.10 4198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ageViews   Today : 1040 Yesterday : 2356 Total : 21721159  /  Counter Status   Today : 933 Yesterday : 1688 Total : 1146302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