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유는 자체적인 규칙으로 로그화일을 작성하며, 로그화일 분석, 통계기능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다른 로그화일 분석기 등으로는 분석을 할 수가 없으며, 개인 개발자들이 자체적으로 만들어낸 몇 개의 서브유 전용 ADD-ON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을 하게됩니다. 그 종류는 여러 가지가있는데 그중 가장 빠르고 쉽게, 상세히, 타 프로그램과의 연동
(예:MicroSoft의 엑셀)이 가능한 두가지 프로그램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도스(DOS) 기반의 최고의 속도를 자랑하는 SUSTAT 2.0
http://www.gasmi.net/sustat.html
사용자 중심의 GUI, 엑셀과의 연동이 가능한 Serv-U Log Parser 0.1.50a
http://www.extrementity.com/modules.php?name=Downloads&d_op=viewdownload&cid=2
0. Serv-U 에서의 로그화일 작성.
-Serv-U 로그화일 설정-
서브유 관리자를 실행시키고 생성된 FTP의 Setting > Logging으로 들어가시면 위 그림과 같은 내용이 나타납니다.
이곳에서 로그화일에대한 전반적인 설정을 하게됩니다.
0.1 Screen, Files
Activity > Domain Log(Screen)에 표시될 내용 및 로그화일(Files) 에 기록될 내용을 선택합니다.
System 메시지, 보안 메시지, 다운로드, 업로드 메시지 로그를 선택합니다. 아래 IP name은 클라이언트의 컴퓨터
이름을 기록하므로 선택하지 않습니다. (필요하지 않은 항목은 제외하는 것이 로그화일의 크기를 줄여 좋습니다)
0.2 Log file name, Enable logging
to file
기록될 로그화일의 이름을 지정합니다. Enable logging to file이 선택이 되어 있어야 파일로 기록을 합니다.
파일의 이름은 아래의 옵션을 이용해 지정합니다.
저의 경우 1일단위로 로그를 만들어 관리하므로 %y%n%d.TXT로 지정했습니다. 그럼 생성되는 로그화일의 이름은
20030811.TXT 이런식이 되겠죠? (경험상 1일 단위로 관리하는게 통계 내기도 쉽고, 디버그하기도 편합니다.)
위 그림과 같이 캐비넷을 클릭한후 원하는 폴더에 파일이름을 옵션을 이용해 만드시면 됩니다. 제폴더에는 8월 4일 부터 로그가 있군요.. 7월달까지는 통계를 내서 압축후 옮겨놨거든요.. 로그화일의 용량도 무시못합니다. ^^;;..
0.3 Automatic rotate log file
로그화일의 기록 단위를 선택합니다. 위에 말씀 드렸듯이 전 Daly를 선택했습니다.
이정도로 설정하셨으면 소스가될 서브유 로그화일 설정은 다 된 것 같습니다. 이제 원하는 자료를 뽑아 볼까요?
1. Sustat로 사용자 통계내기.
Sustat 2.0에 첨부된 텍스트 파일을 보면 Sustat는 서브유의 로그화일을 분석 ASCII의 형태로 출력하며, 사용자별, 파일별, 디렉토리, 호스트별로 통계가 가능하다고 합니다. 자세한 사용법 및 옵션은 아래와 같습니다.
각각의 옵션은 직접 해보시는게 이해가 빨리되실겁니다.
디폴트만으로도 훌륭한 통계가 뽑아지니 그리 고민하시 않으셔도 됩니다. 그럼 Sustat를 사용하여 제가 사용하는
꽁수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출처 : http://donzbox.tistory.com/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