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조회 수 688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NIX 계열에서 routing table 관리하는거보다, 윈도우즈는 딱히 입력해놓는 부분도 없고. route 라는 커맨드로 관리를 해야하는데, 윈도우즈에서 네트워크 카드 2장을 이용하여 원하는대로 라우팅을 탈 수 있게 하는 방법이다.

D:> type routing.bat
route print
route delete 0.0.0.0 10.101.153.40
route add 0.0.0.0 mask 255.255.255.0 192.168.10.1
route add 10.101.153.0 mask 255.255.255.0 10.101.153.121
route add 10.101.154.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add 10.101.152.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add 10.101.155.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add 10.101.148.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add 10.101.183.0 mask 255.255.255.0 10.101.153.40
route print
pause
D:>

NIC1 (Wire)
IP 10.101.153.121
Subnet 255.255.255.0
G/W 10.101.153.40

NIC2 (Wireless)
IP DHCP (DHCP Server 192.168.10.1)
Subnet 255.255.255.0
G/W 192.168.10.1

간단하게 설명하면
Default Gateway 인 10.101.153.40 을 삭제하고. Default G/W 를 192.168.10.1 으로 입력.
10.101.153.0/24 의 G/W 는 10.101.153.121 로 입력 (NIC1)
10.101.154.0/24, 10.101.152.0/24, 10.101.155.0/24, 10.101.148.0/24, 10.101.183.0/24 의 G/W 는 10.101.153.40 으로 입력하면 10.101.0.0 대역을 접근할때는 10.101.153.0 네트워크를 타고, 그 외에는(인터넷) 192.168.10.1(10.101.160.141)의 네트워크를 이용하게 된다.

덧글 ---------

Commented by 서린 at 2007/11/21 17:36


...우연히 들렀습니다만...

저거 그대로 쓰시는 건 대단히 비합리적인데요.

1. 애초에 NIC1의 디폴트 게이트웨이는 비워주시는게 좋습니다. 2행 설정이 필요 없어집니다.

2. 3행의 기본 라우트는 NIC2설정을 통해서 자동으로 들어갑니다.

3. 4행의 route add 10.101.153.0 mask 255.255.255.0 10.101.153.121 이건 처음부터 알고 있는 주소이기 때문에 딱히 추가하실 필요 없습니다.

기타

1. 저 설정으로 하나의 PC에서 복수개의 경로를 갖는 건 가능합니다만, 기술적 의미의 '라우팅'은 되지 않습니다.

그냥 한대로만 쓰시는 것이거나 '어차피' 10번대가 다 내부만 타는 경우라면 아래의 설정을 권장합니다.

1. NIC1 기본 게이트웨이는 빈 상태로 설정

2. cmd에서 route add -p 10.101.0.0 mask 255.255.0.0 10.101.153.40 (엔터)

한번만 실행해주면 고정으로 박힙니다.


출처 : http://kkanari.egloos.com/3495484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6 Reverse DNS - 등록및 확인 JAESOO 2016.09.24 375
75 파일질라(filezilla) 디렉터리 목록 조회 실패 JAESOO 2016.07.01 400
74 시만텍(Symantec) 솔루션 적용 구성도 JAESOO 2015.06.20 584
73 [기술자료] 전용선 JAESOO 2015.04.17 416
72 전용회선의 종류 JAESOO 2015.04.17 350
71 [이도경 칼럼] 올해 인터넷전화 도입시 주의사항 10가지 2 JAESOO 2015.04.16 883
70 [이도경 칼럼] 올해 인터넷전화 도입시 주의사항 10가지 1 JAESOO 2015.04.16 423
69 How to Set a Passive Port Range in Serv-U FTP Server - KB Article #2100 JAESOO 2015.01.21 739
68 초고속 정보통신 건물 앰블럼 시험항목 JAESOO 2014.06.27 1507
67 Digital 통신용 UTP 케이블의 종류와 특성 JAESOO 2014.06.27 1798
66 디지털 통신용 UTP Cable의 종류와 특성 이해 JAESOO 2014.06.27 1891
65 통신 네트워크 관련용어정리 (기본 통신네트워크, 데이터통신 네트워크, 영상통신 네트워크) JAESOO 2014.06.27 17909
64 전기 연선의 굵기(SQ), 가닥(C), 단위 읽는 방법과 해석 JaeSoo 2013.12.20 6890
63 일반형 항온항습기와 일체형 항온항습기 비교 JaeSoo 2013.12.19 2558
62 IP 대역 계산 JaeSoo 2013.11.27 4325
61 회선비, 상면비 JaeSoo 2013.10.24 2958
60 코로케이션(Co-location)이란? JaeSoo 2013.10.24 2114
59 데이터 센터에 대한 일반 상식 JaeSoo 2013.10.24 2404
58 텐센트 10TB 무료 대용량 클라우드 서비스 모바일 APP/PC 클라이언트 한글화 배포(PC버전 추가) JaeSoo 2013.09.28 4636
57 인터넷속도측정 10초면 가능 인터넷속도 체크해보세요 JaeSoo 2013.09.11 5226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Next
/ 4

PageViews   Today : 11745 Yesterday : 5037 Total : 21967797  /  Counter Status   Today : 11371 Yesterday : 4602 Total : 1194094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