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entos 6.5 64bit
데스크탑 환경인 GNOME(그놈)으로 설치
[설치환경 및 준비물]
[Utility] 카테고리에서 VMware Workstation 10[참고]
http://comet42.tistory.com/entry/VMware-Workstation-10-설치
따라하시다가 바로 아래의 스크린샷부터 시작하면됩니다.
일딴
GNOME [ GNU Network Object Model Environment ]의 약자이며 리눅스및 유닉스에서 검은화면에 커맨드창만 있는게 아닌 윈도우처럼 데스크탑환경을 제공해주는 오픈소스중에 하나입니다. 그외에도 KDE 등 여러가지가 있지만 이것을 통틀어 'x-window' 라고도 합니다.
|
시작하겠습니다.
그전에 설치할때는 'Minimal' 에서 직접 선택해서 진행했지만
이번에는 그냥 'Desktop' 선택후 바로 다음으로 넘어갑니다.
(아마 centos5.x 설치시에는 GNOME,KDE 따로 선택부분이 있었던걸로 알고 있습니다.
6.5버전에서는 일반적으로 'GNOME' 이 설치됩니다.)
거치는 과정도 최소화 시켰네요. 앞으로 넘어갑니다.
어짜피 현재 네트워크가 안되기때문에 앞으로 넘어갑니다.
kdump 위에 설명있으므로 넘어가겠습니다.
단순히 경고창이므로 더이상 보기 싫을시
'이 메시지를 다시 보지 않습니다' 체크후 닫기
처음 메인화면입니다.
이제 윈도우처럼 마우스로도 클릭하여 설정할수 있으며
바탕화면, 각종 바로가기 실행 아이콘으로 명령어 없이 바로 적용할수 있습니다.
시스템 → 컴퓨터에 관하여 클릭하면
시스템 정보를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 윈도우에서 내컴퓨터 속성 확인하는거랑 같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먼저 네트워크부터 연결시켜볼까요?
시스템 → 기본 설정 → 네트워크 연결 선택
'System eth0 마우스로 더블클릭' 혹은 '한번 클릭후 오른쪽 메뉴 변경하기 클릭'
Vmware 로 설치하셨다면 위에 '자동으로 연결(A)' 체크후 적용만하면됩니다.
처음 설치할때 DHCP(자동) 으로 했기때문에 인터넷만 된다면 자동으로 연결됩니다.
만약 공인아이피가 있다면 'IPv4'탭 선택하여 설정하시면됩니다.
잘보시면 오른쪽 맨상단위에 네트워크 모양이 'X' 되어있던게 연결 확인되실겁니다.
왼쪽맨상단에 여우모양인 'Firefox(파이어폭스)' 클릭하면 인터넷이 되는걸 확인하실수 있습니다.
만약 콘솔모드를 찾으신다면
프로그램 → 시스템 도구 → 터미널 선택
하시면 됩니다.
저는 처음부터 검은화면의 콘솔로만 공부해왔기때문에 명령어로 입력하는게
더 편하게 느껴지네요. 거기다 서버호스팅업체에서 일하다보니 최적화가 우선이여서
데스크탑환경은 이용하지않습니다. 하지만 어느정도 사양이 뒷바쳐준다면 개인용및 서버용으로도
편하게 다룰수 있는것도 사실입니다.
저역시 데스크탑환경은 별로 이용해보지 않았지만 클릭해서 보기만해도 윈도우처럼 쉽게
설정할수있다고 느껴집니다. 처음 리눅스를 접하시는분들은 위의 환경에서 시작하는것도
나쁘지 않을것 같네요.
이상 포스터를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 http://comet42.tistory.com/entry/VMware-CentOS-65-%EC%84%A4%EC%B9%98-64bit-GUIGNO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