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 redhat이면 vsftpd가 설치 되어 있다.
rpm -qa |grep vsftpd 로 확인 해 볼것.
설치 되어 있다면 이제 실행 해보자.
-실행: /etc/rc.d/init.d/vsftpd start
-재실행: /etc/rc.d/init.d/vsftpd restart
-정지 /etc/rc.d/init.d/vsftpd stop
다음번 부팅부터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하시려면
/sbin/chkconfig --level 2345 vsftpd on
하시면 됩니다.
런레벨 2,3,4,5번에서 vsftpd을 항상 활성화 시키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X-Windows를 사용하는 경우의 런레벨은 5번이고 X-Windows를 사용하지 않고 콘솔모드로만 사용하는 경우의 런레벨은 3번이니까 위처럼 하시면 항상 vsftpd 이 실행될 것입니다. 참고로 런레벨은 OS의 수행수준을 의미하며 Windows와 비교하자면 안전모드, 일반모드 뭐 그런 것들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