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조회 수 2408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초보컴사랑 (kimjcook) | 218.54.xxx.105 | 2013.07.20

pc방 케이스가 모두 세로로 장착되게 만들어져 있는데요.
HDD 세로로 장착하면, 가로보다 내구성이나 수명이 단축되지 않을까요?
인터넷 검색을 해봐도 별차이없다, 또는 그래도 가로가 더 안정적이다고 하는데..
여러분의 뜻은 어떤가요? 여기 전문가님만 많이 들어오길래.. 질문합니다.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댓글쓰기

0 / 1000자 (한글 500자, 영문 1000자)


CesiumSushi

CesiumSushi (!!!!F) | 114.179.xxx.37 | 2013.07.21

불안하면 케이스 교체
여기라고 다른 답변 나올리도 없고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바와 같이 수직장착도 별이상없다는 답변밖에 못해줌

훈족

훈족 (paradise814) | 112.171.xxx.219 | 2013.08.17

문의하신 세로장착은 물리적으로 보면 하드안에 중심축을 지탱하는 베어링이 들어가있고 아무리 마찰에 강한 베어링이라고해도 중력의 영향을 받는 수직으로 위와아래 부분의 베어링부분에 무게가 쏠리게되있으니 당연히 마찰력이 위와아래부분에 집중될것이라고 생각되며 가로방향(수평장착) 은 모든 무게중심이 동서남북방향의 수평형태로 베어링에 하중을 주게되므로 무게가 4방향으로 분산되고 마찰력에 의한 발열이나 베어링마모상태가 세로방향(북남 2방향으로 하중이집중) 으로 장착했을때에 더 심해질거라 생각되네요 하지만 그차이가 클지 작을지는 테스트한정보나 제조사의 정보제공글이 없으므로 단치 추측이며 제경험상 수평방향보다 수직방향으로 장작했을시에 하드자체에 발열이 좀더 심한경향이 있었으므로 저는 케이스의 제한이 없을경우 항상 수평방향으로 장작을 하고 발열에도 신경을 쓰기에 그런지 7년전 구입한 하드를 포함 모두 이상없이 사용하고 있읍니다 참고하세요 ^^

천지인♡

천지인♡ (jawsjaw) | 58.227.xxx.58 | 2013.09.18

기계과 출신으로 훈족님 의견에 대부분 공감하며,
베어링도 베어링이지만 덧붙이자면 헤드의 수평 수직 사용 부분도
수평 사용이 헤드나 플래터의 중력에 대해 수명이나 사용시 좀더 유리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저또한 그래서 애초 저의 의도대로인 조합이면 수평으로만 사용합니다.
그래서인지는 정확하진 않아도 특별히 문제 생긴 하드 외엔 아주 오래된 하드들도 아직 이런저런 용도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일전에 지인 부탁으로 고쳐준 본체에 사선 장착된 하드를 보고 잠시 뜨악하고 놀랐습니다 ^^
혹시나하고 사선 상태로 재설치하고 온도 테스트 해봤는데 발열이나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 결국 수평 설치했습니다.
하드 발열에 대한 부분은 케이스나 파워나 파워선의 조립이나 조합에 따라 다른 경우도 개인적으론 있었지만,
하드 장착 방향에 대한 부분의 발열이나 안정성 면에서 수평 > 수직 > 사선 정도의 순으로 좋을 것으로 짐작합니다.
사실 사선 설치는 비전문가인 저로선 들어본 적도 없어서 추천하지 않겠습니다.

배인링

배인링 (okkinawa) | 183.101.xxx.124 | 2013.09.24

저도 기계전공이라 항상 그 부분이 걱정이 되어서 수평장착만 고집하고 있습니다. 뭐 워낙 정밀하게 깎아 만든다지만 회전체는 중심축 각도가 정확히 0 이 안나오게 되고 그게 편심이라는거죠. CNC 기계 오차가 1000분의 1mm인데... 오차가 없는게 아니므로... 그 0.001mm가 덜덜 거리다가 점점 커지는건 이론상 가능하죠. 근데 서버들은 세로 장착 많은거 보면... 뭐 고속 회전 하다 보면 원심력으로 편심 잡히는 수도 있음... 그리고 요즘 하드디스크는 볼베어링이 아닌 유체베어링이라는 특수기술도 씀... 정답은 없겠지요. 심리적 안정감.

 

출처 : http://brand.danawa.com/brand.php?page=30&id=seagate&menu_seq=53077&listSeq=6264710&method=boardView

?

  1. No Image 18Mar
    by JAESOO
    2016/03/18 by JAESOO
    Views 338 

    J1900 vs 1037u vs D2700 vs D525 vs D2550 vs D2500

  2. No Image 18Mar
    by JAESOO
    2016/03/18 by JAESOO
    Views 438 

    CPU 온도에 관한 진실

  3. CPU와 관련하여 뿔딱, 뚜따 등의 의미

  4. No Image 13Jan
    by JAESOO
    2015/01/13 by JAESOO
    Views 377 

    베이트레일 셀러론 J1900을 탑재한 기가바이트 GA-J1900N-D3V 보드

  5. No Image 20Oct
    by JAESOO
    2014/10/20 by JAESOO
    Views 2381 

    하드디스크 용량 계산하는 방법 및 하드용량별 실제 표기용량

  6. No Image 31May
    by JAESOO
    2014/05/31 by JAESOO
    Views 1756 

    향상된 성능 낮아진 전력소모 - 인텔 4세대 CPU 하스웰(Haswell)

  7. No Image 31May
    by JAESOO
    2014/05/31 by JAESOO
    Views 1796 

    인텔 하스웰 후속 CPU 하스웰 리프레시 어떻게 달라졌나?

  8. No Image 10Mar
    by JaeSoo
    2014/03/10 by JaeSoo
    Views 1085 

    HDD 회사별 수명/내구성

  9. No Image 10Mar
    by JaeSoo
    2014/03/10 by JaeSoo
    Views 1245 

    HDD 수명/내구성/신뢰성 - AFR

  10. No Image 10Mar
    by JaeSoo
    2014/03/10 by JaeSoo
    Views 1377 

    HDD 수명/내구성/신뢰성 - MTBF의 의미

  11. No Image 07Mar
    by JaeSoo
    2014/03/07 by JaeSoo
    Views 6714 

    하드디스크 용량 계산하는 방범 및 하드용량별 실제 표기용량

  12. No Image 07Dec
    by JaeSoo
    2013/12/07 by JaeSoo
    Views 2018 

    저렴한 서버 코로케이션 지원! 호스트웨이 IDC

  13. No Image 06Dec
    by JaeSoo
    2013/12/06 by JaeSoo
    Views 1748 

    비용 부담은 내리고, 관리는 체계적으로. 가비아 코로케이션(Colocation)

  14. 하드디스크(HDD)의 수평, 수직, 사선 설치에 대한 의견

  15. No Image 19Oct
    by JaeSoo
    2013/10/19 by JaeSoo
    Views 3082 

    크로스오버 2730MD LED 왕의귀환 사용기 후기

  16. No Image 23Sep
    by JaeSoo
    2013/09/23 by JaeSoo
    Views 6879 

    CPU와 하드디스크의 적정온도를 확인하자

  17. No Image 23Sep
    by JaeSoo
    2013/09/23 by JaeSoo
    Views 2777 

    하드디스크와 배드섹터의 상관관계

  18. No Image 12Sep
    by JaeSoo
    2013/09/12 by JaeSoo
    Views 5353 

    mSATA SSD의 이해와 다른 제품, microSATA 등과의 차이

  19. No Image 09Sep
    by JaeSoo
    2013/09/09 by JaeSoo
    Views 11807 

    저장매체의 읽기 쓰기 속도 (SSD, USB메모리, 내장HDD, 외장HDD, RAMDisk)

  20. HDD Support for 2.5TB, 3TB Drives and Beyond (OS별 2.5Tb, 3TB 하드 지원 정리)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PageViews   Today : 186 Yesterday : 2394 Total : 21713844  /  Counter Status   Today : 163 Yesterday : 1232 Total : 1142305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