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Execute Memory Protect(Advanced BIOS Feature)
AMD측에서는 NX(No Execute) Intel측에서는 XD(Execute Disable)라고 합니다.
간단히 설명하자면 버퍼 오버플로우를 이용한 악성코드의 실행을 방지.
실행 방지 기능(일명 NX 또는 no execute)은 프로세스에서 실행 코드를 명시적으로 포함하고 있
지 않은 메모리 영역 전체를 실행 불가
로 표시합니다. 실행 불가 메모리 영역으로부터 코드를 가져와 삽입하여 실행하려는 공격이 있습
니다. 실행 방지 기능은 이러한 시도를 차단하고 예외로 처리해서 이 공격을 막아줍니다.
실행 방지 기능은 프로세서 하드웨어를 이용해 코드가 특정 메모리 영역에서 실행되지 못하도록
하는 속성을 부여합니다. 실행 방지 기능은 가상 메모리 페이지 별로 작동하며 대부분의 경우 페이
지 테이블 엔트리(PTE)의 비트를 변경하여 메모리 페이지에 표시합니다.
실행 방지 기능의 실제 하드웨어적 구현과 가상 메모리 페이지 표시 방식은 프로세스 아키텍처에
따라 다릅니다. 그러나 실행 방지를 지원하는 프로세서는 적절한 특성 집합으로 표시된 페이지로
부터 코드가 실행되는 경우 예외 처리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CPU Enhanced HALT(C1E)(Advanced BIOS Feature)
C1E 스테이트는, 아이돌시의 소비 전력을 삭감하는 기능. Windows나 Linux 등의 OS에서는, CPU
의 사용율이 내리면 HALT라고 하는 정지 명령을 발행해, CPU를 휴지 시켜 전력 절약, 저발열화
를 꾀하게 되어 있다. CPU는 이 정지 명령을 받으면 「HALT 파워다운 상태」라고 하는 전력 절
약 모드로 이행 하지만, Enhanced HALT에서는, 이 전력 절약 모드 때에, 전압을 내리는 것으로
전력을 절약.
EIST(Enhanced Intel SpeedStep Technology)(Advanced BIOS Feature)
프로세서의 사용이 적을때 불필요한 전력 소모와 발열을 줄이기 위해 클럭과 전압을 분리해서 자
동 조절하는 기능이며, OS와 연계되어 작동되고 CPU와 VID가 조정된다.
CPU와 OS(윈도우XP SP2이상)가 연계되어 동작하므로 약간의 굼뜬(느린) 현상을 겪기도 한다.
CMOS에서 EIST 활성화 후에
제어판 -> 전원옵션 -> 가정용/사무용 -> 항상켜기(EIST Off)를 -> 최소전원관리(EIST ON)으로
바꾸어 주면 된다.
CMOS에서 오버클럭 시 반드시 Disable(비활성)을 해주어야 한다.
위와 같이 CIE는 EIST와 달리 절전모드로의 전환이 아니라 CPU의 동작속도 즉, 배수와 전압을 동
시에 낮춰주어 EIST보다 좀더 효율적인 전원관리 기술이라고 하겠다.
오버클럭시 CIE, EIST 모두 활성화 시 안정화는 물론 사용도중 원인모를 다운에 걸릴수 있으며,
모두 비활성화 할경우에는 전기세의 압박에서 벗어 날수없다.
SATA AHCI Mode(Integrated Peripherals)
NCQ모드를 사용하기 위한 설정. AHCI : Advanced Host Controller Interface의 약자
NCQ(Native Command Queuing):네이티브 커맨드 큐잉 이라는 기술은 하드디스크 제어 소프트
웨어가 플래터의 데이터 저장 상태를 분석해 CPU가 내린 읽기, 쓰기 명령 순서를 스스로 바꾸는
기술입니다.
EIDE 하드디스크는 CPU가 내린 데이터 읽기, 쓰기 명령을 받은 순서대로 처리합니다. 헤드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자료도 그것을 읽거나 쓰라는 명령이 없으면 그냥 지나쳐 버립니다. 하지만 네이
티브 커맨드 큐잉은 명령의 순서가 아닌 하드디스크 헤드가 적게 움직일 수 있는 순서로 처리합니
다. 헤드를 조금 움직여도 데이터를 읽고 쓰게 되므로 속도가 빨라지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네이티브 커맨드 큐잉이 만능은 아닙니다. 수행할 명령을 어떻게 정리했느냐에 따라 속
도가 썩 빨라지지 않거나, 도리어 더 느려지기도 합니다. 또, 데이터를 자주 읽고 쓸수록 효과가 좋
고 명령을 기다리는 시간이 길면 성능 향상은 크지 않습니다.
NCQ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노스브리지가 ICH6W나 ICH6R을 지원해야 함 (915보드 or 925보드)
● 인텔 애플리케이션 엑셀레이터 4.0 소프트웨어 사용
● 바이오스(CMOS SETUP)에서 AHCI 활성화
현재 기가바이트에서 유통되고 있는 915, 925 이상의 메인보드들도 위 사항을 지원하기 때문에 그
에 해당하는 설정 사항이 CMOS Setup 에 존재합니다.
지금부터 그 설정 사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부팅 시, 메인보드 바이오스 셋업으로 진입하여 [Integrated Peripherals] 에 들어가면 SATA RAI
D/AHCI Mode 라는 메뉴가 있습니다.
그 항목에서 모드를 AHCI MODE 로 변경하시면 됩니다.
이번에는 윈도우 설치 과정에서의 셋팅인데, ICH6R 이 탑재된 메인보드에서는 해당 SATA 하드에
윈도우 2000 이나 XP 를 설치할 때 플로피를 이용하여 South Bridge 드라이버를 로딩하는 과정에
서 Controller 를 선택하는 화면이 나옵니다.
드라이버 선택화면에서 "Intel(R) 82801FR SATA AHCI Controller" 로 선택해줘야 NCQ 지원하드
의 기능을 윈도우에 적용시킬 수 있습니다.
HPET Support(Power Management Setup)
HPET : High Precision Event Timer의 약자
HPET는 8254 PIT(8254 Programmable Interval Timer)나 RTC(Real-time clock)보다 resolution
이 높은 High Precision Event Timer(고정밀 이벤트 타이머)로서, multimedia 스트림을 동기화시
키는 데도 종종 사용되므로 HPET를 지원하는 시스템에서는 동영상 재생시에 더 이득을 볼 수 있
다.
기능 자체가 윈도우 계열 OS 에서는 비스타 이후에서 제대로 지원되기 때문에, 아직까지는 어플리
케이션 개발자가 아닌 한 거의 건드릴 일이 없는 기능이다. 모드는 32비트와 64비트를 선택할수 있
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