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샌디브릿지 막내로 가성비 최강이라 불리울만한 셀러론 G530과 떠오르는 보급형 샌디브릿지 메인보드 MSI H61M-P20 Gen3 조합 리뷰입니다.

H61M-P20 G3의 경우 저가형임에도 불구하고 PCI-E 3.0 을 지원해주고 있습니다. 라데온 HD 7000 시리즈나, 엔비디아 케플러를 제대로 지원해주겠다는 이야기인데, 뭐 아무튼 5만 원 정도에 이 옵션이 들어간 것이 나쁘지 않네요.


이전 게시물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주세요. MSI H61M-P20 Gen3 생김새와 G530 생김새를 확인 가능합니다.
 
메인보드 사진: Link
G530 사진 확인: Link
 





그럼 CPU-Z 사진을 일단 보시기 바랍니다.

 


G530의 코어 클럭은 2.4GHz 입니다. 이거보다 더 상위라인 G620은 펜티엄이라는 이름을 달고 나오며 2.6GHz 이고 가격이 만 원 정도 더 높습니다. 



또 한 단계 더 눈을 높이면, G630 (2.7GHz)이 기다리고 있고, 눈을 좀 더 높이면 G840이 대기하고 있습니다.

그러다 Core i3-2100까지 눈이 높아지고, i3-2120까지 생각하다가 결국 Core i5-2500까지 올리게 되니 적당히 끊어주는 것이 필요한 것 같네요.



사전 조사 없이 그냥 구매했는데 램 속도가 저렇게 나오네요. 메인보드가 낮게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G530 램 컨트롤러가 원래 저렇습니다. 최대 지원 속도가 저렇다는 얘기지요. 

팬티엄 시리즈부터는 정상적으로 DDR3-1333을 지원해주니, 뭐 생각 있으시면 만 원 정도 더 투자하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피부에 와 닿을 정도의 체감은 아닐 것으로 생각하고, 저렴하게 업그레이드 생각하는 분들에게는 G530을 추천합니다.





윈도우 7 에서의 체험지수입니다. 6.3점이 나오네요. 낮은 클럭이 원인이라고 보지만 숫자가 전부가 아니라고 봅니다.

내장그래픽 점수도 흥미로운데 그래픽/ 게임 그래픽 (4.9 / 5.5)를 기록하네요. 생각보다 높은 숫자입니다.

그러나 항상 강조하지만 내장그래픽에 환상을 가지시면 곤란합니다. 화면에 출력하는 구실만 한다고 보시는게 낫습니다.

왜 이런 말을 하는지 아래 물고기 벤치마크를 'GPU 가속'을 활성화 하고 한 것을 보세요.


보통 외장그래픽카드로 1000마리 60프레임 채우는거 별로 안 어렵습니다. 30프레임 기록하네요. 버거운 수준입니다.


몇 마리까지 내려야 60프레임이 되는지 관찰했습니다.


100마리가 되서야 60프레임이 되네요. 아래 그래프로 한 눈에 보세요.


내장으로 게임 테스트 하는 것이 거의 무의미하다고 보기 때문에 이 정도로 줄입니다.

다만, 게임 안 하고 웹서핑, 혹은 영화 정도 보시는 용도로 사용하신다면 최고의 조합이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왜 이런말이 나오냐면 소모전력 때문입니다. 이 부분은 아래쪽에서 확인하세요.






Nvidia GeForce GTX 560 Ti와 조합 시 체험지수입니다. 그래픽 점수는 7.8이 되고, 낮은 메모리 클럭때문인지 5.9점인 것이 눈에 띄네요.






■ 3DMark 11 Performance



NVIDIA GTX 560 Ti 기본클럭 상태 그래픽카드와 조합 시 3DMark 11 점수입니다. P3436점이 나오네요.





각각의 테스트 환경이 다르긴 한데, 어떻게 설정하든 클럭만 비슷하면 비슷한 점수가 나오기 때문에 참고 정도로만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일단 GTX 560 Ti로 테스트해보니, 퍼포먼스 점수가 3436점이 나왔습니다. Core i5-2500에서 했을 때와 꽤 차이가 큽니다.


P4550을 기록한 Core i5-2500 조합과 비교해보니 거의 1000점이 내려가네요.


그런데 그래픽 점수를 보면 Core i5-2500 과 비슷한 점수가 나오고 있습니다. 오히려 그래픽 점수 하락은 데네브 945쪽에서 일어났네요.



낮은 CPU클럭 때문에 생기는 차이. 꽤 많이나는 것 같습니다. 


일단 G530이 GPU 감속기 역할을 한 것 같은데, 이거 두려워서 낮은 등급을 구매하는 것은 조금 그런 것 같네요. CPU만 나중에 바꿔주면 될 것 같습니다. 









다음은 단순 CPU 성능체크입니다.


■ SuperPi 1M

CPU 연산속도를 확인할 수 있는 Super Pi 입니다. 



비교 제품으로 Core i5-2500과 Core i5-2410M 모바일 듀얼코어 CPU를 설정했습니다. 딱히 이유가 있는 것은 아니고, 그냥 보유한게 이거라 끼워 넣은 것이니 대충 보셔도 됩니다.

i5-2500보다 느린 것은 클럭 차이 때문에 당연한 것이겠고, 클럭이 비슷해보이는 Core i5-2410M보다는 왜 느리게 나오는지 궁금하실 수도 있는데, i5-2410M은 터보부스트 기능이 있어서 실제로는 G530보다 빠르게 작동합니다. 그래서 이런 결과가 나온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런데 G530의 16.723의 속도가 그 어떤 AMD CPU로도 넘지 못 하는 속도 Super Pi 속도라는 것 아시죠?



■ wPrime



G530과 Core i5-2500이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는 분들에게 좋은 정보일 것 같습니다. 아래 그래프로 확인하세요.


Core i5-2500과 32M 연산시간이 거의 세 배 차이나네요. 모바일 프로세서인 Core i5-2410M과도 10초 정도 차이납니다. 이 정도 보시면 G530의 위치를 확인 가능할 것 같습니다.






■ Fritz Chess benchmark

Fritz Chess 결과입니다. 참고만 하셔야 할 것 같네요. 가격이 4배에 가까운 Core i5-2500과의 비교이고 가격대 별 스펙 조절이 확실한 인텔이라 뭐 당연한 결과겠죠.






■ CPUmark


성능 차이가 이 정도 나는 것만 확인하세요. 분명 급이 다른 CPU입니다.




■ Cinebench R11.5

코어 개수를 제대로 반영해주는 프로그램으로 유명한 Cinebench R11.5 결과입니다. 1.86 pts를 기록합니다.



이 프로그램은 인텔 하이퍼스레딩도 지원해주기 때문에, 듀얼코어이면서 터보부스트 기능까지 있는 모바일 CPU Core i5-2410M보다 느린 기록이 나왔습니다. Core i5-2500과의 차이는 거의 넘사벽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이고, 7점대를 기록하는 i7-2600과 차이도 어마어마한 것 같네요.

 

CPU 속도에 차이가 있는 것은 당연하다고 봅니다. 가격이 그렇게 매겨진 데는 이유가 있겠죠.

20만 원이 넘는 Core i5-2500과 CPU+메인보드를 구매해도 10만 원 초반대인 G530과 성능을 놓고 비교하면 아이러니해집니다. 


하나 말씀드릴 수 있는 것은, 일반적 용도로는 G530이나 Core i5-2500이나 둘다 쾌적하긴 마찬가지라는 것입니다.

제가 말하는 일반적 용도는 웹서핑이나 간단한 멀티태스킹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위 벤치마크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인코딩이나 코어 개수 또는 클럭빨이 필요한 작업에서 차이가 심하게 날 수 있고 보시다시피 게임 성능에서도 차이가 심해짐을 알 수 있습니다.





■ 소모전력 측정

그럼에도 불구하고 G530이 매력적이라고 생각하는 이유는 아래 소모전력 때문입니다. 이 소모전력 수치는 G530의 내장그래픽을 활용한 수치입니다.


세컨 PC를 활용하여 G530의 소모전력을 측정해봤습니다. 정말 샌디브릿지가 대단하긴 대단하다고 느껴집니다.

이 소모전력 데이터는 1초에 한 번씩 데이터를 다른 컴퓨터에 저장한 결과입니다. 눈으로 측정한 것보다는 정확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 시스템 IDLE 상태 입니다. 아래 사진은 IDLE 상태의 일부를 촬영한 것입니다. 소모전력이 고정된 것이 아니라 변해서 아래 사진보다는 변화 그래프를 참고하시는 것이 더 좋습니다.





세로축은 소모전력(W)을 의미하는데 전체 소모전력이 29~32W에서 왔다갔다 합니다. 거의 노트북과 맞먹는 소모전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다음은 1080P 영상 재생을 위해 Youtube MBC Drama 채널을 활용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으로 한 것이 아니고 전체화면을 이용합니다.



어떤 영상을 재생하느냐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보시는 바와 같이 40W 이하로 작동하네요. 



다음은 위 벤치마크에서 사용하였던 Cinebench R11.5를 구동할 때 소모전력입니다.


최대 48W 정도 전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네요. 이 정도 수치라면 웬만한 노트북과 비슷한 소모전력이라고 생각됩니다.


그리고, CPU를 100% 활용하는 Prime 95라는 프로그램을 이용한 소모전력 수치입니다.


프라임 95는 많은 시간을 할애할 필요가 없겠다 싶어  10분 간만 돌렸습니다. 대충 56W까지 올라가는 것 같네요.




아래 그래프는 종합 소모전력 그래프입니다.  


웬만한 성능을 보여주면서 50W 이하로 구동되는 저전력 CPU. 이게 G530의 가장 큰 장점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 온도 측정

달리 측정하려고한 것은 아니지만 Prime 95를 측정하면서 Realtemp로 온도를 체크했는데 그 것도 보시면 좋겠네요.


코어가 두 개인 G530 각각의 온도입니다. 오래 돌리면 물론 온도가 더 올라가기는 하는데, 기본 쿨러만으로도 발열도 심하지 않아 쾌적하게 사용 가능한 것 같습니다.





■ 종합

인코딩 혹은 압축, 고사양 게임(CPU 특성을 많이 타는 블리저드 게임)을 주로 하신다면 Core i3-2100이나 Core i5-2500, 또는 2500K 등으로 가시는 것이 정답입니다. 성능으로 G530과 비교하면 무리가 있습니다. 


그러나, Core i5-2500에 비해 많이 떨어지는 성능이지만, Windows 7 상태에서 웹 페이지를 여는 것은 정말 빠릿합니다. 이런 일반적 작업을 할 때는 Core i5-2500과 별로 성능 차이가 느껴지지 않습니다.

여유가 되신다면 i5-2500갈 돈으로 SSD를 설치하시면 오히려 웹서핑 등 환경에서는 더 많은 체감을 느낄 수도 있지 않을까 생각이 드네요.


그리고 가장 큰 장점인, 엄청난 저전력! 이 수치를 직접 확인해보셨다면 G530이 결코 무시할 CPU가 아님을 아실 수 있습니다. 

딱 10만 원 정도 투자하면 CPU+메인보드 조합이 가능한데 오래된 컴퓨터 사용하신다면 이 조합으로 가시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출처 : http://hiendedition.tistory.com/70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73 내 폰이랑 친구 폰 바꾸고 싶나요? USIM을 바꾸세요 JaeSoo 2012.05.24 2945
72 갤럭시탭 펌웨어 업그레이드 안내 JaeSoo 2012.05.24 1880
71 갤럭시탭 공장 초기화 방법 JaeSoo 2012.05.24 11947
70 Intel CPU 성능비교표 (passmark 벤치자료) JaeSoo 2012.05.23 3673
» 인텔 셀러론 G530, MSI H61M-P20 G3 조합 성능 벤치마크. (Intel Celeron G530 CPU, Gen 3 motherboard) JaeSoo 2012.05.19 2070
68 PassMark - CPU Mark : Low Mid Range CPUs - Updated 16th of May 2012 JaeSoo 2012.05.17 1992
67 [전문가리뷰] 인텔 차세대 아톰 플랫폼 Cedar Trail, 무엇이 바뀌었나? JaeSoo 2012.05.17 1809
66 레이드카드 IBM ServeRAID M5015 JaeSoo 2012.03.04 2908
65 Younus 2G 메모리 CD영역 생성하기 VID = 0x1307, PID = 0x0163 JaeSoo 2012.02.27 2262
64 삼성 슈퍼 WriteMaster 슬림 외장 ODD SE-S084C JaeSoo 2012.02.15 2215
63 DVD [digital versatile disc]란? JaeSoo 2012.02.14 1928
62 폭스콘(Foxconn) 메인보드 바이오스 JaeSoo 2012.01.11 6651
61 노트북에서 CF를 SSD처럼 활용 JaeSoo 2011.12.25 3918
60 CPU 순위 (CPU 성능 순위, CPU 서열차트) 2011년 10월 27일 JaeSoo 2011.11.17 7930
59 [Raid] 레이드의 환상을 버려라 - 레이드 잡설 JaeSoo 2011.09.23 5993
58 보다 향상된 RAID 기능 JaeSoo 2011.09.22 5125
57 Online Capacity Expansion (OCE, 온라인 용량 확장), Online RAID Level Migration (ORLM, 온라인 RAID 레벨 변경) JaeSoo 2011.09.22 6457
56 레이드 ( RAID ) 의 레벨과 구성 ( 2부 : Raid Level 5, 6, 10, 50, 60 ) JaeSoo 2011.09.20 7936
55 레이드 ( RAID ) 의 레벨과 구성 ( 1부 : Raid Level 0,1,2,3,4 ) JaeSoo 2011.09.20 9608
54 Dell PowerEdge RAID 컨트롤러 (PERC) H700 및 H800 사용 설명서 JaeSoo 2011.09.20 5985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PageViews   Today : 187 Yesterday : 2394 Total : 21713845  /  Counter Status   Today : 164 Yesterday : 1232 Total : 1142306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