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조회 수 3895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용어 설명

제조사 : 말 그대로 제품을 만들어먹은 회사. 현재 AMD, Intel, Via가 있음.
(Via의 경우 잘 알려져 있지는 않으나 일부 미니노트북에 이 회사의 제품이 탑재되어 있다고 함.)

브랜드 : 말 그대로 코어 2 듀오, 페넘 등등...
그 뒤에 콘로나 브리즈번 등등의 부제목이 붙음.

소켓 : 쉽게 생각하자면 전구 소켓과 같은 원리로 생각하면 될 것임.
Intel의 경우는 소켓 775, 1156, 1366, AMD의 경우는 소켓 AM2, AM2+, AM3로 구분.
소켓에 따라 장착할 수 있는 것이 다르므로 메인보드에 어떤 걸 넣을 수 있는지 확인은 필수.
(물론 지원이 되는 게 뭔지 알아보는 게 더 중요합니다. 맞아도 못 쓰는 게 있으니...)

연산 체계 : 요즘 출시되는 CPU는 32-BIT, 64-BIT 둘 다 지원이므로 설명 생략.

코어 형태 : CPU가 몇 코어냐임. 사람 대갈통 속 뇌로 생각하면 될 것임.
싱글 코어는 구세대 유물이라 요즘에는 파묻혀 가고 요즘은 듀얼 코어 이상이 대세.
싱글 코어 3GHz와 듀얼 코어 2GHz 비교 시 당연히 듀얼 코어가 유리.
(동작 속도 가지고 성능 비교하는 건 옛말일 뿐. 다만 같은 계열 내에서 비교한다면 예외.)

동작 속도 : 말 그대로 CPU가 작동하는 속도. 높을수록 좋음.
다만 몇몇 계열의 경우 그만큼 전력소모나 발열이 높아지게 됨.

시스템 버스 : 일종의 통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높을수록 좋음.
AMD 제품의 경우 HyperTransport라는 기술로 2배로 띄우는 것이 있음.

L2, L3 Cache : 이것이 높을수록 다중 작업에 유리함.
L3 Cache의 경우 특정 제품에만 있음. (코어 i 계열, AMD 애슬론-X2 쿠마, 페넘 계열.)
x2 따위의 숫자는 L2 캐시가 따로 분리되어 있다는 것임. (대표적으로 AMD 제품.)

제조 공정 : 낮을수록 발열, 전력소모 문제가 낮아짐. 반대로 높을수록 그만큼 발열, 전력소모 문제가 커짐.
(다만 반대의 경우가 있는데 노스우드→프레스캇 전환 때에는 오히려 발열, 전력소모 문제가 심했다고 함.)
현재 출시되고 있는 건 45mn이지만, 후에 Intel에서 32nm 프로세서를 출시한다는 얘기가 있음.

설계 전력 : 제조 공정, 동작 속도, 코어 형태에 따라 높을 수도 있고 낮을 수도 있음.
쿼드 코어가 듀얼 코어보다 전력을 더 많이 먹는다는 얘를 들면 이해가 쉬울 듯...?

윈도우 7 가상화 : 곧 출시될 윈도우 7에서 Virtual XP를 사용할 수 있냐 없냐를 결정짓는 부분.
AMD의 경우는 셈프론 계열을 제외한 전 제품 지원이지만 Intel의 경우 일부 계열에서 미지원.
어떤 제품이 가상화 기술을 지원하고 어떤 제품이 지원하지 않는지는 맨 아래 부분을 참조하시라.
(중요한 건 이걸 지원해도 메인보드에서 막히거나 해당 OS 버젼이 홈 프리미엄이면 말짱 꽝.)

Intel

[인텔 펜티엄 4]

이 제품은 현 시점에서는 절대로 비추천. 요즘 멀티코어 시대라 구시대 메인보드를 쓰는 PC가 아닌 이상 절대로 구입하지 않는 것이 정신 건강에 좋을지도. 여기서 구시대 메인보드를 쓴다는 것은 CPU를 업그레이드 하려는 목적으로 구입한다는 얘기입니다. 현존하지 않는 최고 스피드의 CPU는 인텔 펜티엄 4 프레스캇 670 3.80GHz. (현재까지 이 이상의 스피드를 가진 CPU가 없습니다. 현존하지 않다는 것은 단종되어서 구하기가 상당히 힘들다는 얘기. 문제는 스피드가 높을수록 그만큼 발열이 심하고 전기도 많이 잡아먹습니다. 특히, 프레스캇 계열은 열이 졸라 많이 발생하는 CPU로 알려져 있다고 하네요.)
여담이지만 몇몇 제품은 HT 기술이라는 것을 탑재했는데 이건 실제 CPU는 1개이지만 듀얼 코어인 것처럼 작동하는 것입니다. 펜티엄 4 노스우드 계열 중 일부(숫자 옆에 C가 붙은 제품.), 프레스캇 계열 중 일부(숫자 옆에 E가 붙은 제품과 5X0 일부, 6X0 계열.)와 시더밀 전 제품에 이 HT 기술이 탑재되어 있습니다. 제가 사는 동네 PC방에서 써먹는 CPU가 바로 이것인 듯 하군요... 참고로 프레스캇 5X0과 6X0의 차이는 L2 캐시 용량이 다르고 프레스캇 600 계열과 시더밀 601 계열의 차이점은 제조 공정. (최근에 알았는데, 시더밀이 65nm 공정이더군요.)
여담이지만... 프레스캇 계열 때문에 AMD에게 발렸다는 얘기가...? 물론 코어 2 듀오라는 혁명적인(?) 듀얼 코어 CPU를 만들어서 명성을 다시 회복했다나 뭐라나...

펜티엄 4 프레스캇 6X0 계열 (소켓 775)
펜티엄 4 프레스캇 630 - 싱글 코어, 32/64-BIT, 3.00GHz, 800MHz FSB, L2 2MB, 90nm, 84W, 하이퍼스레딩
펜티엄 4 프레스캇 640 - 싱글 코어, 32/64-BIT, 3.20GHz, 800MHz FSB, L2 2MB, 90nm, 84W, 하이퍼스레딩
펜티엄 4 프레스캇 650 - 싱글 코어, 32/64-BIT, 3.40GHz, 800MHz FSB, L2 2MB, 90nm, 84W, 하이퍼스레딩
펜티엄 4 프레스캇 660 - 싱글 코어, 32/64-BIT, 3.60GHz, 800MHz FSB, L2 2MB, 90nm, 115W, 하이퍼스레딩
펜티엄 4 프레스캇 670 - 싱글 코어, 32/64-BIT, 3.80GHz, 800MHz FSB, L2 2MB, 90nm, 115W, 하이퍼스레딩
(펜티엄 4 프리스캇 662, 672 제품도 있는데 그건 가상화 기술이 포함되어 있다고 하더군요.)

펜티엄 4 시더밀 6X1 계열 (소켓 775)
펜티엄 4 시더밀 631 - 싱글 코어, 32/64-BIT, 3.00GHz, 800MHz FSB, L2 2MB, 65nm, 86W, 하이퍼스레딩
펜티엄 4 시더밀 641 - 싱글 코어, 32/64-BIT, 3.20GHz, 800MHz FSB, L2 2MB, 65nm, 86W, 하이퍼스레딩
펜티엄 4 시더밀 651 - 싱글 코어, 32/64-BIT, 3.40GHz, 800MHz FSB, L2 2MB, 65nm, 86W, 하이퍼스레딩
펜티엄 4 시더밀 661 - 싱글 코어, 32/64-BIT, 3.60GHz, 800MHz FSB, L2 2MB, 65nm, 86W, 하이퍼스레딩
(펜티엄 4 시더밀 661 제품을 제외한 나머지 제품은 D0 스테핑의 경우 최대 전력소모량이 65W.)

펜티엄 XE 계열 - 싱글 코어 (소켓 775)
펜티엄 4 EE 3.73 - 싱글 코어, 32/64-BIT, 3.73GHz, 1,066MHz FSB, L2 2MB, 90nm, 115W, 하이퍼스레딩
(배수제한 해제에 관한 내용이 없어서 배수제한에 대한 것은 잘 모르겠네요.)

[인텔 셀러론 D]

가격이 싸다고 무턱대고 지르다가 피만 보게 만드는 비운의 CPU. (물론 그 당시로 칠 경우에요.) D 자가 붙어서 잘 모르는 사람들이 이걸 듀얼 코어로 생각하기 쉬울 지도 모르겠군요. (참고로 D는 펜티엄에서는 듀얼 코어, 셀러론에서는 데스크탑의 약자랍니다. D가 붙었다고 듀얼 코어라고 생각했다간 낭패 봅니다. 하긴, 요즘 그럴 일은 없겠지만... 맹세컨데, 과거에 하마터면 저도 피 볼 뻔했습니다. 전 그때 단지 셀러론이 안 좋다는 것만 알았지 셀러론 D가 싱글 코어였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거든요.) 시더밀 계열에도 HT 기술이 없습니다. 최고 속도의 제품은 3.60GHz인 걸로 알고 있습니다.

셀러론 D 프레스캇 3XX 계열 (소켓 775)
셀러론 D 프레스캇 326 - 싱글 코어, 32/64-BIT, 2.53GHz, 533MHz FSB, L2 256KB, 90nm, 84W
셀러론 D 프레스캇 331 - 싱글 코어, 32/64-BIT, 2.66GHz, 533MHz FSB, L2 256KB, 90nm, 84W
셀러론 D 프레스캇 336 - 싱글 코어, 32/64-BIT, 2.80GHz, 533MHz FSB, L2 256KB, 90nm, 84W
셀러론 D 프레스캇 341 - 싱글 코어, 32/64-BIT, 2.93GHz, 533MHz FSB, L2 256KB, 90nm, 84W
셀러론 D 프레스캇 346 - 싱글 코어, 32/64-BIT, 3.06GHz, 533MHz FSB, L2 256KB, 90nm, 84W
셀러론 D 프레스캇 351 - 싱글 코어, 32/64-BIT, 3.20GHz, 533MHz FSB, L2 256KB, 90nm, 84W
셀러론 D 프레스캇 355 - 싱글 코어, 32/64-BIT, 3.33GHz, 533MHz FSB, L2 256KB, 90nm, 84W

셀러론 D 시더밀 3XX 계열 (소켓 775)
셀러론 D 시더밀 347 - 싱글 코어, 32/64-BIT, 3.06GHz, 533MHz FSB, L2 512KB, 65nm, 86W
셀러론 D 시더밀 352 - 싱글 코어, 32/64-BIT, 3.20GHz, 533MHz FSB, L2 512KB, 65nm, 86W
셀러론 D 시더밀 356 - 싱글 코어, 32/64-BIT, 3.33GHz, 533MHz FSB, L2 512KB, 65nm, 86W
셀러론 D 시더밀 360 - 싱글 코어, 32/64-BIT, 3.46GHz, 533MHz FSB, L2 512KB, 65nm, 65W
셀러론 D 시더밀 365 - 싱글 코어, 32/64-BIT, 3.60GHz, 533MHz FSB, L2 512KB, 65nm, 65W

[인텔 펜티엄 D]

인텔 최초의 듀얼 코어 CPU입니다만... 쫄딱 망했습니다. 이유는 펜티엄 4를 그냥 2개 같다붙인 날림 듀얼 코어 CPU이기 때문입니다. 최초의 듀얼 코어는 인텔 펜티엄 D 스미스필드. (번호로 치면 800 계열이다. 840 제품의 경우 펜티엄 익스트림이라는 제품으로도 나온 바 있다.) 문제는 발열이 졸라 심하다는 것입니다. 전력 소모도 만만치 않다고 하네요. 제조 공정은 90nm.
후에 개량형 펜티엄 D 제품을 내놓게 되는데 코드명은 프레슬러. 이건 제조공정 65nm 제품. 발열과 전력소모를 줄였다고는 했지만... 차이는 없어 보이는 듯. 제조 공정의 세밀화도 소용이 없었던 것이 날림 듀얼 코어였기 때문이죠. 게다가 D950 제품 이후로는 130W입니다. 현재로 따지면 코어 2 익스트림 제품의 전력소모량인데 말입니다. (여담이지만 D915~D945 제품은 현재의 코어 2 쿼드 전력소모량입니다. D800 계열은 130W.) 딱 잘라서 말하자면 비추천.
메인보드에서 지원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면 어쩔 수 없지만... 여담이지만 현재는 단종되어 구하기 힘든 펜티엄 익스트림 D965 제품의 경우 무려 3.73GHz 속도에 HT 기술이 붙은 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 말은 CPU가 4개인 것처럼 작동한다는 것입니다. 이 기술은 후에 코어 i7에 다시 쓰이게 되죠.) 게다가 시스템 버스는 1,066MHz. (다른 제품은 800MHz.) 참고로 프레슬러 계열의 경우 9X5 제품의 경우 VT 기술이 빠져 있다고 합니다. 사실 일반적인 경우 없어도 무난합니다. 물론 익스트림 제품인 D955, D965 제품은 제외.

펜티엄 D 스피스필드 8XX 계열 (소켓 775)
펜티엄 D 스미스필드 805 - 듀얼 코어, 32/64-BIT, 2.66GHz, 800MHz FSB, L2 1MB * 2, 90nm, 95W
펜티엄 D 스미스필드 820 - 듀얼 코어, 32/64-BIT, 2.66GHz, 800MHz FSB, L2 1MB * 2, 90nm, 95W
펜티엄 D 스미스필드 830 - 듀얼 코어, 32/64-BIT, 2.66GHz, 800MHz FSB, L2 1MB * 2, 90nm, 130W
펜티엄 D 스미스필드 840 - 듀얼 코어, 32/64-BIT, 2.66GHz, 800MHz FSB, L2 1MB * 2, 90nm, 130W

펜티엄 D 프레슬러 9XX 계열 (소켓 775)
펜티엄 D 프레슬러 915/920 - 듀얼 코어, 32/64-BIT, 2.80GHz, 800MHz FSB, L2 2MB * 2, 65nm, 95W
펜티엄 D 프레슬러 925/930 - 듀얼 코어, 32/64-BIT, 3.00GHz, 800MHz FSB, L2 2MB * 2, 65nm, 95W
펜티엄 D 프레슬러 935 - 듀얼 코어, 32/64-BIT, 3.20GHz, 800MHz FSB, L2 2MB * 2, 65nm, 95W
펜티엄 D 프레슬러 940 - 듀얼 코어, 32/64-BIT, 3.20GHz, 800MHz FSB, L2 2MB * 2, 65nm, 130W
펜티엄 D 프레슬러 945 - 듀얼 코어, 32/64-BIT, 3.40GHz, 800MHz FSB, L2 2MB * 2, 65nm, 95W
펜티엄 D 프레슬러 950 - 듀얼 코어, 32/64-BIT, 3.40GHz, 800MHz FSB, L2 2MB * 2, 65nm, 130W
펜티엄 D 프레슬러 960 - 듀얼 코어, 32/64-BIT, 3.60GHz, 800MHz FSB, L2 2MB * 2, 65nm, 95W
(펜티엄 D 프레슬러 960의 경우 D0 스테핑의 최대 소비 전력이 130W라고 합니다.)

펜티엄 XE 계열 - 듀얼 코어 (소켓 775)
펜티엄 XE 스미스필드 840 - 듀얼 코어, 32/64-BIT, 3.20GHz, 800MHz FSB, L2 1MB * 2, 90nm, 130W, 하이퍼스레딩, 배수제한 해제
펜티엄 XE 프레슬러 955 - 듀얼 코어, 32/64-BIT, 3.46GHz, 1,066MHz FSB, L2 2MB * 2, 65nm, 130W, 하이퍼스레딩, 배수제한 해제
펜티엄 XE 프레슬러 965 - 듀얼 코어, 32/64-BIT, 3.73GHz, 1,066MHz FSB, L2 2MB * 2, 65nm, 130W, 하이퍼스레딩, 배수제한 해제

[인텔 펜티엄 콘로/울프데일]

-E2XX0
본래 코어 2 듀오 제품이 되었어야 했지만 보급형 제품입니다. 펜티엄 D와 다른 점은 완벽한 듀얼 코어라는 점. 하지만 L2 캐시의 용량이 펜티엄 D에 비해 낮다는 게 문제. 뭐, 아키텍쳐 자체가 달라서 펜티엄 D보다 월등한 성능을 자랑한다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돈이 좀 없다 싶은 유저들이 많이 지르는 제품인 듯. 제품번호는 E2XX0. 오버클럭 용으로 많이 쓰이긴 하는데 필자는 오버클럭이 뭔지는 아나 하는 방법도 모르는 데다 어느 정도의 위험부담을 감수해야 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물론 초보자의 경우. (말은 안 했지만 본 블로그의 관련 글은 오버클럭과 관련된 사항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차라리 돈을 좀 더 모아서 E7000 계열의 CPU를 사던가, 아니면 AMD 제품을 구매하던가 뭐 그러는 게 나을 듯. E5000 계열까지 출시되어서 메리트가 즐. 여담이지만 펜티엄 콘로의 L2 캐시는 1MB.

-E5X00
제품 번호는 E5X00. 45nm 공정으로 만들어졌다는 것 외에는 E4000 계열과 유사. 메인보드에서 45nm 공정의 프로세서를 지원한다는 얘기가 없으면 시스템 버스를 충족해도 사용 불가능. 역시나 오버클럭 용도로 많이 쓰인다고 하는데 제 입장에서는 그리 이해가 되지 않네요.

-E6X00
보급형 모델에 가상화 기술을 추가한 제품. (윈도우 7 기능 중 가상화 기술을 필요로 하는 것이 있고, AMD의 정책과는 달리 인텔의 경우 상위 제품에만 가상화 기술이 있기 때문. AMD의 경우 셈프론 계열을 제외한 모든 제품에 가상화 기술이 있다고 합니다.) 코어 2 듀오 계열 중 E6300과 혼동할 수 있으므로 주의.

펜티엄 콘로 E2XX0 계열 (소켓 775)
펜티엄 콘로 E2140 - 듀얼 코어, 32/64-BIT, 1.60GHz, 800MHz FSB, L2 1MB, 65nm, 65W
펜티엄 콘로 E2160 - 듀얼 코어, 32/64-BIT, 1.80GHz, 800MHz FSB, L2 1MB, 65nm, 65W
펜티엄 콘로 E2180 - 듀얼 코어, 32/64-BIT, 2.00GHz, 800MHz FSB, L2 1MB, 65nm, 65W
펜티엄 콘로 E2200 - 듀얼 코어, 32/64-BIT, 2.20GHz, 800MHz FSB, L2 1MB, 65nm, 65W
펜티엄 콘로 E2220 - 듀얼 코어, 32/64-BIT, 2.40GHz, 800MHz FSB, L2 1MB, 65nm, 65W

펜티엄 울프데일 E5X00 계열 (소켓 775)
펜티엄 울프데일 E5200 - 듀얼 코어, 32/64-BIT, 2.50GHz, 800MHz FSB, L2 2MB, 45nm, 65W
펜티엄 울프데일 E5300 - 듀얼 코어, 32/64-BIT, 2.60GHz, 800MHz FSB, L2 2MB, 45nm, 65W
펜티엄 울프데일 E5400 - 듀얼 코어, 32/64-BIT, 2.70GHz, 800MHz FSB, L2 2MB, 45nm, 65W

펜티엄 울프데일 E6X00 계열 (소켓 775)
펜티엄 울프데일 E6300 - 듀얼 코어, 32/64-BIT, 2.80GHz, 1,066MHz FSB, L2 2MB, 45nm, 65W

[인텔 셀러론 콘로]

-L4X0
대체 왜 출시했는지가 의문인 제품. 고스톱 용도나 업무용이 아닌 이상 절대로 비추천. 그래도 셀러론 D 보다는 빠르다는 얘기가 있습니다. 차라리 돈 조금만 더 모아서 펜티엄 콘로를 지르는 게 나을 듯. 뭐, 그쪽 계열도 추천하지는 않지만 말입니다. 다른 건 몰라도 설계 전력은 꽤나 낮군요.

-E1X00
펜티엄 콘로의 보급형이며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보급형의 보급형의 보급형 제품. (E7X00>E2XX0>E1X00) 동영상 감상용으로는 써먹을 수 있을 듯 한데 게임용으로는 글쎄올시다. 여담이지만 L2 캐시가 늘 생각을 안 하네요. L2 캐시는 L4X0 제품과 마찬가지로 512KB입니다. 가격대비 성능은 즐! (E1400의 경우 AMD 브리즈번 5000+와 가격대가 비슷한데 이것보다는 차라리 AMD 쪽을 권장.)

셀러론 콘로-L 4X0 계열 (소켓 775)
셀러론 콘로 L-420 - 싱글 코어, 32/64-BIT, 1.60GHz, 800MHz FSB, L2 512KB, 65nm, 35W
셀러론 콘로 L-430 - 싱글 코어, 32/64-BIT, 1.80GHz, 800MHz FSB, L2 512KB, 65nm, 35W
셀러론 콘로 L-440 - 싱글 코어, 32/64-BIT, 2.00GHz, 800MHz FSB, L2 512KB, 65nm, 35W
셀러론 콘로 L-450 - 싱글 코어, 32/64-BIT, 2.20GHz, 800MHz FSB, L2 512KB, 65nm, 35W

셀러론 콘로 E1X00 계열 (소켓 775)
셀러론 콘로 E1200 - 듀얼 코어, 32/64-BIT, 1.60GHz, 800MHz FSB, L2 512KB, 65nm, 65W
셀러론 콘로 E1400 - 듀얼 코어, 32/64-BIT, 2.00GHz, 800MHz FSB, L2 512KB, 65nm, 65W
셀러론 콘로 E1500 - 듀얼 코어, 32/64-BIT, 2.20GHz, 800MHz FSB, L2 512KB, 65nm, 65W
셀러론 콘로 E1600 - 듀얼 코어, 32/64-BIT, 2.40GHz, 800MHz FSB, L2 512KB, 65nm, 65W

[인텔 코어 2 듀오]

-E4X00
E6X00이라는 상위 계열의 보급형으로 알고 있습니다. L2 캐시가 2MB고 시스템 버스가 800MHz. 역시 완벽한 듀얼 코어 제품인데... 여기서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종전 펜티엄 D 까지의 제품은 넷버스트 구조로 파이프라인이 3개짜리였지만 코어 2 듀오 이후로는 넷버스트 구조를 버리고 파이프라인을 1개 더 추가시켰습니다. 또한 데이터통로가 있기 때문에 L2 캐시 공유가 됩니다. (펜티엄 D의 경우 2MB * 2인데 이것은 L2 캐시가 공유를 안 한다는 의미. AMD 제품의 경우도 이런 식으로 적혀 있는데 자세한 건 좀 더 봐야 알 것 같군요.) 전력소모와 발열은 위에서 언급을 했으니 Pass! 현 시점에서는 비추천. 요즘 보급형 제품으로 새로운 게 떠서 메리트가 좀 떨어진 모양입니다. 특히, E5000 계열 때문에 더 그럴지도. 코드네임은 엘런데일입니다만 후에 콘로로 통일(?)되었죠.

-E6XX0
최초의 코어 2 듀오 제품. 여기서 최하위 제품인 E6300과 E6400의 경우는 초기에는 앨런데일이라고 불렸습니다. 이 계열의 CPU와 다른 점은 L2 캐시가 2MB라는 것인데요. (다른 것은 4MB.) 시스템 버스는 1,066MHz. 후에 이 두 제품은 타 제품과 같이 콘로로 불리게 되었으며 변종으로 E6320과 E6420이 출시되었습니다. 차이점은 L2 캐시가 4MB라는 것 뿐. 울프데일 출시 이후로 메리트가 없어졌습니다. (필자의 메인보드가 P965 칩셋이라 현재 쓰고 있는 것이 최고 사양입니다.) 여담이지만 E6X50 제품도 출시되었는데 그건 시스템 버스가 1,333MHz 제품입니다. 콘로 시리즈의 마지막 CPU. 메인보드가 이 제품까지만을 지원한다면 괜찮지만... 그 이외에는...

-E7X00
이것도 보급형 제품. 코드명은 울프데일. 기존의 제품과는 달리 L2 캐시가 3MB, 시스템 버스가 1,066MHz입니다. 제조공정은 45nm. (시스템 버스가 맞더라도 45nm 공정의 CPU를 지원한다는 얘기가 없으면 사용할 수 없습니다.) 가격대비 성능이 좋은 걸로 알려져 있다는데... 개인적으로 보급형 제품은 거들떠보지도 않기 때문에 자세한 건 잘 모르겠습니다. 역시 오버클럭 용도로도 쓰입니다. (펜티엄 콘로 얘기 할 때 언급했습니다.) 성능은 E6750 제품과 비슷한 수준. (E6850과 비교했을 때 어떨지 의문이네요. 시스템 버스와 L2 캐시의 용량, 동작속도를 생각해 보십시오.) 결론은 돈이 쪼달린다면 추천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차라리 E8000 계열의 제품 구입 권장. 가상화 기술 없음.

-E8X00
최초의 45nm 공정의 듀얼 코어 제품입니다. 시스템 버스는 E6X50 제품과 동일하나 L2 캐시는 6MB입니다. 발열과 전력소모를 더 줄였다고는 하는데 전력소모량은 똑같이 65W. 돈이 많다면 추천하는 제품입니다. 요즘 환율 장난 아니더군요. (참고로 메인보드 중에서 1,333MHz FSB를 지원한다고는 되어 있으나 45nm 공정의 프로세서를 지원한다는 말이 없는 제품 중에서도 비공식적으로 된다는 게 몇 개 있기는 합니다. 다만 안정성은 보장할 수 없습니다. 필자의 경우가 바로 그런 예라는... 이런...)

코어 2 듀오 앨런데일 E4X00 계열 (소켓 775)
코어 2 듀오 앨런데일 E4300 - 듀얼 코어, 32/64-BIT, 1.80GHz, 800MHz FSB, L2 2MB, 65nm, 65W
코어 2 듀오 앨런데일 E4400 - 듀얼 코어, 32/64-BIT, 2.00GHz, 800MHz FSB, L2 2MB, 65nm, 65W
코어 2 듀오 앨런데일 E4500 - 듀얼 코어, 32/64-BIT, 2.20GHz, 800MHz FSB, L2 2MB, 65nm, 65W
코어 2 듀오 앨런데일 E4600 - 듀얼 코어, 32/64-BIT, 2.40GHz, 800MHz FSB, L2 2MB, 65nm, 65W
코어 2 듀오 앨런데일 E4700 - 듀얼 코어, 32/64-BIT, 2.60GHz, 800MHz FSB, L2 2MB, 65nm, 65W

코어 2 듀오 콘로 E6XX0 계열 (소켓 775)
코어 2 듀오 콘로 E6300 - 듀얼 코어, 32/64-BIT, 1.86GHz, 1,066MHz FSB, L2 2MB, 65nm, 65W
코어 2 듀오 콘로 E6320 - 듀얼 코어, 32/64-BIT, 1.86GHz, 1,066MHz FSB, L2 4MB, 65nm, 65W
코어 2 듀오 콘로 E6400 - 듀얼 코어, 32/64-BIT, 2.13GHz, 1,066MHz FSB, L2 2MB, 65nm, 65W
코어 2 듀오 콘로 E6420 - 듀얼 코어, 32/64-BIT, 2.13GHz, 1,066MHz FSB, L2 4MB, 65nm, 65W
코어 2 듀오 콘로 E6600 - 듀얼 코어, 32/64-BIT, 2.40GHz, 1,066MHz FSB, L2 4MB, 65nm, 65W
코어 2 듀오 콘로 E6700 - 듀얼 코어, 32/64-BIT, 2.66GHz, 1,066MHz FSB, L2 4MB, 65nm, 65W
코어 2 듀오 콘로 E6550 - 듀얼 코어, 32/64-BIT, 2.33GHz, 1,333MHz FSB, L2 4MB, 65nm, 65W
코어 2 듀오 콘로 E6750 - 듀얼 코어, 32/64-BIT, 2.66GHz, 1,333MHz FSB, L2 4MB, 65nm, 65W
코어 2 듀오 콘로 E6850 - 듀얼 코어, 32/64-BIT, 3.00GHz, 1,333MHz FSB, L2 4MB, 6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7X00 계열 (소켓 775)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7200 - 듀얼 코어, 32/64-BIT, 2.53GHz, 1,066MHz FSB, L2 3MB, 4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7300 - 듀얼 코어, 32/64-BIT, 2.66GHz, 1,066MHz FSB, L2 3MB, 4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7400 - 듀얼 코어, 32/64-BIT, 2.80GHz, 1,066MHz FSB, L2 3MB, 4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7500 - 듀얼 코어, 32/64-BIT, 2.93GHz, 1,066MHz FSB, L2 3MB, 4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7600 - 듀얼 코어, 32/64-BIT, 3.06GHz, 1,066MHz FSB, L2 3MB, 4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8X00 계열 (소켓 775)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8200 - 듀얼 코어, 32/64-BIT, 2.66GHz, 1,333MHz FSB, L2 6MB, 4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8300 - 듀얼 코어, 32/64-BIT, 2.83GHz, 1,333MHz FSB, L2 6MB, 4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8400 - 듀얼 코어, 32/64-BIT, 3.00GHz, 1,333MHz FSB, L2 6MB, 4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8500 - 듀얼 코어, 32/64-BIT, 3.16GHz, 1,333MHz FSB, L2 6MB, 45nm, 65W
코어 2 듀오 울프데일 E8600 - 듀얼 코어, 32/64-BIT, 3.33GHz, 1,333MHz FSB, L2 6MB, 45nm, 65W

[인텔 코어 2 쿼드]

-Q6X00
최초의 쿼드 코어... 아니, 듀얼 코어 * 2 제품입니다. 왜 이렇게 말했냐 하면 펜티엄 D의 원리를 이용한 날림 쿼드 코어이기 때문입니다. 좀 더 알아보기 쉽게 설명해 드리자면... 코어 2 듀오를 2개 갖다붙인 제품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발열이나 전력소모 문제가 좀 있다고 하더군요. 이 계열로는 달랑 2개의 제품만 국내에 출시되었습니다. Q6600, Q6700. 인코딩이라던지 3D 작업 등등의 전문 분야로의 용도가 아닌 이상 절대적으로 비추천. 관련 작업이 아닌 이상 듀얼 코어보다도 성능이 약간 낮게 나온다고 합니다. 참고로 설계 전력은 95W. 펜티엄 D 프레슬러 제품과 일치. L2 캐시 4MB * 2. 여담이지만 이 제품을 사용한다면 반드시 미들타워 케이스를 사용할 것을 권장합니다. 슬림 케이스 사용하면 PC 고자 될 수도 있습니다. (물론 펜티엄 D 보다는 양호한 수준이겠지.) 이는 후속작인 요크필드에도 해당됩니다. 노트북에 사용이 된다면 최악의 사태를 낳게 될지도 모르겠군요.

-Q8X00
Q9X00 계열의 완벽한(?) 보급형 제품. L2 캐시가 2MB * 2라는 것이 문제. 15~20만원 정도 되면 추천.

-Q9X00
이것도 아래 제품과 위 제품으로 분류하겠습니다. 십의 자리 숫자가 5가 아닌 제품은 L2 캐시가 3MB * 2입니다. 굳이 추천을 한다면야... Q9X50 제품을 추천하겠는데... 위에서도 말했지만 개인적으로 쿼드 코어 제품은 별로 추천하고 싶지가 않군요. (이유는 날림 쿼드 코어라서.) 제조 공정의 세밀화로 관련 문제를 좀 더 줄였다고는 했는데 안 사용해 봐서 잘 모르겠네요. 전력의 경우는 별 차이 없을 듯 싶습니다. (이것도 95W.) 굳이 Q9X50 제품을 추천하는 이유는 L2 캐시가 6MB * 2라서 그나마 메리트가 좀 있어 보이기 때문이죠. 다만 가격이 오질나게 비쌉니다. 돈이 좀 쪼달린다 싶으면 차라리 듀얼 코어 제품을 추천해 드립니다. 참고로 코드명은 요크필드.

코어 2 쿼드 켄츠필드 Q6X00 계열 (소켓 775)
코어 2 쿼드 켄츠필드 Q6600 - 쿼드 코어, 32/64-BIT, 2.40GHz, 1,066MHz FSB, L2 4MB * 2, 65nm, 95W
코어 2 쿼드 켄츠필드 Q6700 - 쿼드 코어, 32/64-BIT, 2.66GHz, 1,066MHz FSB, L2 4MB * 2, 65nm, 95W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8X00 계열 (소켓 775)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8200 - 쿼드 코어, 32/64-BIT, 2.33GHz, 1,333MHz FSB, L2 2MB * 2, 45nm, 95W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8300 - 쿼드 코어, 32/64-BIT, 2.50GHz, 1,333MHz FSB, L2 2MB * 2, 45nm, 95W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8400 - 쿼드 코어, 32/64-BIT, 2.66GHz, 1,333MHz FSB, L2 2MB * 2, 45nm, 95W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9XX0 계열 (소켓 775)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9300 - 쿼드 코어, 32/64-BIT, 2.50GHz, 1,333MHz FSB, L2 3MB * 2, 45nm, 95W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9400 - 쿼드 코어, 32/64-BIT, 2.66GHz, 1,333MHz FSB, L2 3MB * 2, 45nm, 95W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9450 - 쿼드 코어, 32/64-BIT, 2.66GHz, 1,333MHz FSB, L2 6MB * 2, 45nm, 95W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9550 - 쿼드 코어, 32/64-BIT, 2.83GHz, 1,333MHz FSB, L2 6MB * 2, 45nm, 95W
코어 2 쿼드 요크필드 Q9650 - 쿼드 코어, 32/64-BIT, 3.00GHz, 1,333MHz FSB, L2 6MB * 2, 45nm, 95W

[인텔 코어 2 익스트림]

-X6800
코어 2 익스트림 듀얼 코어 제품입니다만... 제품이 달랑 하나 뿐이네요. 타 코어 2 듀오 제품과 다른 점은 배수락이 풀려 있다는 것입니다. 오버클럭과 관련되어 있는 것 같은데 가격은 오질나게 비쌉니다. 배수락 하나 때문에 무려 100만원 넘게 나가더군요. 그것 외에는 별 다른 차이는 없습니다. (현재 시점에서는 단종.)

-QX6700, QX6850
코어 2 익스트림 쿼드 코어 제품입니다. 특징은 쿼드 코어인 것과 QX6850 제품의 시스템 버스가 1,333MHz, L2 캐시가 4MB * 2인 것을 제외하면 위의 제품과 같습니다. 다만 설계 전력이 무려 130W나 되네요... 게다가 현재는 단종.

-QX9650, QX9770
45nm 제품인데 설계전력은 차이 없습니다. L2 캐시를 빼면 QX6850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군요. QX9770의 경우는 현존하는 최고 사양의 CPU라 그런진 몰라도 무려 150만원... (150만원이면 본체가 적게는 2대에서 많게는 5대 정도이다.) 게다가 시스템 버스는 무려 1,600MHz. 여담이지만 QX9775라는 제품도 있는데 QX9770과의 차이점은 소켓. (소켓 771, 워크스테이션 전용.) 가격은 잘 모르겠는데 설계 전력이 무려 150W 라는군요.

코어 2 익스트림 콘로 X6X00 계열 (소켓 775)
코어 2 EX 콘로 X6800 - 듀얼 코어, 32/64-BIT, 2.93GHz, 1,066MHz FSB, L2 4MB, 65nm, 75W, 배수제한 해제

코어 2 익스트림 켄츠필드 QX6XX0 계열 (소켓 775)
코어 2 EX 켄츠필드 QX6700 - 쿼드 코어, 32/64-BIT, 2.66GHz, 1,066MHz FSB, L2 4MB * 2, 65nm, 130W, 배수제한 해제
코어 2 EX 켄츠필드 QX6800 - 쿼드 코어, 32/64-BIT, 2.93GHz, 1,066MHz FSB, L2 4MB * 2, 65nm, 130W, 배수제한 해제
코어 2 EX 켄츠필드 QX6850 - 쿼드 코어, 32/64-BIT, 3.00GHz, 1,333MHz FSB, L2 4MB * 2, 65nm, 130W, 배수제한 해제

코어 2 익스트림 요크필드 QX9XX0 계열 (소켓 775)
코어 2 EX 요크필드 QX9650 - 쿼드 코어, 32/64-BIT, 3.00GHz, 1,333MHz FSB, L2 6MB * 2, 45nm, 130W, 배수제한 해제
코어 2 EX 요크필드 QX9770 - 쿼드 코어, 32/64-BIT, 3.20GHz, 1,600MHz FSB, L2 6MB * 2, 45nm, 130W, 배수제한 해제

[인텔 코어 i5, i7]


AMD와 같은 네이티브 쿼드 코어인가 뭔가... 제조공정이 45nm인데 소비전력이 130W라... L2 Cache 256MB * 2, L3 Cache 8MB 입니다. 기존 메인보드에서는 업그레이드 불가. 소켓 1366 제품이기 때문입니다. 보급형의 경우 P57 칩셋 이하인가 해서 그건 소켓 1156 제품으로 내놓는다고 하는데 위의 제품은 장착 불가능할 듯 하군요. 현재 P55 칩셋 제품 발매 중.

단, 코어 i5의 경우 하이퍼스레딩 미지원. WinXP를 계속 쓸 계획이라면 이쪽이 더 나을지도.

인텔 코어 i5 린필드 7X0 계열 (소켓 1156)
코어 i7 린필드 750 - 쿼드 코어, 32/64-BIT, 2.66GHz, 1,600(?)MHz FSB, L2 256KB * 4, L3 8MB, 45nm, 95W

인텔 코어 i7 린필드 8X0 계열 (소켓 1156)
코어 i7 린필드 860 - 쿼드 코어, 32/64-BIT, 2.80GHz, 1,600(?)MHz FSB, L2 256KB * 4, L3 8MB, 45nm, 95W, 하이퍼스레딩
코어 i7 린필드 870 - 쿼드 코어, 32/64-BIT, 2.93GHz, 1,600(?)MHz FSB, L2 256KB * 4, L3 8MB, 45nm, 95W, 하이퍼스레딩

인텔 코어 i7 블룸필드 9XX 계열 (소켓 1366)
코어 i7 블룸필드 920 - 쿼드 코어, 32/64-BIT, 2.66GHz, 1,600MHz FSB, L2 256KB * 4, L3 8MB, 45nm, 130W, 하이퍼스레딩
코어 i7 블룸필드 940 - 쿼드 코어, 32/64-BIT, 2.93GHz, 1,600MHz FSB, L2 256KB * 4, L3 8MB, 45nm, 130W, 하이퍼스레딩
코어 i7 블룸필드 940 - 쿼드 코어, 32/64-BIT, 3.06GHz, 1,600MHz FSB, L2 256KB * 4, L3 8MB, 45nm, 130W, 하이퍼스레딩
코어 i7 블룸필드 965 XE - 쿼드 코어, 32/64-BIT, 3.20GHz, 1,600MHz FSB, L2 256KB * 4, 45nm, L3 8MB, 130W, 하이퍼스레딩, 배수제한 해제
코어 i7 블룸필드 975 XE - 쿼드 코어, 32/64-BIT, 3.33GHz, 1,600MHz FSB, L2 256KB * 4, 45nm, L3 8MB, 130W, 하이퍼스레딩, 배수제한 해제

※ WinXP의 경우는 4코어까지 정상 지원한다고 함.
WinVista는 8코어까지 지원이지만 절대 추천하고 싶지 않은 방향.

AMD

[AMD 애슬론 64]

펜티엄 4와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L2 캐시는 512KB. 싱글 코어 제품이라서 현 시점에서는 업그레이드가 아닌 이상 비추천. 과거에는 인기를 끌었다고 하는군요. 펜티엄 4 프레스캇 계열 출시 당시 그게 발열 문제가 심각했기 때문.

애슬론 64 올리언즈 계열 (소켓 AM2)
애슬론 64 올리언즈 3000+ - 싱글 코어, 32/64-BIT, 1.80GHz, 2,000MHz HT, L2 512KB, 90nm, 62W
애슬론 64 올리언즈 3200+ - 싱글 코어, 32/64-BIT, 2.00GHz, 2,000MHz HT, L2 512KB, 90nm, 62W
애슬론 64 올리언즈 3500+ - 싱글 코어, 32/64-BIT, 2.20GHz, 2,000MHz HT, L2 512KB, 90nm, 62W
애슬론 64 올리언즈 3800+ - 싱글 코어, 32/64-BIT, 2.40GHz, 2,000MHz HT, L2 512KB, 90nm, 62W
애슬론 64 올리언즈 4000+ - 싱글 코어, 32/64-BIT, 2.60GHz, 2,000MHz HT, L2 512KB, 90nm, 62W
애슬론 64 올리언즈 LE-1600 - 싱글 코어, 32/64-BIT, 2.20GHz, 2,000MHz HT, L2 512KB, 90nm, 45W
애슬론 64 올리언즈 LE-1620 - 싱글 코어, 32/64-BIT, 2.40GHz, 2,000MHz HT, L2 512KB, 90nm, 45W

애슬론 64 리마 계열 (소켓 AM2)
애슬론 64 리마 3500+ - 싱글 코어, 32/64-BIT, 2.20GHz, 2,000MHz HT, L2 512KB, 65nm, 45W
애슬론 64 리마 3800+ - 싱글 코어, 32/64-BIT, 2.40GHz, 2,000MHz HT, L2 512KB, 65nm, 45W
애슬론 64 리마 LE-1640 - 싱글 코어, 32/64-BIT, 2.70GHz, 2,000MHz HT, L2 512KB, 65nm, 45W
애슬론 64 리마 LE-1660 - 싱글 코어, 32/64-BIT, 2.80GHz, 2,000MHz HT, L2 512KB, 65nm, 45W

[AMD 셈프론]

인텔 셀러론 계열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겠습니다. 보급형 제품. AMD 셈프론 스파르타의 경우 인텔 셀러론 콘로-L 제품과 비슷한 경우로 보면 되겠군요. 역시 현 시점에서는 비추천.

최근에 AM3 소켓 전용 셈프론 제품도 출시되었는데... 이 제품이... 특정 메인보드에서 바이오스 설정으로 듀얼 코얼 사용 가능하다고 합니다. 물론 안정성은 보장 못 함. 한 개의 비활성화 되어 있는 코어가 원래 그렇다시피.

셈프론 마닐라 계열 (소켓 AM2)
셈프론 마닐라 2800+ - 싱글 코어, 32/64-BIT, 1.60GHz, 1,600MHz HT, L2 128KB, 90nm, 62W
셈프론 마닐라 3000+ - 싱글 코어, 32/64-BIT, 1.60GHz, 1,600MHz HT, L2 256KB, 90nm, 62W
셈프론 마닐라 3200+ - 싱글 코어, 32/64-BIT, 1.80GHz, 1,600MHz HT, L2 128KB, 90nm, 62W
셈프론 마닐라 3400+ - 싱글 코어, 32/64-BIT, 1.80GHz, 1,600MHz HT, L2 256KB, 90nm, 62W
셈프론 마닐라 3500+ - 싱글 코어, 32/64-BIT, 2.00GHz, 1,600MHz HT, L2 128KB, 90nm, 62W
셈프론 마닐라 3600+ - 싱글 코어, 32/64-BIT, 2.00GHz, 1,600MHz HT, L2 256KB, 90nm, 62W
셈프론 마닐라 3800+ - 싱글 코어, 32/64-BIT, 2.20GHz, 1,600MHz HT, L2 256KB, 90nm, 62W

셈프론 스파르타 계열 (소켓 AM2)
셈프론 스파르타 LE-1100 - 싱글 코어, 32/64-BIT, 1.90GHz, 1,600MHz HT, L2 512KB, 65nm, 45W
셈프론 스파르타 LE-1150 - 싱글 코어, 32/64-BIT, 2.00GHz, 1,600MHz HT, L2 512KB, 65nm, 45W
셈프론 스파르타 LE-1200 - 싱글 코어, 32/64-BIT, 2.10GHz, 1,600MHz HT, L2 512KB, 65nm, 45W
셈프론 스파르타 LE-1250 - 싱글 코어, 32/64-BIT, 2.20GHz, 1,600MHz HT, L2 512KB, 65nm, 45W
셈프론 스파르타 LE-1300 - 싱글 코어, 32/64-BIT, 2.30GHz, 1,600MHz HT, L2 512KB, 65nm, 45W

셈프론 사르가스 계열 (소켓 AM3)
셈프론 스파르타 140 - 싱글 코어, 32/64-BIT, 2.70GHz, 1,600MHz HT, L2 1MB, 45nm, 45W

[AMD 애슬론 64-X2]

-윈저

90nm 공정에 시스템 버스는 2,000MHz. (AMD 제품의 경우는 하이퍼 트렌스포트라는 것이 있는데 AM2 소켓 제품의 경우는 HT 2.0으로, 원래 시스템 버스의 2배로 작동합니다.) 설계전력은 코어 2 쿼드 급에 6000+ 이후로는 코어 2 익스트림 급입니다. 그만큼 파워 서플라이를 좀 더 높을 걸 구매해야 할지도 모르죠. (메인보드 역시 해당 전력을 지원하는 제품을 사용해야 하는 걸로 압니다.) L2 캐시가 공유를 안 해서 그런 건지는 몰라도 날림 듀얼 코어 제품은 아닌 듯.

-브리즈번
65nm 공정에 설계 전력은 65W. (일부 제품은 45W.) 인텔 코어 2 듀오 제품과 비슷한 경우로 치면 될 듯 하다만 성능은 그 이하로 알려져 있습니다. 가격이 싸다는 게 장점이긴 합니다만... 문제는 윈저 다음으로 출시된 제품이 그것보다 높은 성능이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죠. L2 캐시도 전 제품 512KB * 2입니다. 뭐, 가격대비 성능을 생각할 경우 추천 제품. 시스템 버스는 윈저와 동일한 2,000MHz.

-쿠마
소켓 AM2+ 듀얼 코어 제품. 페넘 계열과 비슷하게 만들어졌다고는 하는데... L3 캐시가 존재하고 FSB가 HT 3.0으로 기존 제품보다 높게 작동한다고 합니다. 다만 AM2 메인보드에 사용할 경우 성능 하략이 있다고 합니다.

애슬론 64-X2 윈저 계열 (소켓 AM2)
애슬론 64-X2 윈저 3600+ EE - 듀얼 코어, 32/64-BIT, 2.00GHz, 2,000MHz HT, L2 256KB * 2, 90nm, 65W
애슬론 64-X2 윈저 3800+ - 듀얼 코어, 32/64-BIT, 2.00GHz, 2,000MHz HT, L2 512KB * 2, 90nm, 89W
애슬론 64-X2 윈저 3800+ EE - 듀얼 코어, 32/64-BIT, 2,00GHz, 2,000MHz HT, L2 512KB *2, 90nm, 65W
애슬론 64-X2 윈저 4200+ - 듀얼 코어, 32/64-BIT, 2.20GHz, 2,000MHz HT, L2 512KB * 2, 90nm, 89W
애슬론 64-X2 윈저 4200+ EE - 듀얼 코어, 32/64-BIT, 2.20GHz, 2,000MHz HT, L2 512KB * 2, 90nm, 65W
애슬론 64-X2 윈저 4600+ - 듀얼 코어, 32/64-BIT, 2.40GHz, 2,000MHz HT, L2 512KB * 2, 90nm, 89W
애슬론 64-X2 윈저 4600+ EE - 듀얼 코어, 32/64-BIT, 2.40GHz, 2,000MHz HT, L2 512KB * 2, 90nm, 65W
애슬론 64-X2 윈저 4800+ - 듀얼 코어, 32/64-BIT, 2.40GHz, 2,000MHz HT, L2 1MB * 2, 90nm, 89W
애슬론 64-X2 윈저 5000+ - 듀얼 코어, 32/64-BIT, 2.60GHz, 2,000MHz HT, L2 512KB * 2, 90nm, 89W
애슬론 64-X2 윈저 5200+ - 듀얼 코어, 32/64-BIT, 2.60GHz, 2,000MHz HT, L2 1MB * 2, 90nm, 89W
애슬론 64-X2 윈저 5200+ EE - 듀얼 코어, 32/64-BIT, 2.60GHz, 2,000MHz HT, L2 1MB * 2, 90nm, 65W
애슬론 64-X2 윈저 5400+ - 듀얼 코어, 32/64-BIT, 2.80GHz, 2,000MHz HT, L2 512KB * 2, 90nm, 89W
애슬론 64-X2 윈저 5600+ - 듀얼 코어, 32/64-BIT, 2.80GHz, 2,000MHz HT, L2 1MB * 2, 90nm, 89W
애슬론 64-X2 윈저 6000+ - 듀얼 코어, 32/64-BIT, 3.00GHz, 2,000MHz HT, L2 1MB * 2, 90nm, 89W
애슬론 64-X2 윈저 6400+ - 듀얼 코어, 32/64-BIT, 3.00GHz, 2,000MHz HT, L2 1MB * 2, 90nm, 125W
애슬론 64-X2 윈저 6400+ BE - 듀얼 코어, 32/64-BIT, 3.20GHz, 2,000MHz HT, L2 1MB * 2, 90nm, 125W, 배수제한 해제

애슬론 64-X2 브리즈번 계열 (소켓 AM2)
애슬론 64-X2 브리즈번 3600+ - 듀얼 코어, 32/64-BIT, 1.9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4000+ - 듀얼 코어, 32/64-BIT, 2.1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4050e - 듀얼 코어, 32/64-BIT, 2.1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4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4400+ - 듀얼 코어, 32/64-BIT, 2.3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4450e - 듀얼 코어, 32/64-BIT, 2.3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4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4600+ - 듀얼 코어, 32/64-BIT, 2.4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4800+ - 듀얼 코어, 32/64-BIT, 2.5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4850e - 듀얼 코어, 32/64-BIT, 2.5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4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5000+ - 듀얼 코어, 32/64-BIT, 2.6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5200+ - 듀얼 코어, 32/64-BIT, 2.7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5400+ - 듀얼 코어, 32/64-BIT, 2.8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5800+ - 듀얼 코어, 32/64-BIT, 3.0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89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6000+ - 듀얼 코어, 32/64-BIT, 3.1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89W
애슬론-X2 브리즈번 BE-2300 - 듀얼 코어, 32/64-BIT, 1.9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X2 브리즈번 BE-2350 - 듀얼 코어, 32/64-BIT, 2.1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X2 브리즈번 BE-2400 - 듀얼 코어, 32/64-BIT, 2.3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애슬론 64-X2 브리즈번 5000+ BE - 듀얼 코어, 32/64-BIT, 2.60GHz, 2,000MHz HT, L2 512KB * 2, 65nm, 65W, 배수제한 해제

애슬론-X2 쿠마 계열 (소켓 AM2+)
애슬론-X2 쿠마 7750 - 듀얼 코어, 32/64-BIT, 2.70GHz, 3,600MHz HT, L2 512KB * 2,L3 2MB,  65nm, 95W
애슬론-X2 쿠마 7750 BE - 듀얼 코어, 32/64-BIT, 2.70GHz, 3,600MHz HT, L2 512KB * 2,L3 2MB,  65nm, 95W, 배수제한 해제
애슬론-X2 쿠마 7850 BE - 듀얼 코어, 32/64-BIT, 2.80GHz, 3,600MHz HT, L2 512KB * 2,L3 2MB,  65nm, 95W, 배수제한 해제

[AMD 애슬론Ⅱ]


애슬론- X2
AMD 애슬론 64-X2 계열의 후속작. AM3 소켓 제품인데, 페넘Ⅱ 계열에서 L3 Cache를 제외시킨 대신에 L2 Cache가 단일 코어 당 1MB로 증가한 제품입니다. (정확히 말하자면 회귀. 애슬론 64-X2 윈저 상위 계열 L2 Cache가 1MB * 2였으니...)

애슬론- X4
AMD 페넘에서 L3 Cache를 비활성화 시킨 제품. (다른 것보다도 코드명이프로토스 같음.) 그래서인지는 몰라도 현 시점('09.08.31)에서 최저 가격이 무려 13만원 중반부더군요. 일부에서는 L3Cache를 활성화 시킬 수도 있다고 하지만 역시나 안정성은 보장 못함. 그나저나 이젠 어쩔꺼니, Intel 직원들아?

애슬론Ⅱ-X2 레고르 계열 (소켓 AM3)
애슬론Ⅱ-X2 레고르 240 - 듀얼 코어, 32/64-BIT, 2.80GHz, 4,000MHz HT, L2 1MB * 2, 45nm, 65W
애슬론Ⅱ-X2 레고르 245 - 듀얼 코어, 32/64-BIT, 2.90GHz, 4,000MHz HT, L2 1MB * 2, 45nm, 65W
애슬론Ⅱ-X2 레고르 250 - 듀얼 코어, 32/64-BIT, 3.00GHz, 4,000MHz HT, L2 1MB * 2, 45nm, 65W

애슬론Ⅱ-X4 프로푸스 계열 (소켓 AM3)
애슬론Ⅱ-X4 프로푸스 620 - 쿼드 코어, 32/64-BIT, 2.60GHz, 4,000MHz HT, L2 512KB * 4, 45nm, 95W
애슬론Ⅱ-X4 프로푸스 630 - 쿼드 코어, 32/64-BIT, 2.80GHz, 4,000MHz HT, L2 512KB * 4, 45nm, 95W

[AMD 페넘]

페넘-X3 톨리만

AMD에만 있고 인텔에는 없는 특이한 멀티 코어 제품입니다. 페넘 계열 내로 따지면 보급형으로 볼 수도 있겠군요. 메리트가 좀 있어 보이는 것이 무려 L3 캐시가 있는 데다가 그것이 공유를 한다는 것입니다. L2 캐시는 공유 안 하는 듯. L2 캐시 용량은 512 * 3KB. 시스템 버스는 무려 3,600MHz. (AM2+ 소켓 제품 이후로는 HT 3.0이라고 합니다.) 추천하기도 좀 그렇고 비추천 제품으로 찍기도 좀 그런 애매모호한 제품.

페넘-X4 아제나
9500 제품과 9600 제품은 B2 스테핑 뭐시기 해서 리버젼되기 전에 뭔 버그 때문에 쫄딱 망한 제품이라고 합니다. 인텔 쿼드 코어와는 달리 네이티브 쿼드 코어 제품인데 L3 캐시가 존재하고 또한 그 4개의 L3 캐시가 모두 공유를 한다고 합니다. 상위 계열의 경우 블랙 에디션으로 불리는 것이 있는데 배수락이 풀려 있는 제품입니다. 다만 설계 전력이 9750, 9850BE의 경우 코어 2 익스트림 급이고 9950BE의 경우 그것을 능가하는 수준이더군요. 무려 140W. 나머지는 코어 2 쿼드 급. 어찌됐든 쿼드 코어 제품은 인텔이든 AMD든 비추천. (전문 분야가 아닌 이상.)

페넘-X3 톨리만 계열 (소켓 AM2+)
페넘-X3 톨리만 8400 - 트리플 코어, 32/64-BIT, 2.10GHz, 3,600MHz HT, L2 512KB * 3, L3 2MB, 65nm, 95W
페넘-X3 톨리만 8450 - 트리플 코어, 32/64-BIT, 2.10GHz, 3,600MHz HT, L2 512KB * 3, L3 2MB, 65nm, 95W
페넘-X3 톨리만 8600 - 트리플 코어, 32/64-BIT, 2.10GHz, 3,600MHz HT, L2 512KB * 3, L3 2MB, 65nm, 95W
페넘-X3 톨리만 8650 - 트리플 코어, 32/64-BIT, 2.10GHz, 3,600MHz HT, L2 512KB * 3, L3 2MB, 65nm, 95W
페넘-X3 톨리만 8750 - 트리플 코어, 32/64-BIT, 2.10GHz, 3,600MHz HT, L2 512KB * 3, L3 2MB, 65nm, 95W
페넘-X3 톨리만 8750 BE - 트리플 코어, 32/64-BIT, 2.10GHz, 3,600MHz HT, L2 512KB * 3, L3 2MB, 65nm, 95W, 배수제한 해제

-페넘-X4 아제나 계열 (소켓 AM2+)
페넘-X4 아제나 9100e - 쿼드 코어, 32/64-BIT, 1.8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65W
페넘-X4 아제나 9150e - 쿼드 코어, 32/64-BIT, 1.8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65W
페넘-X4 아제나 9350e - 쿼드 코어, 32/64-BIT, 2.0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65W
페넘-X4 아제나 9500 - 쿼드 코어, 32/64-BIT, 2.2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95W
페넘-X4 아제나 9550 - 쿼드 코어, 32/64-BIT, 2.2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95W
페넘-X4 아제나 9600 - 쿼드 코어, 32/64-BIT, 2.3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95W
페넘-X4 아제나 9650 - 쿼드 코어, 32/64-BIT, 2.3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95W
페넘-X4 아제나 9750 - 쿼드 코어, 32/64-BIT, 2.40GHz, 4,0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125W
페넘-X4 아제나 9600 BE - 쿼드 코어, 32/64-BIT, 2.3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95W, 배수제한 해제
페넘-X4 아제나 9850 BE - 쿼드 코어, 32/64-BIT, 2.50GHz, 4,0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125W, 배수제한 해제
페넘-X4 아제나 9950 BE - 쿼드 코어, 32/64-BIT, 2.60GHz, 4,000MHz HT, L2 512KB * 4, L3 2MB, 65nm, 140W, 배수제한 해제

[AMD 페넘Ⅱ]

소켓 AM2+ 제품과 소켓 AM3 전용 제품으로 출시되었습니다. 45nm 공정의 프로세서입니다. 소켓 AM3 제품의 경우 기존 AM2+ 메인보드를 사용 중일 경우 바이오스 업데이트를 하면 사용할 수는 있으나 약간의 성능 하략이 있다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트리플 코어와 쿼드 코어 두 가지 종류로 출시되었습니다. 다만 소켓 AM2+ 제품의 경우 AM3 메인보드에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합니다. 이는 페넘 계열 분 아니라 타 계열의 경우도 해당됩니다. (어디선가는 페넘Ⅱ-X3 헤카 제품을 특정 메인보드에서 설정만 살짝 바꿔 주면 쿼드 코어로 쓸 수 있으며 이 경우 성능 향상이 있다고는 합니다만... 믿거나 말거나...)

얼마 전에 출시된 페넘Ⅱ -X2 제품은 애슬론-X2 쿠마 계열의 후속작 정도 됩니다. (L3 Cache 탑재. 차이점이라면 AM3 소켓 정도랄까...?) 역시 특정 메인보드에서 뭘 설정해 주면 쿼드 코어로 써먹을 수 있다고 합니다.

페넘Ⅱ-X2 칼리스토 계열 (소켓 AM3)
페넘Ⅱ-X2 칼리스토 545 - 듀얼 코어, 32/64-BIT, 3.00GHz, 4,000MHz HT, L2 512KB * 2, L3 6MB, 45nm, 80W
페넘Ⅱ-X2 칼리스토 550 BE - 듀얼 코어, 32/64-BIT, 3.10GHz, 4,000MHz HT, L2 512KB * 2, L3 6MB, 45nm, 80W, 배수제한 해제

페넘Ⅱ-X3 헤카 계열 (소켓 AM3)
페넘Ⅱ-X3 헤카 705e - 트리플 코어, 32/64-BIT, 2.50GHz, 4,000MHz HT, L2 512KB * 3, L3 6MB, 45nm, 65W
페넘Ⅱ-X3 헤카 710 - 트리플 코어, 32/64-BIT, 2.60GHz, 4,000MHz HT, L2 512KB * 3, L3 6MB, 45nm, 95W
페넘Ⅱ-X3 헤카 720 BE - 트리플 코어, 32/64-BIT, 2.80GHz, 4,000MHz HT, L2 512KB * 3, L3 6MB, 45nm, 95W, 배수제한 해제

페넘Ⅱ-X4 데네브 계열 (소켓 AM2+)
페넘Ⅱ-X4 데네브 920 - 쿼드 코어, 32/64-BIT, 2.8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6MB, 45nm, 125W
페넘Ⅱ-X4 데네브 940 BE - 쿼드 코어, 32/64-BIT, 3.0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6MB, 45nm, 125W, 배수제한 해제

페넘Ⅱ-X4 데네브 계열 (소켓 AM3)
페넘Ⅱ-X4 데네브 810 - 쿼드 코어, 32/64-BIT, 2.60GHz, 4,000MHz HT, L2 512KB * 4, L3 4MB, 45nm, 125W
페넘Ⅱ-X4 데네브 905e - 쿼드 코어, 32/64-BIT, 2.50GHz, 3,600MHz HT, L2 512KB * 4, L3 6MB, 45nm, 65W
페넘Ⅱ-X4 데네브 925 - 쿼드 코어, 32/64-BIT, 2.80GHz, 4,000MHz HT, L2 512KB * 4, L3 6MB, 45nm, 95W
페넘Ⅱ-X4 데네브 945 - 쿼드 코어, 32/64-BIT, 3.00GHz, 4,000MHz HT, L2 512KB * 4, L3 6MB, 45nm, 95W
페넘Ⅱ-X4 데네브 955 BE - 쿼드 코어, 32/64-BIT, 3.20GHz, 4,000MHz HT, L2 512KB * 4, L3 6MB, 45nm, 125W, 배수제한 해제


가상화 기술


[Intel 계열]

펜티엄 4
프레스캇 662, 672

펜티엄 D
프레슬러 840 XE
프레슬러 920, 930, 940, 950, 960, 955 XE, 965 XE

펜티엄 듀얼코어
울프데일 E6300

코어 2 듀오
콘로 E6300, E6320, E6400, E6420, E6600, E6700, E6550, E6750, E6850
울프데일 E8200, E8300, E8400, E8500, E8600

코어 2 쿼드
켄츠필드 Q6600, Q6700
요크필드 Q9300, Q9400, Q9450, Q9550, Q9650

코어 2 익스트림
콘로 X6800
켄츠필드 QX6700, QX6800, QX6850
요크필드 QX9650, QX9770

코어 i5, i7
린필드 750, 860, 870
블룸필드 920, 940, 950, 965 XE, 975 XE

[AMD 계열]

소켓 AM2 이후로는 전 모델 지원
단, 셈프론 계열의 보급형 CPU는 미지원

◎ 일반 데스크탑 전용 제품만 썼으며 자료는 대부분은 다나와, 일부는 위키백과 기준입니다.
인텔 소켓 775 제품 중 펜티엄 4 프레스캇 2M, AMD 소켓 AM2 중 애슬론 64 이후로 다뤘습니다.


출처 : http://rain4s.egloos.com/4833299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33 샌디브릿지(Sandy Bridge), 인텔의 새로운 CPU 특징 5가지 JaeSoo 2011.01.17 4019
32 사용중 멈춤, 윈도설치 중 오류발생.⇒ 하드디스크 데이타 케이블 불량. / 케이블 교체 JaeSoo 2010.10.06 4650
31 WD20EARS 2테라 하드 사용자가 알아야 할 어드밴스드 포맷문제(ADVENCED FORMAT) JaeSoo 2010.08.24 5085
30 Tough 8010 vs Optio W90 JaeSoo 2010.05.25 3741
29 삼성 2010년 센스 R530 모델 비교법과, 구매팁 JaeSoo 2010.05.25 4540
28 키보드, 마우스, 모니터 고르는법 JaeSoo 2010.05.03 3519
27 LCD 간단 정리 (CCFL vs LED) JaeSoo 2010.04.15 4378
26 레이드에있어서의 Stripe size와 다시쓰기캐쉬적용의 비교 JaeSoo 2010.02.07 4732
25 메모리테스트 GoldMemory Pro V.6.92 JaeSoo 2009.12.30 5428
24 PCI, PCI-X, PCI-E의 차이점 JaeSoo 2009.12.22 4150
23 PCI-X (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Extended) JaeSoo 2009.12.22 3808
22 [미니벤치] SATA-I vs. SATA-II : 성능상의 이득은? JaeSoo 2009.12.22 3036
» 하드웨어, 한 번 살펴보자능~☆ - CPU JaeSoo 2009.10.09 3895
20 케이스용 철판 secc와 sgcc에 대해서... JaeSoo 2009.10.06 6809
19 AMD 애슬론 X2, 튜리온 X2, 튜리온 X2 울트라[그리핀] 차이점 JaeSoo 2009.09.11 3342
18 컴퓨터에서 비프음이 들려요 (컴퓨터 켤때 삑삑하는 소리) JaeSoo 2009.05.29 7063
17 파워 서플라이 관련 용어 JaeSoo 2009.02.11 3409
16 UMPC CPU사양 및 순위, 비교 JaeSoo 2009.01.23 4002
15 HDD (下) JaeSoo 2008.10.15 3871
14 HDD (上) JaeSoo 2008.10.15 3433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PageViews   Today : 183 Yesterday : 2394 Total : 21713841  /  Counter Status   Today : 161 Yesterday : 1232 Total : 1142303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