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인텔 vs. AMD, 쿼드-코어 CPU 시장의 새로운 경쟁구도 형성










[비교 테스트]
쿼드-코어 CPU, 그 자웅을 가리다!
[인텔 코어 2 쿼드 Q6600] vs. [AMD Phenom 9500]









작년 4/4분기, 인텔은 '코어 2 쿼드(Core2 Quad) QX6700'라는 쿼드-코어 CPU의 출시로써 본격적인 멀티-코어 프로세서의 세계가 열렸음을 만방에 알렸다. 하지만 그간 'Athlon 64 X2 시리즈'를 통해 듀얼-코어 CPU 시장에서 인텔의 매우 강력한 도전자로 그 맹위를 떨쳐왔던 AMD는 유감스럽게도 그러한 인텔의 발빠른 행보에 즉각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4X4 플랫폼' 등의 차선책을 제시함으로써, 본격적인 AMD製 쿼드-코어 CPU를 고대해온 많은 유저들을 오랜 동안 기다리게 만들었다.

하지만 드디어 지난 11월 19일, AMD는 '네이티브 쿼드-코어(Native Quad-Core)'를 표방한 K10 마이크로아키텍쳐의 '페넘(Phenom)' 시리즈 프로세서들을 출시하면서 새로운 멀티-코어 CPU 시장의 경쟁구도를 만들어가기 시작했다.












AMD 페넘 시리즈는 CPU 내부의 각 실행 코어들이 모두 크로스바 스위치로 연결되어 있는 단일 다이(Die) 형태의 프로세서로서, 2개의 듀얼-코어 다이가 하나의 패키지에 얹어져 있는 MCM(Multi-Chip Module) 형태인 인텔 코어 2 쿼드 시리즈와는 설계상 큰 차이가 있다.

또한 L3 공유 캐시를 새로 더하여 3단계의 캐시 구조를 갖게 되었고, CPU와 메모리 및 VGA 사이의 대역폭을 더욱 크게 넓힌 '하이퍼트랜스포트(HyperTransport) 3.0' 기술을 채용했으며, 아직 JEDEC의 정식규격은 아니지만 DDR2-1066을 공식 지원하는 신설계의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하고, '쿨앤콰이어트(Cool'n'Quiet) 2.0' 기술의 도입으로 한층 향상된 전원관리 기능을 갖추게 된 점 등이 이번 AMD 페넘 시리즈 프로세서의 주요 특징들로 꼽힌다.









현재 AMD의 페넘 시리즈 프로세서들은 20만원 초반대에 판매되고 있어, 인텔의 코어 2 쿼드 Q6600(코드명 : 켄츠필드)과 아주 직접적인 경쟁관계에 있다. 그래서 본 기사에서는 이들 중 '인텔 코어 2 쿼드 Q6600'과 'AMD 페넘 9500(코드명 : 아제나)' 2개의 CPU를 대상으로 하여 일반적인 성능 비교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그런데 사실 애초에 이 기사를 기획했을 당시에는 인텔 Q6600과 AMD 페넘 9500 CPU 모두 24만원대의 비슷한 판매가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최근 1~2주 사이에 페넘 9500의 가격이 10% 이상 하락하면서 현재는 20만원 언저리까지(다나와 최저가 기준) 내려온 상태라 약간은 비교가 불공평해진 측면이 없지 않다. 따라서 계속 이어지는 내용에서도 이러한 점은 염두에 두기 바란다.


테스트 환경 / CPU 일반 성능 측정 테스트










테스트 제품 및 테스트 환경 소개



















▲ Intel Core2 Quad Q6600 : CPU-Z CPU 정보







▲ AMD Phenom 9500 : CPU-Z CPU 정보


위는 CPU-Z를 통해 확인한 두 CPU의 하드웨어 정보이다.

인텔 코어 2 쿼드 Q6600은 그간 벤치클럽에서 사용해온 엔지니어링 샘플(ES) 제품으로서 요즘 판매중인 'G0' 스테핑이 아닌 예전 'B3' 스테핑 모델이다. 작동클럭은 2.4 GHz이며 코어당 64KB의 L1 캐시, 총 8MB의 L2 공유 캐시를 탑재하고 있다.

AMD 페넘 9500은 코드명 '아제나(Agena)'의 'B2' 스테핑 모델로 작동클럭은 2.2 GHz이고 코어당 128KB의 L1 캐시와 512KB의 L2 캐시, 그리고 총 2MB의 L3 캐시를 탑재하고 있다. 하이퍼트랜스포트(HT) 스피드는 기존에 K8 마이크로아키텍처의 AMD 프로세서들이 1000 MHz(양방향 2000 MHz)였던 반면, 이번 페넘 시리즈 프로세서는 앞서 언급했듯 HT 3.0 기술 채용에 따라 1800 MHz(양방향 3600 MHz)로 크게 증대됐다. 다만 이 새로운 HT 규격은 하위 호환성도 보장되어 있으므로, HT 2.0/1.0 규격을 지원하는 기존 메인보드에서도 페넘 프로세서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이제 많은 이들이 알고 있겠지만 현재 B2 스테핑의 페넘 CPU는 TLB(Translation Lookaside Buffer) 버그에 관련한 수정 패치의 퍼포먼스 논란이 일고 있고, 내년 초 1/4 분기에 출시될 B3 스테핑 코어의 제품에서야 완전히 해결될 예정이라고 한다.















▲ Intel Core2 Quad Q6600 : 테스트 시스템














▲ AMD Phenom 9500 : 테스트 시스템






























CPU

Intel Core2 Quad Q6600 (@ 2.4 GHz)

AMD Phenom Agena 9500 (@ 2.2 GHz)

Main Board

MSI P35 Platinum Combo
(Intel P35 Express)

MSI K9A2 Platinum
(AMD 790FX + SB600)

RAM

ST Memory PC2-6400 DDR2 SDRAM 1GB x 2
(Timing : 5-5-5-15 / 2T)

VGA

이엠텍 GeForce 8800 GT 512MB VF1000

HDD

Seagate Barracuda 7200.10 ST3320620AS SATA II 320 GB

Power Supply

NCTOP 스카이호크 GM-620PC 600W PSU

Case

NCTOP SHINOBI(시노비) Middle Tower Case

OS & etc.


WindowsXP Professional SP2(한글)
DirectX 9.0C

nVIDIA Forceware 169.04 Beta



두 CPU를 비교 테스트하기 위해 세팅한 시스템의 세부 사양은 위와 같다. 보다시피 CPU와 메인보드를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한 테스트 환경을 갖추었다.












AMD 페넘 9500 CPU 테스트의 경우 풀-스펙 지원이 가능한 최신 메인보드인 MSI社의 'K9A2 Platinum'을 사용했다. 이 제품은 AMD 790FX 칩셋을 탑재한 메인보드로, All 솔리드 커패시터를 채용하고 컨트롤 칩셋과 전원부에 히트파이프 방식 방열판이 장착된 최고급 모델이다.












메인보드 바이오스(BIOS)는 현재 MSI 글로벌 홈페이지에 공식 등록된 최신 v1.1 버전(2007.11.16일자)으로 아직까지 TLB 관련 수정이 이루어지지는 않은 버전이다(수정 패치가 적용된 버전은 v1.21이라고 함). 그리고 바이오스에서는 메모리 부분 설정만 'Ganged' 모드로 수정하여 듀얼 채널(Dual Channel) 128-bit 버스폭 구성이 가능하도록 했다.


CPU 일반 성능 측정 테스트

[SiSoftware Sandra XIIc - Processor Arithmetic / Multimedia]















먼저 CPU의 산술연산 능력을 측정하는 SiSoftware Sandra XIIc의 Processor Arithmetic Benchmark 테스트 결과를 보면 일반 산술연산(Dhrystone MIPS)과 부동소수점 연산 성능(Whetstone iSSE3 MFLOPS) 모두에서 인텔 코어 2 쿼드 Q6600이 AMD 페넘 9500을 상당히 앞서고 있다.

다만 드라이스톤 산술연산 벤치에서는 20% 넘는 격차가 벌어지고 있으나, 부동소수점 연산 벤치에서는 그 차이가 약 8.8% 정도이므로 두 CPU의 작동클럭 차이가 약 9.1%임을 감안하면 거의 비슷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미지 편집, 비디오 디코딩/인코딩 등과 같은 작업시에 멀티미디어 관련 명령과 데이터를 다루는 능력을 측정하는 Processor Multimedia 벤치마크의 iSSE2 부동소수점 연산성능 테스트에서는 Q6600 쪽이 두 CPU의 작동클럭 차이를 뛰어넘는 수치를 보여주었다.

[Lavalys EVEREST v4.20.1170 - CPU Benchmark Tests]












Lavalys EVEREST v4.20.1170 Beta에 포함된 일련의 CPU 벤치마크 항목에서도 인텔 Q6600의 전반적인 우세가 눈에 띈다.

항목별로 약 8~65% 차이로 Q6600이 페넘 9500을 앞서는 것으로 나왔는데, 역시 대체로는 두 CPU의 작동클럭 차이를 넘어서는 것이다. 단 'CPU PhotoWorxx'에 있어서만큼은 오히려 페넘 9500이 약 19% 높은 결과를 보여주었다. EVEREST의 도움말 문서에 포함된 벤치마크 가이드에 따르면 CPU PhotoWorxx는 이미지 회전, 채우기, 컬러 전환(RGB to B/W) 등의 각종 디지털 사진 편집 성능을 테스트하는 항목으로서, 그 특성상 높은 수준의 메모리 읽기/쓰기 트래픽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한 AMD 프로세서들이 더 나은 수치를 나타낸다고 한
다.

[PCMark05 v1.20 : CPU Test Suite]





















PCMark05 v1.20의 CPU Test Suite에서도 인텔 Q6600이 AMD 페넘 9500을 많이 앞서는 결과를 보여준다.

두 CPU의 스코어차는 약 1300점으로 퍼센티지로는 약 19.9%의 차이가 벌어졌다. 싱글 스레드(Single Thread) 테스트는 물론이고 2-스레드 / 4-스레드의 멀티 스레드 테스트에서도 모든 항목에서 Q6600의 성능이 보다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모든 부문에서 20%의 차이가 벌어진 것은 아니고, 파일 압축풀기 / 파일 복호화 등에서의 차이가 유독 컸을 뿐 나머지 테스트 항목들에서는 두 CPU의 작동클럭 차이를 감안할 때 그렇게 두드러지는 수준은 아니었다.


메모리-캐시 성능 테스트 / Super Pi / 3D 렌더링 성능 테스트









메모리 및 캐시 성능 테스트

[SiSoftware Sandra XIIc - Cache and Memory]


















다른 메모리 부문 성능 테스트 결과를 확인하기에 앞서 Sandra XIIc의 Cache and Memory 벤치마크 테스트 결과부터 살펴보자.

익히 알려져 있듯 AMD는 K8 해머 마이크로아키텍쳐 이후로 메모리 컨트롤러를 CPU 내부에 두고 있기 때문에, 그간 메모리 관련 성능 테스트에 있어서는 FSB 구조를 사용하는 인텔 CPU 제품들에 항상 우세를 지켜왔었다. 그렇지만 CPU L1 / L2 캐시 성능의 경우 인텔은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쳐의 코어 2 듀오 / 쿼드 시리즈를 탄생시키면서 기존 넷버스트 마이크로아키텍쳐 프로세서들과 비교해 큰 폭의 성능 개선을 이뤄낸 바 있고, 비록 L1 캐시 용량이 절반이긴 해도 캐시 구성의 구조상 캐시 성능 자체에 있어서는 AMD Athlon X2/FX 시리즈에 상대적인 우위를 보여왔다.

AMD 페넘이 이번에 새로이 K10 마이크로아키텍쳐를 도입하긴 했다지만 그러한 경향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어서, 위 그래프와 표에서 보듯 L1 / L2 캐시 구간(테스트 블럭 사이즈 2kB ~ 16MB)의 대역폭 측정 결과는 인텔 코어 2 쿼드 Q6600이 AMD 페넘 아제나 9500을 50% 이상의 차이로 앞서고 있다. 그렇지만 테스트 블럭 사이즈가 64MB 이상인 구간으로 넘어가면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한 AMD CPU의 위력이 나타나면서, 페넘 9500이 켄츠필드 Q6600을 10% 가량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준다. 또한 참고로 기존 Athlon 64 X2 브리즈번 4800+(시스템 구성 : DFI nForce4-Ultra AM2 메인보드/ 디직스 PC2-5300U 1GB RAM x 2/ 메모리 클럭 DDR 628 MHz/ 메모리 타이밍 5-5-5-13-1T)와 비교해볼 때도, 이번 AMD 페넘은 비록 쿼드-코어 CPU와 듀얼-코어 CPU라는 차이를 감안해도 상당한 개선이 이뤄졌음이 인정된다.

[Lavalys EVEREST v3.20.1170 - Cache & Memory Benchmark]















위는 Lavalys EVEREST의 Cache & Memory Benchmark 중 L1~L3 캐시와 메모리 레이턴시(Latency : 지연시간), 그리고 메모리 읽기/ 쓰기/ 복사 테스트 항목의 결과를 정리한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AMD 페넘 9500의 레이턴시 테스트를 보면 전에 없던 L3 캐시 항목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K10 마이크로아키텍쳐 도입에 따른 변화로, AMD 페넘 아제나 쿼드-코어 CPU는 각 코어당 128KB의 L1 캐시(데이터 캐시 64KB + 명령어 캐시 64KB)와 512KB의 L2 캐시, 그리고 4개의 실행코어가 함께 사용하는 L3 공유 캐시 2MB를 두고 있다.

L3 캐시의 도입은 그 설계 목적상 보다 빠른 실행 속도를 보장하기 위한 것이다. 하지만 이번 페넘은 L1 / L2 캐시가 CPU 클럭과 동일한 스피드로 작동하는 것과는 달리 L3 캐시는 CPU 내부에 있는 메모리 컨트롤러(노스브릿지 ; NB, North-Bridge)와 동일클럭으로 작동하게 되어 있고, 이 노스브릿지 작동클럭은 CPU 작동클럭과는 상관없이 1,800 MHz가 레퍼런스로서 고정되어 있다(물론 별도 세팅을 통해 노스브릿지 클럭을 오버클럭시킬 수는 있음). 그에 따라 CPU 내부 레지스터에서 시스템 메모리로의 접근시 L1 / L2 캐시뿐만 아니라 L3 캐시에까지 필요한 데이터가 있는지 체크하는 데 추가적인 레이턴시(지연시간)가 필요하기 때문에, AMD 페넘은 자사의 기존 프로세서들에 비해서는 메모리 액세스 레이턴시(Access Latency ; 접근 지연시간)가 다소 늘어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되었다.

위 레이턴시 측정 결과 차트에서도 가장 우측에 있는 메모리 레이턴시 측정결과를 보면 AMD 페넘 9500이 인텔 Q6600에 비해서는 레이턴시가 빠르지만, DDR 800 MHz(5-5-5-15-2T)가 아닌 DDR 628 MHz(5-5-5-13-1T)로 세팅된 브리즈번 4800+에 비해서는 오히려 느려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서 별도로 소개하지는 않지만 여타 측정 프로그램에서도 역시 이번에 발표된 페넘이 기존 K8 해머 마이크로아키텍쳐의 CPU들보다는 메모리 레이턴시가 약간 뒤쳐지는 공통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싱글 코어, 싱글 스레드를 이용해 테스트가 진행되는 Lavalys EVEREST의 메모리 읽기/ 쓰기/ 복사 대역폭 테스트 결과 차트를 보면, AMD 페넘 9500이 브리즈번 4800+에 다소 앞서는 모습이다. 인텔 Q6600은 역시나 CPU 외부에 별도로 노스브릿지(메모리 컨트롤) 칩을 두는 구조로 인해, 메모리 쓰기 테스트 항목을 제외하면 전반적으로 AMD CPU들에 밀리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SiSoftware Sandra XIIc - Memory Bandwidth]












Sandra의 Memory Bandwidth(메모리 대역폭) 벤치마크는 STREAM이라는 유명 벤치마크에 기반한 메모리 대역폭 측정툴로서, 앞선 EVEREST가 싱글 코어 / 싱글 스레드를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과는 달리 멀티-코어 / 멀티-스레드를 모두 지원한다. 여기서는 이전까지와는 달리 인텔 Q6600과 AMD 페넘 9500이 거의 비슷한 측정치를 나타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Super Pi / mod1.5 XS












흔히 CPU 성능 측정툴로서 많이 애용되는 Super Pi mod1.5 XS의 1백만 자리와 4백만 자리 테스트 결과에서는 캐시 구조와 용량의 차이로 인해, 이번 K10 마이크로아키텍쳐의 AMD 페넘 9500도 역시 과거 K8 해머 마이크로아키텍쳐 CPU들과 마찬가지로 인텔 코어 마이크로아키텍쳐 CPU들에 비해서는 취약한 모습을 여지없이 드러내고 있다. 인텔 Q6600이 50% 넘는 차이로 AMD 페넘 9500을 앞서고 있다.


3D 렌더링 성능 테스트

[CINEBENCH R10 - CPU Benchmark]












MAXON社의 유명한 3D 렌더링 성능 측정 프로그램인 CINEBENCH R10의 CPU Benchmark는 HDD 스왑 없이 CPU와 메모리만으로 테스트를 진행한다.

이전에도 인텔 코어 2 시리즈 CPU들은 이 테스트에서 AMD Athlon 64 X2 시리즈보다 뛰어난 성능을 보여 왔는데, 이번 인텔 Q6600과 AMD 페넘 9500 사이의 비교에서도 인텔이 한층 우수한 퍼포먼스를 보여주고 있다. 다만 싱글-CPU 테스트에서는 두 CPU의 벤치마크 스코어 차이가 약 33%이지만, 멀티-CPU(x CPU) 테스트에서는 그 차이가 약 24%로 줄어든 것을 보면 역시 메모리 컨트롤러를 내장한 AMD 페넘 9500이 보다 효율적인 메모리 활용 능력을 갖췄다고 할 수 있
다.

[Autodesk 3ds Max 9 (32-bit)]












Autodesk社의 3ds Max 9 (32-bit)를 이용한 렌더링 테스트(Scene 샘플 예제 : Dragon_Character_Rig.Max, 렌더링 해상도 : 1920x1080 HDTV, 싱글 프레임 렌더링)에서도 인텔 Q6600은 48초만 소요함으로써, 57초가 소요된 AMD 페넘 9500보다 15.7% 가량 빠른 속도를 보여준다. 두 CPU의 작동클럭 차이가 약 9%임을 감안해도 인텔 쿼드-코어 켄츠필드 프로세서의 렌더링 성능이 더 뛰어나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동영상 인코딩, 파일 압축 성능 테스트 / 3D 게이밍 성능 테스트 / 총평










동영상 인코딩 성능 테스트

[TMPGEnc Xpress v4.4.0.234 / QuickTime Pro v7.3.0.70 / XMPEG v5.03]
























인텔 CPU들은 과거에도 대체로 동영상 인코딩 성능 부분에 있어선 AMD CPU들에 상당한 우위를 점해왔는데, 그러한 경향은 쿼드-코어 CPU 시대를 맞아서도 당분간 유지될 듯 하다.

TMPGEnc v4.4.0.234(MPEG2 인코딩), Apple QuickTime Pro v7.3.0.70(H.264 인코딩), XMPEG v5.03(DivX 6.7 인코딩) 등 3종의 동영상 인코딩 테스트에서 모두 인텔 코어 2 쿼드 Q6600이 AMD 페넘 아제나 9500을 뚜렷이 앞서고 있다. 다만 각 인코딩 프로그램에 사용된 코덱에 따라서 다소 편차가 발생하는데 MPEG2의 경우엔 약 20.9%, Apple H.264의 경우엔 약 22.04%로 격차가 컸던 것에 반해, DivX 6.7 인코딩에서는 약 8.33%로 인코딩 소요시간의 차이가 그렇게 크지 않았다.

물론 인코딩 시간이 CPU의 작동클럭에 완전히 비례해서 줄어들진 않지만, 두 CPU의 작동클럭 차이가 약 9%인 점을 감안하면 같은 2.4 GHz로 작동하는 페넘 9700이라고 한다면 적어도 DivX 6.7 인코딩에선 인텔 Q6600에 꽤 근접한 성능을 보여줄 것으로 예상된
다.


파일 압축 프로그램 성능 테스트

[WinRAR v3.70 Final / 알집 v7.11]












대표적인 파일 압축 프로그램인 WinRAR v3.70 Final과 알집(ALZip) v7.11에서도 인텔 Q6600이 성능 우위를 보이고 있다. 각각 약 11.3%와 14.8%의 차이로 AMD 페넘 9500보다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3DMark06 및 각종 3D 게임 성능 테스트

[Futuremark 3DMark06 v1.1.0]















Futuremark社의 3DMark06(build 1.1.0)은 일반적인 3D 게임 성능의 측정 척도로 가장 흔히 애용되는 벤치마크 툴로서, 앞선 테스트들과 마찬가지로 이번에도 역시 인텔 Q6600이 AMD 페넘 9500을 약 10~15% 가량 앞서는 것으로 나왔다.

일단 CPU 스코어부터 약 14.7%의 차이가 나고, SM2.0 및 HDR/SM3.0의 각 게임 테스트 항목에서도 초당 3~8 프레임의 차이로 인텔 Q6600이 빠른 성능을 보여주었다. 각 해상도 세팅별 차이를 보면 1024x768 해상도에서 15.2%, 1280x1024 해상도에서 15.8%, 1600x1200 해상도에서 9.4%로 나타나 화면 해상도 설정이 낮을수록 게임 속도 차이도 커지는 경향을 보였다. 위 같은 결과로 미루어보면 DirectX 9.0c 이하의 CPU 의존도가 높은 게임의 경우 인텔 Q6600 탑재 시스템이 AMD 페넘 9500 탑재 시스템보다 상대적으로 더 나은 게임 플레이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Crysis / Lost Planet / Supreme Commander / Prey]










































Crysis(DirectX 9 Demo), Lost Planet(DirectX 9 Demo), Supreme Commander v4.11.3269, Prey v1.3 등 실제 3D 게임들을 동원한 테스트에서도 인텔 Q6600이 AMD 페넘 9500에 거의 압승을 거두고 있다.

Lost Planet의 경우 'Snow' 데모에서 간발의 차이로 뒤지긴 했지만, 나머지 게임들의 경우 1280x1024 이하의 일반 해상도 조건 즉 VGA보다는 CPU의 퍼포먼스 지배력이 더욱 큰 조건에서는 인텔 Q6600이 한층 더 빠른 속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024x768 해상도에서는 게임에 따라 최대 27%까지도 차이가 벌어지고 있다.


총평 : 퍼포먼스는 인텔의 쿼드-코어, 가격은 AMD의 쿼드-코어!?!


지금까지의 분석 내용을 정리하자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듯 일반적인 CPU 퍼포먼스에서는 인텔의 쿼드-코어 프로세서인 '코어 2 쿼드 Q6600(켄츠필드 코어, 2.4 GHz)'의 거의 완벽한 승리다. 비교 대상이었던 AMD 쿼드-코어 프로세서 '페넘 9500(아제나 코어, 2.2 GHz)'의 경우 작동클럭이 약 9% 느리다는 약점이 있긴 했어도, 각 테스트를 통해 확인한 성능차는 분명 그러한 클럭의 차이를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그렇지만 구매자 입장에서 현실적으로 따져볼 때, 인텔 Q6600의 가격이 상당 기간 동안 현 수준으로 유지되어 온 것에 반해 AMD 페넘 시리즈의 판매가가 최근 급속히 하락하고 있는 상황은 분명 관심이 가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그래도 20만원 가까이 하는 가격이긴 하지만, 페넘 9500의 경우 Q6600보다 5만원 가량이나 저렴하다면 가격경쟁력이 부족하다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페넘 프로세서를 스펙상 완벽히 지원할 수 있다는 AMD 700 시리즈 메인보드의 가격대가 전반적으로 높은 편이고 아직 종류가 다양하지 못하다는 점, 또한 유저들이 가장 큰 관심을 갖는 오버클러킹의 수율 측면에서도 상대적으로 인텔 켄츠필드 Q6600(G0 스테핑)에 못 미친다는 점 등은 아직까지는 인텔의 손을 들어줄 수 있는 사항들이다.

성능과 오버클러킹이 확실한 인텔의 쿼드-코어냐, 아니면 매력적인 가격대를 형성해가고 있는 AMD의 신형 쿼드-코어냐? 지금으로선 참 대답하기 어려운 난제이고, 언제나 그래왔지만 그에 대한 선택은 늘 소비자의 몫이다.












출처 : http://www.benchclub.com/board/index.php?id=vgaclub_review&wow=view&no=178&page=1&uid=1&category=&st=on&sm=off&keyword=

?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113 PC를 위한 전원공급장치(파워서플라이)의 선택요령 처누 2004.04.23 3517
112 HDD를 많이 장착하고 싶을때 유용한 케이스 처누 2004.04.28 4365
111 컴퓨터와 전기료 (한달 627원) 처누 2004.05.07 3989
110 SATA 와 eSATA의 이해 JaeSoo 2007.12.17 3678
109 인텔 P31 칩셋 메인보드 벤치마크 JaeSoo 2008.01.10 3299
108 인텔 칩셋 비교 (G31, G33, P31, P35) JaeSoo 2008.01.10 6356
» 쿼드-코어 CPU, 그 자웅을 가리다! 인텔 코어 2 쿼드 Q6600 vs. AMD Phenom 9500 JaeSoo 2008.01.10 4343
106 Intel Motherboards & Desktop Boards JaeSoo 2008.01.10 3673
105 인텔 P35 메인보드 벤치마크 Best Choice 발표 JaeSoo 2008.01.10 3180
104 더욱 빨라진 속도, PCI Express 2.0 그래픽 카드 JaeSoo 2008.01.10 3300
103 최고 사양의 메인보드 'SuperMicro X7QC3 DS&G'.. JaeSoo 2008.03.13 4464
102 2008년 4월 20일 인텔 CPU 가격 인하 정보 (Q6700은 50% 인하) JaeSoo 2008.04.19 3278
101 USB 메모리 NTFS 방식으로 포맷하는 방법 JaeSoo 2008.04.29 4624
100 HDD (上) JaeSoo 2008.10.15 3433
99 HDD (下) JaeSoo 2008.10.15 3871
98 UMPC CPU사양 및 순위, 비교 JaeSoo 2009.01.23 4002
97 파워 서플라이 관련 용어 JaeSoo 2009.02.11 3409
96 컴퓨터에서 비프음이 들려요 (컴퓨터 켤때 삑삑하는 소리) JaeSoo 2009.05.29 7063
95 AMD 애슬론 X2, 튜리온 X2, 튜리온 X2 울트라[그리핀] 차이점 JaeSoo 2009.09.11 3342
94 케이스용 철판 secc와 sgcc에 대해서... JaeSoo 2009.10.06 6809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Next
/ 6

PageViews   Today : 187 Yesterday : 2394 Total : 21713845  /  Counter Status   Today : 164 Yesterday : 1232 Total : 1142306

Edited by JAESOO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