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ATA eSATA는 serial AT attachment, External serial AT attachment의 약자이다
직렬 ATA, 외부로 연결하는 직렬 ATA다
그럼 SATA는 무엇인가?
시리얼 ATA1은 데이터 전송속도 최고 1.5Gbps, 자동인식 등이 있다
시리얼 ATA2는 3Gbps, 자동인식을 들수 있다
핫플러킹, 핫스왑 이런 단어를 굳이 덧붙여서 설명하지 않더라도
1의 자동인식은 시스템에 장착하여 부팅시에 인식을 의미하고
2의 자동인식은 USB처럼 언제든 연결하면 인식을 하는데 차이가 있다
하드와 메인보드 둘중에 낮은 스팩을 따른다. <-- 이건 컴퓨터의 법칙이라 말할수 있다
즉 둘다 SATA2이어야만 제 기능을 발휘하고 그렇지 못하면 SATA1의 기능을 한다
외부로 연결할 수 있게 만든 싸타를 eSATA라 한다
여기에 SATA2를 연결하면 핫플러킹 및 자동인식이 되어 USB처럼 사용가능하다
그럼 그냥 싸타는 않되냐? 물으시면
잘 됩니다. 하지만 포트에 케이블이 꼽히는 부분이 컴퓨터 내부에 적합하며,
외부에서 쓸 수 있는 컨넥터가 아니므로 잘 빠지는 일이 발생됩니다.
싸타2 지원되는 보드중에는 싸타1, 2가 구분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니
컴퓨터 안쪽 하드에는 1, 외장하드에는 싸타2를 써주는게 좋습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junip?Redirect=Log&logNo=800415985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