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에서 서버의 하드웨어 스팩을 알아보는 명령은 다음과 같다.
1. CPU 와 core 정보
#cat /proc/cpuinfo
CPU의 물리적인 개수와 core의 수를 뿌려준다.
(이 값은 하이퍼쓰레딩의 영향을 받지 않는 물리적 칩 및 코어의 개수를 구해서 출력)
#CHIP_COUNT=`cat /proc/cpuinfo | grep "physical id" | sort -u | wc -l`; CHIP_CORES=`cat /proc/cpuinfo | grep "siblings" | tail -1 | cut -d: -f2`; echo "CPU: $CHIP_COUNT chips x $CHIP_CORES cores"
2. HDD 갯수
# fdisk -l | grep Disk
Disk /dev/sda: 146.8 GB, 146815733760 bytes
Disk /dev/sdb: 36.4 GB, 36420075008 bytes
3. 메모리의 용량
# cat /proc/meminfo
MemTotal: 1034472 kB
MemFree: 124860 kB
Buffers: 337932 kB
Cached: 479540 kB
SwapCached: 0 kB
Active: 707296 kB
Inactive: 137972 kB
HighTotal: 130816 kB
HighFree: 424 kB
LowTotal: 903656 kB
LowFree: 124436 kB
SwapTotal: 2048276 kB
SwapFree: 2047640 kB
...
출처: 리눅스 시스템의 CPU 및 코어 개수 확인 방법
리눅스 CPU 개수 확인
개요: CPU core 수를 셀 수 있다. 다만 이텔 하이퍼스래딩의 경우, OS(윈도우,리눅스 등)에서 코어 수가 실제 수의 2배로 인식된다. 예를 들어 싱글코어는 2개로, 듀얼코어는 4개로 인식
CPU 코어 전체 개수
grep -c processor /proc/cpuinfo
물리 CPU 개수 확인
grep "physical id" /proc/cpuinfo | sort -u | wc -l
CPU당 물리 코어 수
grep "cpu cores" /proc/cpuinfo | tail -l
참고: http://jmnote.com/wiki/%EB%A6%AC%EB%88%85%EC%8A%A4_CPU_%EA%B0%9C%EC%88%98_%ED%99%95%EC%9D%B8
출처 : http://edit.tistory.com/entry/linux-서버-하드웨어-정보-확인하기-CPU-HDD-MEM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