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darURL

BTL, BTO 민간투자사업의 이해

by JaeSoo posted Apr 13, 2011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ESC닫기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최근 민간투자사업 방식의 하나인 BTL사업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커지고 있
다. BTL사업에 대한 직접투자는 물론, 투자신탁 및 인프라펀드를 통한 간접투자도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BTL사업이란 민간사업자가 사회기반시설 준공과 동시에 소유권을 정부에 이전한
후 정부로부터 임대료 형태로 투자비를 지급받는 민간투자사업 추진방식을 말한다.
BTL사업의 투자메리트는 투자비 회수 원천이 정부신용도에 연계된 반면, 사업수익
률은 국고5년 + α(50~150bp)로 위험 대비 수익률이 높다는데서 찾을 수 있다.
BTL사업을 비롯한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투자방법은 민간사업자에 대한 대출, 민간
사업자가 발행하는 채권 매입, 출자 등의 직접투자방식과 사회기반시설투융자회사
(인프라펀드)를 통한 간접투자 방식으로 나눠볼 수 있다.
각각의 투자에 있어서 투자위험분석은 민간투자사업에 대한 이해를 전제로 한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민간투자사업의 대표적인 추진방식인 BTO, BTL방식을 중심
으로 민간투자사업과 관련한 기본개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차례


1. 민간투자사업의 기본개념
 - 민자사업의 추진 배경 및 사업추진방식(BTO, BTL)에 대한 소개
2. 민간투자사업의 투자모델
 - BTO, BTL사업의 투자비 회수 구조
3. 민간사업자의 자금 조달 및 투자
 - 민자사업에 대한 직접투자(출자,대출,SOC채권) 및 간접투자(인프라펀드) 소개


Articles

1 2 3 4